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ple shoots

검색결과 190건 처리시간 0.035초

종자 및 기내배양을 이용한 석창포 증식 (Propagation of Acorus gramineus from Seeds and In vitro Culture)

  • 박영철;김정선;양석철;조연동;김용덕;박재권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347-351
    • /
    • 2008
  • 뿌리에 진통, 진정, 건위, 구충 효능이 있다고 알려진 석창포(Acorus gramineus Soland)의 확대재배를 위하여 현재 분근증식만으로 한정되어 있는 번식법을 개선하고자 종자번식과 기내배양에 의한 번식 방법을 검토하였다. 종자번식을 위한 수확적기는 종피가 연녹색을 띠었을 때가 적합하였으며, 종자의 보관은 $5^{\circ}C$에서 30일까지 저장하는 것이 발아율을 높게 유지할 수 있었다. 석창포의 기내발아에는 $2.0mg{\cdot}L^{-1}$ NAA와 $0.1mg{\cdot}L^{-1}$ BA를 MS 기본배지에 첨가하여 다수의 신초를 유도한 후, $0.1mg{\cdot}L^{-1}$ BA 단독 처리 및 $0.5mg{\cdot}L^{-1}$ NAA와 $1.0mg{\cdot}L^{-1}$ BA 혼합처리에서 발근을 유도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석창포 육묘상토로는 vermiculite보다 원예상토가 생육이 우수하였다.

들잔디 재배지에 발생한 총생 증상 및 형태적 특성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Occurrence of Yellow Tuft on Zoysiagrass (Zoysia japonica) in Cultivation Fields)

  • 전창욱;한정지;김동수;곽연식;배은지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5권1호
    • /
    • pp.17-22
    • /
    • 2016
  • 장성지역 잔디 재배지에서 총생 증상의 들잔디가 발생하였다. 총생 증상의 들잔디는 작고 다발형태로 유의한 형태적인 변화를 보였고, 병징은 여러 개의 잎이 짧은 포복경 마디에 무더기로 발생되어 빗자루처럼 총생 형태를 보였으며, 총생 형태의 잔디는 잎이 황화되면서 연녹색이나 노란색을 띄었다. 총생 증상을 보이는 들잔디는 건전한 들잔디에 비해 포복경 1개 마디당 약 5.8배 이상의 잎이 발생하였다. 또한 과도한 지상부 생육으로 인해 포복경과 지하부 생장이 저조하였다. 총생 병징의 들잔디를 채집하여 병원균을 배양한 후 관찰한 결과 포자낭의 모양은 레몬모양이었으며, 포자낭 축의 끝이 뾰족하게 튀어나와 있었고, 크기는 $60{\sim}96{\times}42{\sim}51{\mu}m$로 관찰되었다. 이는 Sclerophthora macrospora 병원균이 형성하는 포자낭의 균학적 특징과 유사하였고, 봄과 가을에 병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 잔디 재배지 총생 증상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High frequency direct plant regeneration from leaf, internode, and root segments of Eastern Cottonwood (Populus deltoides)

  • Yadav, Rakesh;Arora, Pooja;Kumar, Dharmendar;Katyal, Dinesh;Dilbaghi, Neeraj;Chaudhury, Ashok
    • Plant Biotechnology Reports
    • /
    • 제3권3호
    • /
    • pp.175-182
    • /
    • 2009
  • Simple, reproducible, high frequency, improved plant regeneration protocol in Eastern Cottonwood (Populus deltoides) clones, WIMCO199 and L34, has been reported. Initially, aseptic cultures established from axillary buds of nodal segments from mature plus trees on MS liquid medium supplemented with $0.25mg\;1^{-1}$ KIN and $0.25mg\;1^{-1}$ IAA. Nodal and internodal segments were found to be extra-prolific over shoot apices during course of aseptic culture establishment, while $0.25mg\;1^{-1}$ KIN concentration played a stimulatory role in high frequency plant regeneration. Diverse explants, such as various leaf segments, internodes, and roots from in vitro raised cultures, were employed. Direct plant regeneration was at high frequency of 92% in internodes, 88% in leaf segments, and 43% in root segments. This led to the formation of multiple shoot clusters on established culture media with rapid proliferation rates. Many-fold enhanced shoot elongation and growth of the clusters could be achieved on liquid MS medium supplemented with borosilicate glass beads, which offer physical support for proliferating shoots leading to faster growth in comparison to semi-solid agar or direct liquid medium. SEM examination of initial cultures confirmed direct plant regeneration events without intervening calli. In vitro regenerated plants induced roots on half-strength MS medium with $0.15mg\;1^{-1}$ IAA. Rooted 5- to 6-week-old in vitro regenerated plants were transferred into a transgenic greenhouse in pots containing 1:1 mixture of vermicompost and soil at $27{\pm}2^{\circ}C$ for hardening and acclimatization. 14- to 15-week-old well-established hardened plants were transplanted to the field and grown to maturity. The mature in vitro raised poplar trees exhibited a high survival rate of 85%; 4-year-old healthy trees attained an average height of 8 m and an average trunk diameter of 25 cm and have performed well under field conditions. The regeneration protocol presented here will be very useful for undertaking genetic manipulation, providing a value addition to Eastern Cottonwood propagation in future.

