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shroom mycelium

검색결과 220건 처리시간 0.029초

송이균(松茸菌) (Tricholoma matsutake)의 배양환경(培養環境)에 대한 증식반응(增殖反應)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Multiplication Response of "Tricholoma matsutake" (Pine Mushroom) Conidio to Cultural Media Environment)

  • 김창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4권1호
    • /
    • pp.33-41
    • /
    • 1984
  • 송이(松茸)는 적송(赤松)의 세근(細根)에 활물기생(活物寄生)한다고 하나 그 본질(本質)이 아직 구명(究明)되지 못하고 있음으로 인공재배(人工栽培) 확립(確立)이 모색(模索)되고 있는 중이다. 본논문(本論文)에서는 일차적(一次的)으로 송이(松茸)에서 순수분리(純粹分離)한 균(菌)을 배양(培養)하여 생리적(生理的) 특성(特性)을 구명(究明)하고 인공원기(人工原基)를 만들어 인공적(人工的)인 송이재배(松茸栽培)의 본질(本質)을 구명(究明)하여 송이재배(松茸栽培) 방법(方法)을 돕고자 송이균(松茸菌)의 생리특성(生理特性)에 대(對)하여 조사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각종(各種) 배양기상(培養基上)에서의 송이균계(松茸菌系)의 발육(發育)은 봉밀(蜂蜜)+송이발생토양전즙(松茸發生土壤煎汁)+적송수근추출물(赤松鬚根抽出物)+건조효모(乾燥酵母)+$KH_2PO_4$+Inositol+엽산(葉酸)+Biotin의 배지(培地)가 가장 우수(優秀)하였다. 2) 송이포자(松茸胞子)의 발아(發芽) 및 균계배양(菌系培養)에서 최적온도(最適溫度)는 $24^{\circ}C$, 최적(最適) pH는 4.5였다. 3) 송이균계배양(松茸菌系培養)에 있어서 송이자실체(松茸字實體)의 조직(組織)에서 분리(分離)한 것과 포자(胞子)에서 분리(分離)한 것은 그 발율(發育)에 차이(差異)가 없었다, 4) Hamada 배지(培地)에 각종(各種) 미량중금속염류(微量重金屬鹽類) $ZnSO_4$, $MnSO_4$, $MgSO_4$, $CaCl_2$ 구연산철(枸櫞酸鐵) 등(等)의 첨가(添加)는 별효과(別效果)가 없었다. 5) 적송수근추출물(赤松鬚根抽出物) 첨가(添加)는 균계발육(菌系發育)에 확실(確實)한 효과(效果)가 있었다. 적송(赤松)에는 송이균계(松茸菌系)의 생장(生長)을 촉진(促進)하는 인자(因子)가 존재(存在)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6) 송이균계(松茸菌系) 배양용(培養用) 인공배양기(人工培養基)의 C원(源)으로서 glucose보다 봉밀(蜂蜜)의 효과(效果)가 크다. 7) Fairy Ring이 가장 많이 존재(存在)하는 미생물(微生物)인 Mortierlla spp의 배양여액(培養濾液)을 송이균계(松茸菌系) 인공배양기(人工培養基)에 첨가(添加)한 것이 대조치(對照値)에 비(比)하여 균계(菌系)의 발육(發育)이 양호)良好)하였다. 8) 송이인공원기(松茸人工原基)의 배지(培地)에 적송수근추출물(赤松鬚根抽出物) lnsitol Biotin 엽산(葉酸)의 첨가(添加)는 효과(效果)가 크다. 균계(菌系)의 만연(蔓延)된 후(後) 온도(溫度)를 내려서 $19^{\circ}C$로 유지(維持)할 때 primordium의 형성(形成)을 확인(確認)하였다.

