• 제목/요약/키워드: mushroom waste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22초

표고버섯골목의 재활용에 관한 연구(I) - Cellulose의 결정구조(結晶構造)를 중심으로 - (A Study of Recycle of Waste Wood after Cultivating Oak Mushroom - On the Crystal Structure of Cellulose -)

  • 김남훈;이원용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2권3호
    • /
    • pp.26-31
    • /
    • 1994
  • To provide further information for reutilization of the waste wood obtained after cultivating oak mushroom in Kangwon-do, the crystal structures of the waste wood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to those of normal woods by a series of x-ray diffraction analysis.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An x-ray diffraction diagram of cultivated wood for 5 years was same as that of typical cellulose with some orientation of cellulose crystallites, but that of cultivated wood for 8 years a random. 2. Crystallinity indices in normal and cultivated woods for 5 years ranged from 57% to 60%. In the cultivated wood for 8 years, however, the value showed about 40%. 3. Crystallite widths of cultivated woods for 5 years and for 8 years were 3 nm and 2.5 nm, respectively. 4. Intensity ratios of equatorial and meridional layer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the above results, it is clear that the waste wood obtained after cultivating oak mush room for 5 years showed basically same crystal structures with normal wood. Therefore, we think that the waste wood may be used available for cellulosic material instead of normal wood.

  • PDF

Cultivation and Nutritional Value of Prominent Pleurotus spp.: An Overview

  • Raman, Jegadeesh;Jang, Kab-Yeul;Oh, Youn-Lee;Oh, Minji;Im, Ji-Hoon;Lakshmanan, Hariprasath;Sabaratnam, Vikineswary
    • Mycobiology
    • /
    • 제49권1호
    • /
    • pp.1-14
    • /
    • 2021
  • Pleurotus species are commercially essential mushrooms and widely cultivated throughout the world. The production of Pleurotus mushrooms alone accounts for around 25% of that total cultivated mushrooms globally. In America and Europe, Pleurotus species are considered specialty mushrooms, whereas, in Korea, their cultivation is economically profitable, and it is one of the highly consumed species. Pleurotus species are predominantly found in tropical forests and often grow on fallen branches, dead and decaying tree stumps, and wet logs. Biographical studies have shown that the Pleurotus genus is among the more conspicuous fungi that induce wood decay in terrestrial ecosystems worldwide due to its formidable lignin-modifying enzymes, including laccase and versatile peroxidases. Pleurotus species can be grown easily due to their fast colonization nature on diversified agro-substrates and their biological efficiency 100%. Pleurotus mushrooms are rich in proteins, dietary fiber, essential amino acids, carbohydrates, water-soluble vitamins, and minerals. These mushrooms are abundant in functional bioactive molecules, though to influence health. Pleurotus mushrooms are finding unique applications as flavoring, aroma, and excellent preservation quality. Apart from its unique applications, Pleurotus mushrooms have a unique status delicacy with high nutritional and medicinal values. The present review provides an insight into the cultivation of Pleurotus spp. using different agro-waste as growth substances paying attention to their effects on the growth and chemical composition.

Current prospects of mushroom production and industrial growth in India

  • Raman, Jegadeesh;Lee, Seul-Ki;Im, Ji-Hoon;Oh, Min-Ji;Oh, Youn-Lee;Jang, Kab-Yeul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39-249
    • /
    • 2018
  • The global mushroom industry has grown rapidly in recent years in terms of beneficial effects, market value, and demand. India has a wide range of agro-climatic conditions and is largely an agricultural country with a cultivated area of about 4.37 %, generating about 620 million tons of agro waste annually. Mushroom cultivation not only helps recycle agro wastes, but also fills the nutritional gap prevalent among a large population of India. Recently, government industrial policy and creative innovation has promoted research and other endeavors aiming towards the cultivation of mushrooms. Mushroom cultivation in India was initiated in Solan, in the mid-sixties. Mushroom cultivation has been successful in temperate regions of the Himalayas, the Western Ghats, and the hills of northeast India. Recently, many unemployed people have begun to adopt mushroom cultivation as a means of self-employment. It is high time that Indian mushroom cultivators and consumers became aware of the nutritional and medicinal values of cultivated and wild species of mushrooms. The total mushroom production in India between 2010 and 2017 was approximately 0.13 million tons, accounting for a 4.3% increase in the average growth rate of mushrooms per annum. In particular, the total production of white button mushrooms is the highest, with a share of about 73% of total mushroom production. In this review article, we have analyzed the current scenario of the Indian mushroom industry and its contribution to the economic growth of the country.