배지내 몇가지 첨가물질이 온대산 Cymbidium속 유묘배양시 배지산화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veral Additives on Medium Browning and Mericlone Growth of Temperate Cymbidium Species)

  • 정재동;이지희;지선옥;김창길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6권2호
    • /
    • pp.239-241
    • /
    • 1998
  • 온대산 Cymbidium속의 생장점으로 부터 근경이나 유묘를 증식시키고자 할 때 문제가 되고 있는 몇가지 요인을 검토하여 근경 및 유묘증식 효율을 제고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Hyponex 배지에 몇가지 물질을 첨가한 실험에서 '녹운(綠雲)'은 $H_3P_4$ 배지에 $NaH_2PO_4{\cdot}H_2O$ 170 mg/L 단용이나 thiamine HCl 0.4 mg/L와의 혼용시 대조구에 비해 많은 유묘가 증식되었으나 이외의 품종은 거의 효과가 없었다. 갈변방지 실험에서 춘한란 '호덕지화(浩德之花)'의 근경을 PVP 150 mg/L를 첨가한 배지에 배양했을 때 갈변 방지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유묘로부터 근경재형성 또는 유묘 증식시, '소접(素蝶)' 유묘로부터의 근경 재형성은 초장이 5.5cm인 유묘를 NAA 2.0mg/L와 BA 1.0mg/L첨가배지에 암배양시, 유묘의 증식은 NAA 1.0mg/L와 BA 3.0mg/L첨가배지에서 명배양시 양호하였다. '서신매(西神梅)'와 '송매(宋梅)'의 근경 재형성은 초장이 각각 5.5cm와 2.5cm인 유묘를 NAA 2.0mg/L과 kinetin 1.0mg/L 첨가 배지에서 암배양시, 유묘의 증식은 NAA 2.0mg/L와 BA 3.0mg/L 첨가배지에서 명배양시 양호하였다.

  • PDF

유색칼라 'Florex Gold' 경정배양에 있어서 다아체 형성 및 식물체 재분화에 미치는 생장조절제의 영향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s on the Formation of Adventitious Bud Callus and Plant Regeneration in Shoot Tip Culture in Zantedeschia spp. 'Florex Gold')

  • 유용권
    • 화훼연구
    • /
    • 제17권1호
    • /
    • pp.23-28
    • /
    • 2009
  • 경정배양을 통해 유색칼라 'Florex Gold'의 대량생산체계를 확립하고자 다아체의 형성 및 식물체 재분화에 미치는 생장조절제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TDZ $0.1mgL^{-1}$ 처리는 BA 처리보다 경정으로부터 다아체의 형성이 왕성하였고, 길이가 짧은 신초가 분화하였다. BA와 NAA 혼용처리는 BA 단용처리에 비해 다아체 형성 및 신초분화를 억제하였다. TDZ $0.1mgL^{-1}$가 첨가된 배지에서 경정배양을 통해 생산된 다아체 절편체(0.3 cm)에서의 다아체 증식은 TDA $0.1mgL^{-1}$와 BA $2.0mgL^{-1}$의 농도에서 가장 효과적이었다. 다아체 절편체를 TDZ $0.001mgL^{-1}$에서 배양시 신초가 가장 많이 형성되었고, 신초의 길이도 가장 길었다. 다아체 절편체로 부터의 뿌리의 생장은 TDZ $0.001mgL^{-1}$와 BA $0.2mgL^{-1}$ 처리에서 가장 양호하였다. 결과적으로 Zantedeschia spp. 'Florex Gold'의 기내 대량번식은 TDZ $0.1mgL^{-1}$이 첨가된 배지에서 경정배양을 통해 형성된 다아체를 증식하여 기관분화를 유도함으로써 대량번식이 가능하였다.