  • PDF

진탕배양법(振?培養法)에 의한 양송이 균사체(菌絲體)의 생산(生産) (Production of Mushroom Mycelium (Agaricus campestris) in Shaking Culture)

  • 이정숙;이서래;유태종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2-29
    • /
    • 1975
  • 양송이(Agaricus campestris var. bisporus)의 액체배양을 위하여 TGY 배지(培地)에서의 배양조건을 보면 $27{\sim}30^{\circ}C$ 진탕배양에서 pH는 배양일수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배양(培養) 12일에는 균체량의 생산도 많았고 질소함량도 7%를 유지하였으며, 배지중 탄소원은 거의 소실되었다. 배양기의 질소원으로는 ${(NH_4)}_2HPO_4$에서 수율(收率)이 좋았고, yeast extract 를 첨가하였을 때 균사체량이 더 증가하였다. 탄소원으로서는 glucose 가 가장 좋았고 fructose, maltose, lactose, sucrose 는 거의 비슷하였으며 가용성 전분은 거의 자화(資化)하지 못하였다. 양송이 균사체(菌絲體)는 단백질 함량이 48%이고 유리(遊離)아미노산으로서는 arginine, histidine, isoleucine, leucine, lysine, phenylalanine, proline, tyrosine 의 8종이 검출되었으며 단백질에는 각종 필수(必須)아미노산 특히 lysine, threonine이 많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고품질(高品質)의 단백질 식품으로서 가치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 PDF

느타리버섯 포자와 균사체의 양성자 빔 조사에 대한 민감도 (Proton Beam Sensitivity of Basidiospore and Mycelium in Pleurotus ostreatus)

  • 권혜진;공원식
    • 한국균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34-38
    • /
    • 2006
  • 양성자 빔 조사 후 조사선량에 따른 느타리버섯(Pleurotus ostreatus) 담자포자 발아율 및 균사체 생존율이 $10{\sim}100\;Gy$조사선량에서 시그모이드 곡선을 그리며 증가하였으며, 이후 500y 이상 조사시 유의성있게 감소하였다. 50% 치사율($L_{50}$)을 나타내는 조사선량은 담자포자가 500 Gy, 균사체가 400 Gy로 나타났으며, $D_{10}$값($D_{10}\;=\;-l/slope(b)$, y = a + bx) 은 각각 750 Gy와 1,250 Gy로 나타났다. 느타리버섯 돌연변이원으로서 양성자 빔 이용시 적정 조사선량은 담자포자의 경우 $500{\sim}750\;Gy$, 균사체의 경우 $400{\sim}1,000\;Gy$가 바람직하다고 판단되었다.

곡물별 담자균 배양물의 효소활성 (Enzyme activity of Basidiomycetes products in each cereals)

  • 박효숙;김보현;최한석;김중만;김명곤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02-108
    • /
    • 2010
  • 본 연구는 곡류별 버섯 균사체의 성장률과 효소활성을 측정하였다. 현맥 배양물이 다른 곡류와 비교했을때 균사체 성장 속도가 빨랐다. 효소 활성은 기간별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alpha}$-amylase 효소 활성은 느타리와 상황버섯균이 우수하였으며, ${\beta}$-amylase활성은 느타리와 장수버섯균이 우수하였다. Protease활성은 상황버섯균을 제외하고는 곡물에 관계없이 비교적 고른 생산을 보였다. 담자균 배양에 의해서 명도는 감소하고 적색도와 황색도가 증가하였다.

  • PDF

Comparative Analysis of Expressed Sequence Tags from Flammulina velutipes at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 Joh, Joong-Ho;Kim, Kyung-Yun;Lim, Jong-Hyun;Son, Eun-Suk;Park, Hye-Ran;Park, Young-Jin;Kong, Won-Sik;Yoo, Young-Bok;Lee, Chang-S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9권8호
    • /
    • pp.774-780
    • /
    • 2009
  • Flammulina velutipes is a popular edible basidiomycete mushroom found in East Asia and is commonly known as winter mushroom. Mushroom development showing dramatic morphological changes by different environmental factors is scientifically and commercially interesting. To create a genetic database and isolate genes regulated during mushroom development, cDNA libraries were constructed from three developmental stages of mycelium, primordium, and fruit body in F. velutipes. We generated a total of 5,431 expressed sequence tags (ESTs) from randomly selected clones from the three cDNA libraries. Of these, 3,332 different unique genes (unigenes) were consistent with 2,442 (73%) singlets and 890 (27%) contigs. This corresponds to a redundancy of 39%. Using a homology search in the gene ontology database, the EST unigenes were classified into the three categories of molecular function (28%), biological process (29%), and cellular component (6%). Comparative analysis found great variations in the unigene expression pattern among the three different unigene sets generated from the cDNA libraries of mycelium, primordium, and fruit body. The 19-34% of total unigenes were unique to each unigene set and only 3% were shared among all three unigene sets. The unique and common representation in F. velutipes unigenes from the three different cDNA libraries suggests great differential gene expression profiles during the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of F. velutipes mushroom.

