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shroom primordium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32초

잎새버섯 병재배시 발생방법에 따른 자실체 생산성 (Fruiting body productivity of Grifola frondosa by various primordium formation methods)

  • 김정한;강영주;전대훈;장명준;지정현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86-89
    • /
    • 2018
  • 잎새버섯을 병재배 새로운 소득 품목으로 개발하고자 적정 발이방법을 구명하기 위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발이는 모든 처리구에서 6일째 개시가 되었으나, T7(균긁기후 역상)은 9일로 다른 처리보다 3일 늦었다. 발이율은 T3(페트리디쉬)과 T7이 98.9%로 가장 높고, 전체 재배기간은 T7이 51일로 다른 처리구의 46~47일보다 3일 늦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량성은 T3과 T7이 각각 110g과 112g으로 우수하였으나, T7의 방법이 자실체의 발생도 균일하고, 품질도 우수하여(장단비 0.89) 잎새버섯 병재배에 적합한 발이방법으로 판단되었다.

병재배용 느타리 품종 『흑타리』의 배양온도에 따른 미발이 관계 규명 (Cause of undeveloped primordium formation according to incubation temperature of new oyster mushroom cultivar 『Heuktari』 for bottle cultivation)

  • 최종인;김정한;권희민;이윤혜;신복음;구옥;하태문;정구현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17-322
    • /
    • 2020
  • 느타리 '흑타리' 품종의 배양 중 고온스트레스에 의해 발생되는 미발이 현상을 구명하기 위하여 배양온도에 따른 생육차이를 조사하였다. PDA 배지에서 '흑타리'의 적정생육온도는 23~26℃였고, 균사생장속도는 '춘추2호'에 비하여 빠른편이었다. 병내 배지온도는 초기에 상승하여 배양 중반에 최고점에 도달한 후 온도가 하강하였다. 배양 온도가 높을수록 배양기간은 짧아졌다. 배양온도 20℃ 처리구에서 배양기간은 25일 정도 소요되었으며, 미발이율은 1.8%, 수량은 139.4 g/병을 나타내었다. 배양온도 24℃ 처리구에서 배양기간은 20일 정도 소요되었으며, 미발이율은 4.2%, 병당수량은 132.1 g/병을 나타내었다. 배양온도 16℃와 28℃처리구에서는 미발이율이 증가되었고 수량이 감소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농가에서 배양온도와 미발이율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배양실 온도를 18℃로 설정하고 배지품온을 28℃ 미만으로 관리하는 농가는 미발이율이 0.3~0.8%를 나타내었다. 배양실내의 온도가 20℃ 이상이며 환기가 잘 이루어지지 않은 농가에서는 미발이율이 3.5% 정도 발생되었다. 배양실 온도가 19℃이며 배지 최고 품온이 31.3℃까지 상승하는 농가는 미발이율이 8.2%로 높게 나타났다. 배양중 병내부 온도가 28℃이상 상승하고 배양실내의 환기가 잘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미발이율이 증가하고 수량이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배양실은 배지품온이 28℃ 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배양실 내부의 공기를 지속적으로 순환시키고, 배양공간에 맞는 최적의 배양량을 넣어 관리하여야 한다.

Identification of Long Non-Coding RNAs and Their Target Genes from Mycelium and Primordium in Model Mushroom Schizophyllum commune

  • Tuheng Wu;Jian Chen;Chunwei Jiao;Huiping Hu;Qingping Wu;Yizhen Xie
    • Mycobiology
    • /
    • 제50권5호
    • /
    • pp.357-365
    • /
    • 2022
  • Schizophyllum commune has emerged as the most promising model mushroom to study developmental stages (mycelium, primordium), which are two primary processes of fruit body development. Long non-coding RNA (lncRNA) has been proved to participate in fruit development and sex differentiation in fungi. However, potential lncRNAs have not been identified in S. commune from mycelium to primordium developmental stages. In this study, lncRNA-seq was performed in S. commune and 61.56 Gb clean data were generated from mycelium and primordium developmental stages. Furthermore, 191 lncRNAs had been obtained and a total of 49 lncRNAs were classified as differently expressed lncRNAs. Additionally, 26 up-regulated differently expressed lncRNAs and 23 down-regulated between mycelium and primordia libraries were detected. Further, Kyoto Encyclopedia of Genes and Genomes (KEGG) analysis showed that differentially expressed lncRNAs target genes from the MAPK pathway, phosphatidylinositol signal, ubiquitin-mediated proteolysis, autophagy, and cell cycle. This study provides a new resource for further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ncRNA and two developmental stages (mycelium, primordium) in S. commune.