코끼리마늘(Allium ampeloprasum L.)의 기내 미숙총포 배양을 통한 다신초유도와 종구대량증식 시스템 (Multiple Shoot Induction and Bulb Mass Proliferation System by in Vitro Immature Spathe Culture of Elephant Garlic (Allium ampeloprasum L.))

  • 권영희;정재현;이재선;전종옥;박영욱;민지현;장후봉;이상영;윤철구;김기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55-362
    • /
    • 2018
  • 본 연구는 증식이 어려운 코끼리마늘(Allium ampeloprasum L.)의 종구 보급을 위해 기내배양 기술을 이용한 대량증식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코끼리마늘의 미숙총포를 수확 직후 길이별로 채취하여 MS배지에 NAA와 kinetin 생장조절제를 혼합 농도 처리하여 배양한 결과, 10 cm 길이로 채취하였을 때가 절편체당 신초수 14.9개로 가장 많이 얻어졌다. 생장조절제 농도에 따른 생장을 조사한 결과, kinetin 2 mg/L와 NAA 0.5 mg/L를 첨가한 MS배지에서 절편체당 신초수가 14.9개로 가장 많았고 초장은 11.3 cm였으며, 생체중은 2.5 g으로 가장 좋았다. 코끼리마늘 기내소구 형성에 적합한 최적 배지조성은 생장조절제 kinetin 2 mg/L, NAA 0.5 mg/L를 첨가한 MS 배지에 다신초 유기물질인 adenine 30 mg/L를 첨가하였을 때 구 형성률이 48%로 높았으며, 이 배지에 sucrose 7%를 첨가하였을 때 기내종구 형성률이 98.2%로 증가하였다. 다신초 유도를 위한 계대배양은 1차 배양 단계보다 2차 계대배양 단계에서 신초 증식배율이 좋았으며, 2차 계대배양에서 구 형성률은 80%로 높게 나타났다.

오옥신과 사이토키닌 호르몬 처리를 이용한 칼라 기내 식물체 대량증식체계 확립 (Establishment of propagation system for in vitro calla plants(Zantedeschia spp.) by using auxin and cytokinin hormones treatments)

  • 이상희;김영진;양환래;김종보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4호
    • /
    • pp.325-329
    • /
    • 2018
  • 천남성과에 속한 칼라는 생육 조건에 따라 두 종류로 구분이 가능한데 그 중 꽃 모양과 화색이 다양한 유색 칼라는 절화로서 인기가 매우 높다. 그러나 유색 칼라는 자연 번식률이 매우 낮고 개화구근을 얻기 까지 오랜 시간이 소요되어 우량 품종의 대량 번식 체계 확립이 시급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칼라 기내 식물체의 생육을 향상시키고자 다양한 식물 성장 호르몬을 처리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뿌리 발생은 기본 MS 배지에서 81.5 %로 가장 높았고 신초 및 다신초 발생률은 BA 2.0 mg/L와 IBA 1.0 mg/L 혼용 처리구에서 100.0 %와 36.4 %로 가장 높았다. 또한 생체중에서는 BA 2.0 mg/L 단일 처리구에서 11.2배가 증가하여 모든 처리구중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Auxin과 cytokinin 혼용 처리 실험은 이전 연구에서도 많이 이용되고 있고 칼라 식물 생장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줌으로써 미소대량증식체계 확립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판단된다.

표식유전자를 이용한 담배와 감자의 원형질체 융합 (Protoplast Fusion of Nicotiana glauca and Solanum tuberosum Using Selectable Marker Genes)