느타리버섯 원형질체내(原形質體內)에 사철느타리버섯 핵(核)의 전이(轉移) (Transfer of Isolated Nuclei from Pleurotus florida into Protoplasts of Pleurotus ostreatus)

  • 유영복;유창현;신평균;박용환;장권열
    • 한국균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50-253
    • /
    • 1987
  • 원형질체내에 외래유전물질 도입에 의한 균주 개발의 가능성 검토의 일환으로 사철느타리의 원형질체로부터 핵을 분리하여 느타리의 원형질체내로 전이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핵전이주는 크게 3가지 type으로 구분되었는데 type 1은 아주 빠른 균사생장과 clamp connection를 형성하지 않으며 CM+benomyl에서 균총분리가 나타남으로서 이질이배체로 사료되었다. type 2는 주된 핵전이주로서 모균주와 비슷하거나 다소 빠른 균사생장과 clamp connection을 지녀 자실체를 형성하였으며 heterokaryon으로서 원형질체 융합주와 유사하였다. 그러고 type 3은 핵 또는 염색체 단편의 전이로 clamp connection를 지니지 않고 아주 느리거나 MM에서 생육이 거의 불가능한 균주였다. 2. 핵전이주 및 모균주를 전기영동법으로 esterase 동위효소 pattern을 조사한 결과 핵전이주는 모균주와 구별되었는데 type 1인 이질이배체는 새로운 band를 나타내었으며, type 2와 type 3은 모균주들을 합한 것으로 보였다.

  • PDF

Radiation Sensitivity of Basidiospore and Mycelium in Pleurotus ostreatus

  • Lee, Young-Keun;Chang, Hwa-Hyoung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1권3호
    • /
    • pp.287-293
    • /
    • 1999
  • To assess the effects of gamma-ray (Co-60) on radiation sensitivity and genetic similarity of the basidiospore and mycelium in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the D$_{10}$ values and RAPD patterns were analysed. Three strains were isolated from basidiospores (PO-Bl, -B2, and - B3 from 2 kGy irradiation group) and five strains from mycelia (PO-Ml, -M2 from 1 key, PO-M3 from 2 kGy, and PO-M4 and -M5 from 2+1 key irradiation group). The D$_{10}$ values of basidiospore and mycelium of P. Preurotus ostreatus were 1,250 Gy and 500 Gy, respectively. The growth rates of the eight strains on the five media were various and the activities of extracellular chitinases of them were general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By the gamma-ray radiation, 22-25% of genetic similarities were changed in the basidiospore strains and 23-36% of them in the mycelium strains. From these results, it seems that the basidiospore could be more radio-resistant than the mycelium of P. ostreatus and that the genetic similarity of the mycelium of P ostrentus could be changed easier than that of the basidiospore by the gamma-ray radiation.ion.