침엽수와 활엽수 골목에서 Ganoderma lucidum의 발생과 자실체의 Organic Germanium과 Ganoderic Acid 함량 (Development of Ganoderma lucidum on Soft and Hard Wood Logs and Determination of Organic Germanium and Ganoderic Acid Content of the Fruiting Body Produced)

  • 남피아 수카르노;알-아즈하리아타 에이니;비비 슈마르니;에티로해티;라티페K. 다르슈만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57-162
    • /
    • 2004
  • 이 실험의 목적은 침엽수(Paraserianthes falcataria)와 활엽수(Shoreasp) 골목에서 두 개의 Ganoderma lucidum 균주의 자실체 발생과 성장을 연구하고 자실체의 organic germanium 과 crude ganoderic acid 함량을 측정하기 위함이다. 두 개의 Ganaderma lucidum중 하나는 인도네시아 본지에서 분리한 것이고 또 다른 하나는 Fungi Perfecti, USA에서 구입한 것을 사용하였다. 일반적으로 활엽수에서 생성된 자실체의 농도가 침엽수에서 자란 것보다 훨씬 높다. 두 종류의 골목 모두에서 상업용 균주에서 생산된 자실체의 organic germanium 농도가 인도네시아의 균주에서 생산된 자실체의 organic germanium 농도보다 높았다. 이에 반하여 버섯 자실체의 crude ganoderic acid 농도는 두 개의 균주로부터 생산된 자실체에서 거의 같은 농도를 보였다. 인도네시아 균주는 상업용 분리균주와 비교했을 때 생산된 자실체의 총 organic germanium과 총 crude ganoderic acid의 생산성이 높았다.

  • PDF

Production of Polysaccharide by the Edible Mushroom, Grifola frondosa

  • Kim, Yeon-Ran
    • Mycobiology
    • /
    • 제31권4호
    • /
    • pp.205-208
    • /
    • 2003
  • The production of polysaccharide according to various developmental stages(mycelium growth, primordium appearance, and fruiting-body formation) in the edible mushroom Grifola frondosa was studied. The cap of the mature mushroom showed the highest amount of polysacchride. Mycelial growth and polysaccharide synthesis were optimal at pH 5 and $20^{\circ}C$. Polysaccharide synthesis was maximal after 12 days of cultivation, whereas maximum mycelial growth was shown after 18 days. Mannose, cellobiose and starch increased the level of polysaccharide as well as growth in submerged culture. Glucose and sucrose appeared to be good substrates for fruiting of Grifola frondosa.

Comparative Analysis of Expressed Sequence Tags from Flammulina velutipes at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 Joh, Joong-Ho;Kim, Kyung-Yun;Lim, Jong-Hyun;Son, Eun-Suk;Park, Hye-Ran;Park, Young-Jin;Kong, Won-Sik;Yoo, Young-Bok;Lee, Chang-S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9권8호
    • /
    • pp.774-780
    • /
    • 2009
  • Flammulina velutipes is a popular edible basidiomycete mushroom found in East Asia and is commonly known as winter mushroom. Mushroom development showing dramatic morphological changes by different environmental factors is scientifically and commercially interesting. To create a genetic database and isolate genes regulated during mushroom development, cDNA libraries were constructed from three developmental stages of mycelium, primordium, and fruit body in F. velutipes. We generated a total of 5,431 expressed sequence tags (ESTs) from randomly selected clones from the three cDNA libraries. Of these, 3,332 different unique genes (unigenes) were consistent with 2,442 (73%) singlets and 890 (27%) contigs. This corresponds to a redundancy of 39%. Using a homology search in the gene ontology database, the EST unigenes were classified into the three categories of molecular function (28%), biological process (29%), and cellular component (6%). Comparative analysis found great variations in the unigene expression pattern among the three different unigene sets generated from the cDNA libraries of mycelium, primordium, and fruit body. The 19-34% of total unigenes were unique to each unigene set and only 3% were shared among all three unigene sets. The unique and common representation in F. velutipes unigenes from the three different cDNA libraries suggests great differential gene expression profiles during the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of F. velutipes mushroom.