  • 박태은;정해준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4권
    • /
    • pp.103-142
    • /
    • 1991
  • 표식 유전자를 이용하여 체세포 잡종체를 선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감자조직에는 T-DNA를 도입하여 식물호르몬 무첨가 배지에서도 생장가능한 형질전환체을 획득하고, 담배조직에는 NPT H gene을 도입하여 kanamycin에 대해서 저항성을 나타내는 형질전환체를 획득하여 각각의 특성구명과 원형질체를 유리하여 도입된 유전자 marker를 이용해서 융합을 시도한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감자 괴경에서 Agrobacterium tumefaciens Ach5와 A. rhizogenes ATCC15834를 접종하여 crown gall tumor 및 hairy root를 유기하였으며 이러한 tumor조직은 식물 호르몬 무첨가 배지에서 생장이 가능하였다. 2. 감자에서 유기된 hairy root로부터 callus 형성은 2.4-D 2mg/1 첨가된 MS 배지에서 가장 양호하였으며 casein hydrolysate 1g/1가 첨가하면 유연 한 callus의 증식이 더욱 왕성하였다. 3. Activated charcoal이 0.5~2.0g/1 첨가된 배지에서는 crown gall tumor callus의 절단면이 갈변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어 생존률을 높일 수 있었으나 hairy root에서는 갈변되어 고사되었다. 4. 2, 4-D 2mg/1와 casein hydrolysate 1g/1를 첨가한 배지에 hairy root callus를 현탁배의한 결과 양호한 많은 callus 덩어리들을 단시간에 얻을 수 있었다. 5. $Tri^-$parental mating으로 NPTII gene이 coding되어있는 binary vector인 pGA643을 wild type 및 disarmid된 Agrobacterium 내에 도입하여 Agrobacterium tumefaciens Ach5/pGA643, A.tumefaciens $A_4T$/pGA643, A. tumefaciens LBA4404/pGA643를 획득하였다. 이 세 개의 conjugant를 사용하여 0.7% agarose gel 상에서 pGA643을 확인하였다. 6. pGA643이 도입왼 Agrobacterium tumefaciens LBA4404와 담배 조직과 동시배양하여 kanamycin $100\mug$/ml 첨가된 배지에 생존하는 callus를 선발하였으며 동일배지에서 callus의 증식이 가능하였다. 7.형질전환된 담배 callus로부터 식물체 형성은 BA 2mg/1를 첨가한 배지에서 가능하였다. 8. 재분화된 담배의 엽조직은 kanamycin.이 $1000\mug$/ml 첨가된 MS 배지에서도 왕성히 callus가 유기되어, 이는 재분화체에서도 NPTII gene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9. 담배의 정상 shoot와 형질전환된 shoot를 kanamycin이 $100\mug$/ml이 함유된 MS배지에 기내삽목한 결과, 정상 shoot는 발근이 되지 않고 황화 되었으나 형질전환된 shoot는 발근이되었으며 정상적으로 생장을 하였다. 10. 감자의 T-DNA가 도입된 현탁배양 callus는 cellulase 2%, macerozyme 2%, dricelase 1%에서 양호하게 유리되었다. 11. Osmoticum으로서 mannitol 농도 0.8M에서 담배와 감자의 두 조직 모두 원형질체유리가 가장 효과적이었다. 생존력은 T-DNA가 도입된 감자의 hairy root를 callus로 탈분화 시킨 후 현탁배양한 callus가 mannitol 0.5M에서 97%를 나타냈고, 그리고 NPTII gene이 도입된 담배의 엽조직은 mannitol 0.7M에서 94%로 최고를 타나냈다. 12. 원형질체 융합은 PEG solution 처리 15분 후부터 관찰되기 시작하여 20분에 완전히 융합되었고, 융합된 원형질체는 선발 marker인 호르몬 무첨가 및 kanamycin 첨가배지에서 배양 5일 후에 세포벽이 재생되었으며 4주일 후부터 colony들이 관찰되었다.

  • PDF

Improving Corsican pine somatic embryo maturation: comparison of somatic and zygotic embryo morphology and germination

