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rine macrophage

검색결과 426건 처리시간 0.064초

Macrophage Activation by an Acidic Polysaccharide Isolated from Angelica Sinensis (Oliv.) Diels

  • Yang, Xingbin;Zhao, Yan;Wang, Haifang;Mei, Qibing
    • BMB Reports
    • /
    • 제40권5호
    • /
    • pp.636-643
    • /
    • 2007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and characterize the mechanism of macrophage activation by AAP, an acidic polysaccharide fraction isolated from the roots of Angelica sinensis (Oliv.) Diels. As a result, AAP significantly enhanced nitric oxide (NO) production and cellular lysosomal enzyme activity in murine peritoneal macrophages in vitro and in vivo. Furthermore, L-NAME, a specific inhibitor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effectively suppressed AAP-induced NO generation in macrophages, indicating that AAP stimulated macrophages to produce NO through the induction of iNOS gene expression and the result was further confirmed by the experiment of the increase of AAP-induced iNOS transcrip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To further investigate, AAP was shown to strongly augment toll-like receptor 4 (TLR4) mRNA expression and the pretreatment of macrophages with anti-TLR4 antibody significantly blocked AAP-induced NO release and the increase of iNOS activity,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secretion.

생쥐 대식세포의 K562 종양세포치사 활성에 미치는 인삼 분획물의 영향 (Effects of a Ginseng Saponin Fraction on the Tumoricidal Activity of Murine Macrophage Against K562 Cells)

  • 김웅;정노팔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3권1호
    • /
    • pp.24-29
    • /
    • 1989
  • 본 실험에서는 대식세포에 의한 K562 종양세포의 치사에 미치는 인삼 분획물들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LPS만을 처리하여 주어 종양세포의 치사 활성을 유도한 대식세포보다도 LPS 와 saponin을 복합처리하여준 대식세포가 K562 종양세포에 대하여 더 높은 종양 치사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인삼 분획물 즉, total, diol, triol saponin 모두 같은 양상을 나타내었다. 2. 대식세포없이 배양엑에 인삼 saponin 만을 처리하여 주었을 경우, 인삼 saponin 이 K562 종양세포에 대한 치사작용을 나타내지 않았다. 3. 이러한 결과로 인삼 saponin이 대식세포를 통하여 K562 세포 치사 활성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Peanut sprout tea extract inhibits lung metastasis of 4T1 murine mammary carcinoma cells by suppressing the crosstalk between cancer cells and macrophages in BALB/c mice

  • Jae In Jung;Hyun Sook Lee;Jaehak Lee;Eun Ji Kim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7권5호
    • /
    • pp.917-933
    • /
    • 2023
  • BACKGROUND/OBJECTIVES: As peanuts germinate, the content of the components beneficial to health, such as resveratrol, increases within the peanut sprout.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ethanol extract of peanut sprout tea (PSTE) inhibits breast cancer growth and metastasis. MATERIALS/METHODS: After orthotopically injecting 4T1 cells into BALB/c mice to induce breast cancer, 0, 30, or 60 mg/kg body weight/day of PSTE was administered orally. Angiogenesis-related protein expression in the tumors and the degree of metastasis were analyzed. 4T1 and RAW 264.7 cells were co-cultured, and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was performed to measure the crosstalk between breast cancer cells and macrophages. RESULTS: PSTE reduced tumor growth and lung metastasis. In particular, PSTE decreased matrix metalloproteinase-9, platelet endothelial cell adhesion molecule-1,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A, F4/80, CD11c, macrophage mannose receptor, 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and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 1 expression in the tumors. Moreover, PSTE prevented 4T1 cell migration, invasion, and macrophage activity in RAW 264.7 cells. PSTE inhibited the crosstalk between 4T1 cells and RAW 264.7 cells and promoted the macrophage M1 subtype while inhibiting the M2 subtype.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STE blocks breast cancer growth and metastasis to the lungs. This may be because the PSTE treatment inhibits the crosstalk between mammary cancer cells and macrophages and inhibits the differentiation of macrophages into the M2 subtype.

실크 피브로인 유래 펩타이드에 의한 RAW 264.7 Macrophage의 Nitric Oxide 생성 촉진 (Stimulation of Nitric Oxide Production in RAW 264.7 Macrophages by the Peptides Derived from Silk Fibroin.)