  • PDF

인도산(印度産) 참나무(Quercus incana)를 이용한 표고재배(栽培)의 가능성(可能性)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Possidility of Oak Mushroom(Shiitake) Cultivation on Ban Oak (Quercus incana) of India)

  • 이응래
    • 한국균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31-36
    • /
    • 1978
  • 본(本) 실험(實驗)은 인도(印度) Simla지방(地方)에서 자생(自生)하고 있는 참나무 Ban oak(Q. incana)의 표고재배별용(栽培利用) 가능성(可能性)을 검토(檢討)하기 위(爲)하여 수행(遂行)되였다. 표고 균멱(菌)의 活着과 發育 및 자실체(子實體)의 발생상황(發生狀況)을 관찰(觀察)하고 원목성분(原木成分)을 한국(韓國)의 졸참나무(Q. Serrata)와 비교(比較)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Q. incana는 Q. serrat에 비(比)하여 Alcohol-Benzen extract. NaOH extract 및 Ash의 함유량(含有量)이 많았으나 cellulose pentosan은 적었다. 2. Q. incana를 이용(利用)한 톱밥배지(培地)에서의 균멱발육(菌發育)은 Q. serrata보다 신장속도(伸長速度)는 늦으나 균멱(菌)가 세밀하게 발육(發育)하였다. 3. 원목(原木)에서의 균멱발육(菌發育)은 실내시험(室內試驗)이나 야외시험(野外試驗) 공(共)히 Q. serrate가 빨랐으며 균멱(菌)의 활착량(活着率)은 두 수종간(樹種間)에 차이(差異)가 없고 양호(良好)하였다. 4. 원본(原本)에 종균접종후(種菌接種後) 16개월(個月)만에 Ban oak(Q. incana) 및 졸참나무(Q. serrata)에서 전대에서 첫 버섯이 발생(發生)하였다. 5. 이상(以上)의 결과(結果)에서 Ban oak(Q. incana)를 이용(利用)한 표고재배(栽培)는 가능(可能)하다고 사료(思料)된다.

  • PDF

맛버섯(Pholiota nameko) 우량균주 선발 및 병 재배법 (Cultivation technique using plastic container and selection the superior strain of nameko mushroom (Pholiota nameko))

  • 정경주;최덕수;최형국;김정근;정기철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51-58
    • /
    • 2007
  • 맛버섯의 우량균주를 선발하고 병재배에 적합한 환경조건과 재배기술을 찾고자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맛버섯 균사는 MCM배지와 Hamada배지에서 잘 자랐고, 배지의 적정산도는 pH6~7이었다. 균사생육에 가장 적합한 온도는 $25^{\circ}C$였으며, $15^{\circ}C$ 이하와 $30^{\circ}C$ 이상의 조건에서는 균사생육이 현저하게 늦어졌다. 맛버섯 균주 29계통 중 생산성이 좋은 계통은 JNM19007, JNM19026, JNM19027과 JNM19028이었다. 자실체 생산을 위하여 가장 적합한 배지조성비는 미송톱밥 80%와 밀기울 20%(V/V) 혼합배지로 1,100cc 병당 평균 188g의 자실체가 생산되었다. 최적 후배양기간은 50일 이었으며, 균긁기 후 7일 만에 발이 되었다. 발이유기동안 적정 온도는 $12^{\circ}C$이었고, 생육기에는 $16^{\circ}C$였다. 맛버섯 전 재배기간 동안 적합한 상대습도는 95%였다.

  • PDF

참느타리버섯의 원형질체(原形質體) 분리(分離) 및 환원(還元) (Protoplast Isolation and reversion from Pleurotus spodoleucus)

  • 유영복;변명옥;고승주;유창현;장권열
    • 한국균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9-22
    • /
    • 1987
  • 식용버섯의 일종인 참느타리버섯 P. spodoleucus의 유전육종을 위하여 균사체로부터의 원형질체 분리와 분리된 원형질체의 환원에 영향을 미치는 몇가지 요인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원형질체 분리에 알맞는 효소로는 Novozym 234이며, 삼투압 조절제로는 0.6 M sucrose, 효소처리 시간은 3 시간이었다. 그리고 균사체 배양일수는 exponential phase인 3 일이었으며, colony의 $cm^2$당 원형질체 생성수는 $3.43{\times}10^{5}ml^{-1}$이었다. 2. 원형질체 환원에 알맞는 삼투압 조절제는 0.6 M sucrose이며, 환원율은 0.01-0.28%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