  • Wtpsk, Senarath;Shaw, D.S.;Lee, Kui-Jae;Lee, Wang-Hyu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03년도 춘계 학술발표대회
    • /
    • pp.61-62
    • /
    • 2003
  • Clonal propagation of high-value forest trees through somatic embryogenesis (SE) has the potential to rapidly capture the benefits of breeding or genetic engineering programs and to improve raw material uniformity and quality. A major barrier to the commercialization of this technology is the low quality of the resulting embryos. Several factors limit commercialization of SE for Corsican pine, including low initiation rates, low culture survival, culture decline causing low or no embryo production, and inability of somatic embryos to fully mature, resulting in low germination and reduced vigour of somatic seedlings. The objective was to develop a Corsican pine maturation medium that would produce cotyledonary embryos capable of germination. Treatments were arranged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Data were analyzed by analysis of variance, an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reatments determined by multiple range test at P=0.05. Corsican pine (Pinus nigra var. maritima) cultures were initiated on modified !P6 medium. Modifications of the same media were used for culture multiplication and maintenance. Embryogenic cultures were maintained on the same medium semi solidified with 2.5 g/l Gelrite. A maturation medium, capable of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Corsican pine somatic embryos that can germinate, is a combination of iP6 modified salts, 2% maltose, 13% polyethylene glycol (PEG), 5 mg!l abscisic acid (ABA), and 2.5 g/l Gelrite. After initiation and once enough tissue developed they were grown in liquid medium. Embryogenic cell suspensions were established by adding 0.951.05 g of 10- to 14-day-old semisolid-grown embryogenic tissue to 9 ml of liquid maintenance media in a 250ml Erlenmeyer flask. Cultures were then incubated in the dark at 2022$^{\circ}$C and rotated at 120 rpm. After 2.53 months on maturation medium, somatic embryos were selected that exhibited normal embryo shape. Ten embryos were placed horizontally on 20 ml of either germination medium ($\frac{2}{1}$strength Murashige and Skoog (1962) salts with 2.5 g/l activated charcoal) or same medium with copper sulphate adjusted to 0.25 mg/1 to compensate for copper adsorption by activated carbon. 2% and 4% maltose was substituted by 7.5% and 13% PEG respectively to improve the yield of the embryos. Substitution of' maltose with PEG was clearly beneficial to embryo development. When 2% of the maltose was replaced with 7.5% PEG, many embryos developed to large bullet-shaped embryos. At latter stages of development most embryos callused and stopped development. A few short, barrel-shaped cotyledonary embryos formed that were covered by callus on the sides and base. When 4% of the maltose was removed and substituted with 13% PEG, the embryos developed further, emerging from the callus and increasing yield slightly. Microscopic examination of the cultures showed differing morphologies, varying from mostly single cells or clumps to well-formed somatic embryos that resembled early zygotic embryos only liquid cultures with organized early-stag. A procedure for converting and acclimating germinants to growth in soil and greenhouse conditions is also tested. Seedling conversion and growth were highly related to the quality of the germinant at the time of planting. Germinants with larger shoots, longer, straighter hypocotyls and longer roots performed best. When mature zygotic embryos germinate the root emerges, before or coincident with the shoot. In contrast, somatic embryos germinate in reverse sequence, with the cotyledons greening first, then shoot emergence and then, much later, if at all, the appearance of the root. Somatic seedlings, produced from the maturation medium, showed 100% survival when planted in a field setting. Somatic seedlings showed normal yearly growth relative to standard seedlings from natural seed.

  • PDF

경정배양에 의한 한국 자생 비비추속 식물의 기내증식 (In vitro Multiplication of Hosta Tratt. Species Native to Korea by Shoot-tip Culture)

  • 최한;양종철;류선희;윤새미;김상용;이승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53-62
    • /
    • 2019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자생하고 있는 비비추속 식물 6종(일월비비추, 주걱비비추, 다도해비비추, 좀비비추, 한라비비추, 흑산도비비추)의 정단을 이용하여 대량증식과 품종개발 등을 위한 기내증식체계를 확립하고자 하였다. 정단은 0.5, 1.0, 2.0, 4.0 mg/L BA와 0.1, 0.5, 1.0, 2.0 mg/L TDZ를 0.1 mg/L NAA와 각각 혼용한 조건과 PGRs을 무첨가한 조건(control)의 MS배지에 배양하였다. 배양 8주 후에 embryogenic callus, somatic embryo, crown bud, 그리고 신초와 뿌리의 분화 및 생육, 생체중 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6종의 비비추 식물 모두에서 control에 비하여 PGRs 처리구의 embryogenic callus와 somatic embryo 형성율, 다신초 분화율이 높았다. 분화된 신초의 개수는 일월비비추는 2.0 mg/L TDZ에서 5.4개, 주걱비비추와 다도해비비추는 1.0 mg/L TDZ에서 각각 3.3개, 5.8개, 좀비비추는 0.5mg/L BA에서 11.1개, 흑산도비비추는 0.5 mg/L TDZ에서 9.8개, 한라비비추는 1.0 mg/L BA, 0.1 mg/L TDZ에서 8.1개로 가장 많았다. Somatic embryo 형성에서는 다도해비비추와 흑산도비비추가 처리한 PGRs에 대해 효과적이었고, 일월비비추, 주걱비비추, 좀비비추, 한라비비추에서는 상대적으로 효과가 적었다. 4종의 자생 비비추(일월비비추, 주걱비비추, 다도해비비추, 흑산도비비추)에서 조사된 crown bud도 control에 비하여 PGRs 처리구에서 더많이 형성되었다. 주걱비비추는 cytokinin의 종류 및 농도와 상관없이 callus와 신초 분화에 큰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crown bud의 형성에는 TDZ에서 약간 증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