  • 박금주;현창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39-45
    • /
    • 2002
  • 실크 피브로인의 가수분해를 통해 생산된 펩타이드 성분에 의해 murine macrophage RAW264.7 세포에 의한 nitric oxide 생성이 촉진됨을 발견하였다. 산 및 효소적 가수분해물의 가수분해도를 비교한 결과 실크 피브로인 단백질은 산 가수분해에 의해 가장 효과적으로 분해되었으며 효소적 가수분해의 경우에는 pepsin, trypsin, Alcalase의 순으로 가수분해도가 높았다. 산 가수분해물을 단독으로 macrophage에 처리하였을 때 처리농도에 따라 NO 생성촉진활성이 높아졌으나 이 활성은 가수분해물 내의 펩타이드 성분들과 오염되어 혼재하는 LPS 성분의 상호작용에 의한 것임이 확인되었다. 함유된 LPS 성분들을 한외여과에 의해 제거한 효소적 가수분해물들의 NO 생성촉진활성은 peptic hydrolysate가 가장 높았고 tryptic-, Alcalase hydrolysate 순이었다. 이러한 활성의 차이는 가수분해물 내의 고분자량 펩타이드 분포가 많을수록 활성이 높다는 관계에 기인하였으나 산 가수분해물의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나타났다. 각 가수분해물의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 arginine, lysine의 함량이 높을수록 활성이 높으며 alanine의 glycine에 대한 비율이 커질수록 활성이 높아졌다. 산 가수분해물의 경우에는 낮은 분자량의 펩타이드들이 많이 분포하지만 arginine 및 alanine의 함량이 높아 비교적 높은 NO 생성 촉진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Salmonella typhimurium lipid A를 처리한 식세포 존재 조건에서 mitogen에 유도되는 이자 세포의 증식억제 (Lipid A of Salmonella typhimurium Suppressed T-cell Mitogen-Induced Proliferation of Murine spleen Cells in the Presence of Macrophage)

  • 강경숙;정경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1-38
    • /
    • 2007
  • 사람의 장티푸스 연구는 생쥐에 감염되는 Salmonella typhimurium를 모델로 연구되고 있으며, 생쥐에 있어서 S. typhimurium의 감염은 이자세포의 증식반응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S. typhimurium lipid A의 처리가 T세포 mitogen에 의한 이자 세포의 증식에 어떤 영향을 주는 가를 in vitro와 ex vivo조건에서 알아 보았다. Lipid A 단독 처리는 이자 세포의 증식을 보였으나, lipid A 처리 후 T 세포 mitogen인 concanavalin A (Con A)와 phytohemagglutinin (PHA)에 의한 in vitro와 ex vivo 조건에서의 이차 처리는 오히려 세포증식이 억제되었다. Lipid A를 주사한 생쥐로부터 분리한 이자 세포에서 대식세포를 제거하였을 조건에서는 T 세포 mitogen에 의한 증식 효과가 유지되었으나 대식세포를 제거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T세포 mitogen에 의한 증식 효과가 억제되었다. Lipid A를 주사한 생쥐에서 얻은 대식세포를 포함한 이자세포의 숫자를 증가하면서 Lipid A를 주사하지 않은 생쥐에서 얻은 이자세포와 혼합 배양하였을 때 Lipid A를 주사한 생쥐에서 얻은 대식세포를 포함한 이자세포의 숫자가 높을수록 Con A와 PHA에 의한 증식억제가 높게 측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Con A와 PHA의 이자세포 증식 기능이 lipid A의 전처리에 의해 활성화된 대식세포의 직접적인 접촉 작용으로 억제된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억제에 관여하는 대식세포 표면분자를 밝히는 것이 사람의 장티푸스 연구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당화된 레스베라트롤의 대식세포 RAW 264.7세포의 생존능력과 레스베라트롤의 면역제어 활성을 증가 (Glucosylation of Resveratrol Improves its Immunomodulating Activity and the Viability of Murine Macrophage RAW 264.7 Cells)

  • 라메스 프라시드 판데이;이지선;박용일;송재경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19-26
    • /
    • 2017
  • 레스베라트롤의 면역제어 성질과 대식세포의 생존능력과 관련하여 당화된 레스베라트롤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대식세포 RAW 264.7에서 연구하였다. 인비토로에서 대식세포에서 총 4개의 레스베라트롤 및 당화된 유도체 (E)-resveratrol, (E)-resveratrol 3-O-${\beta}$-${\small{D}}$-glucoside (R-3-G), 및 (E)-resveratrol 4'-O-${\beta}$-${\small{D}}$-glucoside (R-4'-G)를 여러 가지 농도로 처리한 후 일산화질소 (NO)와 인터루킨 6 (IL-6) 발현을 연구하였다. 앞서 언급한 물질로 처리한 후 인비토로에서 RAW 264.7 세포의 생존능력도 연구하였다. 대식세포 생존능력 평가분석 결과를 보면, 두 개의 레스베라트롤 모노글루코사이드인 R-3-G와 R-4'-G은 (E)-resveratrol와 비교하여 A549 and HepG2 세포에서 50-80% 감소된 독성을 보여준다. 당이 없는 레스베라트롤과 비교하면, 당화된 레스베라트 유도체는 긍정적으로 전사적으로 IL-6 및 iNOS 발현이 높아지는 방향으로 NO 및 대식세포에서 IL-6의 생산이 조절된다. 레스베라트롤의 당의 역할은 RAW 264.7 세포의 생존능력과 레스베라트롤의 면역제어 활성을 증가시켜 주는 것으로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