지렁이 분립을 첨가한 유기상토가 벼의 유식물체 생육에 미치는 영향 -느타리버섯 폐배지로 생산한 분립의 첨가- (Effect of Commercial Organic :Medium Amended with Vermicast on the Growth of Rice Seedlings(Oryza sativa L.) -Amended with Vermicast of Oyster Mushroom Waste-)

  • 이주삼;김인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5-62
    • /
    • 2009
  • 저면도포 무처리구에서 유기상토에 느타리버섯 폐배지로 생산한 분립 4-6%의 첨가비율에서 벼의 유식물체의 생육이 가장 좋았다. 저면도포 처리구에서는 대조구(유기상토 100%)에서 벼의 유식물체의 생육이 가장 좋았는데, 이는 신장된 뿌리가 토양표면에 시용된 분립으로부터 생육에 필요한 양분을 흡수하였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장기간 육묘할 경우에는 유기상토에 분립을 혼합하지 않고 토양표면에 분립 100%를 시용하는 저면도포 방법이 효율적이라고 생각된다. 느타리버섯 폐배지로 생산한 분립은 중금속 함량이 낮아서 안전성이 높고. 양분공급능력이 높은 유기상토재로서 이웅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유기상토의 양분공급능력을 높여 유식물체의 생육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분립과 같은 상토재의 첨가를 통하여 질소함량은 높이고, 탄질율은 낮추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PDF

Development of Integrated Cultivation Machine System for Oyster-Mushroom

  • Choe K. J.;Oh K. Y.;Ryu B. K.;Lee S. H.;Park H. J.
    • Agricultural and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5권2호
    • /
    • pp.50-54
    • /
    • 2004
  • The study aimed to develop a mechanized mushroom growing system for the substrate materials mixing and wetting, materials fermentation and pasteurisation through the design of integrated cultivation machine system for oyster mushroom. The power requirement of the prototype during fermentation operation was measured in the range of 31$\~$33 kg-m and the torque has not so much differ by the kinds and quantity of materials. The work efficiency of conventional method for stacking the heap and turning the heap of cotton waste by tractor rotavator and manual wetting required 78 hours. But the watering, fermentation and sterilisation by the prototype use same operation required 25.5 hours, which can save the operation labour by $67\%$. The machine can be saved the requirement of heating energy by $63\%$, and the machine can also be saved the material cost by $44\%$. It is envisaged that the machine can effectively be used for large mushroom growing farms or joint use mushroom growing group-farmers in a village.

  • PDF

양파망을 이용한 느타리버섯(Pleurotus ostreatus) 재배기술 (Establishment of artifical cultivation technique of Pleurotus ostreatus using an onion net)

  • 유영진;서상영;정기태;류정;고복래;최정식;김명곤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101-105
    • /
    • 2006
  • 본 연구는 볏짚을 이용한 느타리버섯 균상재배를 할 때 볏짚을 결속하고 절단하는 과정에서 많은 노동시간이 소요되어 이를 개선하고자 수행되었다. 볏짚과 폐면의 이화학적 성분은 다소차이가 있으나 폐면에서 C/N율은 84~85로 볏짚과 유사하여 혼합재료로 사용이 가능하다. 양파망 규격은 $35{\times}30cm$, 볏짚과 폐면의 배합비는 40:60(V/V)으로 하였을 때 6주기기간동안 평균수량이 양파망 1개당 1.450g 이였다. 배지재료를 준비하는 기간은 양파망재배가 볏짚 재재보다 3일정도 기간을 절감할 수 있었고 접종도 4시간정도 절략되어 전체적으로 3.5일정도 시간을 절략 5%의 경제적 이득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느타리버섯 수확후 배지를 이용한 표고 배지 개발 (Application of spent oyster mushroom substrate for bag cultivation of Lentinula edodes)

  • 김정한;강영주;백일선;정윤경;이용선;이영순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70-73
    • /
    • 2018
  • 느타리버섯 수확후 배지를 이용하여 표고 톱밥배지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 수행결과 다음과 같다. 느타리버섯 수확후 배지를 톱밥 첨가량의 20~50%로 4처리로 혼합하여 분석한 결과 C/N은 62~76으로 나타났다. 느타리버섯 수확후 배지 첨가구는 대조구에 비해 질소와 폴리페놀 함량은 상대적으로 높고, 과당과 유기산 함량은 낮은 경향이었다. 특히, 미강이 첨가되지 않은 50% 처리구는 과당, 유기산 함량이 현저하게 낮았다. 초발이기간은 20, 25%가 7일로 대조구와 같았으나 30%와 50%는 각각 6일, 11일로 대조에 비해 각각 1, 4일 지연되었다. 표고버섯 3주기 수량은 20% 처리구가 268.7 g으로 대조와 비슷하였으나 첨가수준이 높을수록 감소하여 특히, 50% 첨가구에서는 버섯 발생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느타리버섯 수확후 배지를 표고 배지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톱밥 첨가량의 20% 수준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버섯 폐배지로부터 분리한 방선균 균주 CA-23과 AA-65균주의 키틴 분해능력과 항균력 검정 (Estimation of the Chitinolytic and Antifungal Activity of Streptomyces sp. CA-23 and AA-65 isolates Isolated from Waste Mushroom Media)