이산화탄소 농도가 영지버섯균의 균사생장과 자실체원기 유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ncentrated carbon dioxide exposure on the mycelial growth and fruit body initiation of Ganoderma lucidum)

  • 서건식;스즈키 아키라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45-48
    • /
    • 2004
  • The effect of $CO_2$ concentration (500, 3,000, $6,000{\mu}{\ell}/{\ell}$) on the mycelial growth and fruit body primordium formation of Ganoderma lucidum on nutrient agar medium was examined. Optimum $CO_2$ concentration for vegetative growth was above $3,000{\mu}{\ell}/{\ell}$. Fruit body initiation was accelerated at higher than $3,000{\mu}{\ell}/{\ell}$ $CO_2$ exposure but the maximum number and size of primordia, and primordium color were not influenced by $CO_2$ concentrations. Whereas each atypical fruiting structure forming stock culture showed different fruiting time under each concentration of $CO_2$ exposure.

  • PDF

LED광원이 큰느타리버섯 자실체의 발생, 생육, 에르고스테롤 함량 및 항산화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ED Light on Primordium Formation, Morphological Properties, Ergoster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Fruit Body in Pleurotus eryngii)

  • 장명준;이윤혜;김정한;주영철
    • 한국균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75-179
    • /
    • 2011
  • LED광원에 대한 큰느타리버섯의 생육특성, 에르고스테롤 및 항산화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원기형성기에 LED광원을 조사한 결과 청색광 및 적색광에서 원기가 형성되지 않았다. 초발이 이후 LED광원을 조사시 형광등과 청색광에서 다른 처리구 보다 갓의 크기는 커지며, 갓의 굵기가 굵어지는 경향이었다. 그러나 대의 길이는 형광등과 청색광에서 다른 처리구 보다 짧았다. 생육특성 중 상품수량은 청색광 및 녹색광에서 형광등과 대등하였다. DPPH는 청색광, 녹색광 및 주황색광에서 가장 높았고, 총폴리페놀함량은 LED 처리구 모두 형광등 처리구보다 높았으며, 에르고스테롤은 녹색광에서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 큰 느타리버섯의 고품질 버섯 생산을 위해서는 녹색광이 적합하였다.

Enhancement of ${\beta}$-Glucan Content in the Cultivation of Cauliflower Mushroom (Sparassis latifolia) by Elicitation

  • Park, Hyun;Ka, Kang-Hyeon;Ryu, Sung-Ryul
    • Mycobiology
    • /
    • 제42권1호
    • /
    • pp.41-45
    • /
    • 2014
  • The effectiveness of three kinds of enzymes (chitinase, ${\beta}$-glucuronidase, and lysing enzyme complex), employed as elicitors to enhance the ${\beta}$-glucan content in the sawdust-based cultivation of cauliflower mushroom (Sparassis latifolia), was examined. The elicitors were applied to the cauliflower mushroom after primordium formation, by spraying the enzyme solutions at three different levels on the sawdust-based medium. Mycelial growth was fully accomplished by the treatments, but the metabolic process during the growth of fruiting bodies was affected. The application of a lysing enzyme resulted in an increase in the ${\beta}$-glucan concentration by up to 31%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However, the treatment resulted in a decrease in mushroom yield, which necessitated the need to evaluate its economic efficiency. Although we still need to develop a more efficient way for using elicitors to enhance functional metabolites in mushroom cultiva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elicitation technique can be applied in the cultivation of medicinal/edible mushrooms.

배양기간 중 차광처리가 느타리 발이 균일도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hading Treatment on the Uniform Primordium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Pleurotus ostreatus during Incubation)

  • 정윤경;이윤혜;백일선;지정현;강영주
    • 한국균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47-252
    • /
    • 2014
  • 느타리 주요 재배품종의 균사배양중 차광처리가 발이 균일도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배양중 수한 1호의 배지내 온도는 차광처리 시기에 관계없이 11~12일에, $24{\sim}25^{\circ}C$, 곤지 7호는 11~12일에 $25{\sim}26^{\circ}C$로 상승하였다. 온도가 가장 높게 상승되는 시점에서 수한 1호의 $CO_2$는 9~11%, 곤지 7호는 9~10% 발생되는 반면, $O_2$는 낮아지는 경향을 보여 균사생장에 좋은 조건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특히, 접종 후 배양 10일부터 차광 처리시 수한 1호는 무처리 대비 20%, 곤지 7호는 13%까지 발이 불균일이 감소하면서 발이 균일도가 가장 양호하였으며, 수량에도 차이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