  • 심창기;김민정;김용기;지형진;홍성준;박종호;한은정;김석철
    • 농약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02-410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버섯폐배지로부터 분리한 방선균의 키틴 분해 능력과 항균활성능력을 검정하고 선발하기 위함이다. 5종류의 버섯폐배지(팽이버섯, 잎새버섯, 느타리버섯, 신령버섯, 양송이버섯) 중 신령버섯 > 양송이버섯 순으로 방선균이 분리되었다. 버섯 폐배지로부터 전체 91개의 키틴분해 방선균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91개의 균주는 키틴분해 능력과 Phytophthora capsici, Rhizoctonia solani, Sclerotinia sclerotiorum, Collectotrichum gloeosporioides, Cladosporium cucumerinum 에 대한 항균력에 따라 크게 3개의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CA-23균주는 강한 키틴 분해능력과 모든 식물병원균에 대해 항균력을 보이는 대표적인 균주로 선발하였고 반면에 AA-65 균주는 키틴 분해능력은 없지만 모든 식물 병원균에 대한 강한 항균력을 보이는 대표적인 균주로 선발하였다. 실내시험에서 CA-23 균주와 AA-65 균주는 오이 역병, 흰가루병, 검은별무늬병을 효과적으로 방제하였다. CA-23 균주는 높은 방제가를 보인 반면 AA-65 균주는 병 방제효과뿐만 아니라 식물생육과 수량을 지속적으로 증가시켰다. 비록 두 균주의 식물병 방제효과 유사하지만 두 균주 사이의 작용기작은 서로 다를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작용기작과 적용방법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느타리, 새송이 및 팽이버섯 폐배지의 반추동물 조사료원으로서의 사료 영양적 가치평가 (Evaluation on Feed-Nutritional Value of Spent Mushroom(Pleurotus osteratus, Pleurotus eryngii, Flammulina velutupes) Substrates as a Roughage Source for Ruminants)

  • 배지선;김영일;정세형;오영균;곽완섭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2호
    • /
    • pp.237-246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느타리, 새송이 및 팽이버섯 폐배지를 버섯 종류별, 배지에 이용된 주원료별로 나누어 반추가축 사료로서의 영양적 가치를 구명하기 위해서 화학성분, in vitro 소실율 실험 및 in situ darcon bag 실험을 수행하였다. 버섯 폐배지는 고섬유소(NDF 64~78%), 저단백질(CP 7~11%) 조사료원에 속하였다. 주원료별 폐배지는 섬유소 성분이 가장 높은 톱밥 주원료 폐배지와 비교해서 폐면 주원료 폐배지는 NDF 함량이 낮고(P<0.05), NFC와 ash 함량이 높았다(P<0.05). 버섯 폐배지의 화학적 성분은 전반적으로 버섯 종류보다는 주원료 종류에 의해 주로 영향을 받았다. In vitro DM, NDF 소실율은 분석된 배양시간(24, 48, 72시간) 모두에서 옥공이, 폐면, 톱밥 주원료 폐배지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In situ DM, NDF, ADF 소실율은 배양 24시간에서 옥공이, 폐면, 톱밥 주원료 폐배지 순으로 높았다(P<0.05). 톱밥 주원료 폐배지와 비교해서 폐면 주원료 폐배지는 가소화성 분획(NDF, ADF)이 뚜렷이 높고(P<0.05) 비소화성 분획은 현저히 낮았으며(P<0.05), 그 결과 배양 72시간에서의 in situ DM, NDF 소실율(disappearance)과 예상 반추위 분해율(degradability)도 현저히 높았다(P<0.05). 결과적으로 폐면 주원료 폐배지는 톱밥 주원료 폐배지 보다 반추가축 조사료원으로서의 사료영양적 가치가 높아 우선적 이용이 권장된다.

RFLP, PLFA, CLSU를 이용한 폐기물연용토양의 토양미생물 특성 평가 비교 (Comparison of Biological Characteristics on the Organic Waste-treated Lysimeter Soil by RFLP, PLFA, and CLSU)

  • 장갑열;원항연;이강효;권순익;공원식;서장선;성재모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415-418
    • /
    • 2008
  • 폐기물 연용토양의 미생물 군집 분석을 위해 공단지역 하수 슬러지 처리등 16처리(3수준)에 대하여 가장 좋은 방법을 찾고자, RFLP, CLSU, PLFA, TGGE 의 4가지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이들 4가지 방법에 대하여 시기별 군집변동 조사를 통한 통계적 비교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미생물의 경시적 군집 변동상 관찰은 PLFAs (Phospholipid Fatty Acids) 방법이 가장 효율적이었으며 RFLP는 많은 종류의 제한 효소의 사용이 필요하다. TGGE는 DNA 추출을 통해 비배양학적인 분석에서는 가장 좋은 방법이나 PCR조건 등 실험 과정에서 토양종류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하여 비슷한 조성의 토양분석에 효율적이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