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ple cyst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28초

혈관육종의 낭성 폐전이에 의한 기흉 1예 (A Case of Pneumothorax Caused by Cystic Lung Metastasis of Angiosarcoma)

  • 이찬주;최준정;전한호;정경수;박병훈;박선철;신상윤;정우영;변민광;문지애;김영삼;김세규;장준;김성규;박무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4권5호
    • /
    • pp.374-378
    • /
    • 2008
  • 혈관육종은 매우 드문 악성종양으로 고령 남자의 두피나 얼굴에 주로 발생하며, 폐로 전이되는 경우가 있다. 폐전이의 경우 객혈, 기흉 등의 호흡기계 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 저자들은 혈관육종의 폐전이가 낭성변화를 일으켜 기흉 및 혈흉을 초래한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요막관 기형의 임상적 고찰 (A Clinical Observation of Children with Urachal Anomalies)

  • 이상배;정창현;김강성;류민혁;이동진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9권2호
    • /
    • pp.213-221
    • /
    • 2005
  • 목 적 요막관 기형은 증상이 없는 경우 발견하기 힘든 드문 질환으로 유형에 따라 다양한 임상 양상을 보이며 적절한 진단과 치료가 지연되는 경우는 농양이나 복막염, 드물게는 결석 형성과 악성 종양으로 이행될 수 있다. 그러나 균일한 지침의 부족으로 진단과 치료에 어려움이 따르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저자들은 울산 동강병원에서 치료한 14례의 환자를 분석하여 이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도움이 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6년 1월부터 2005년 6월까지 울산 동강병원에서 치료한 20세 미만의 환자 14례를 대상으로 이들의 의무 기록을 검토하여 성별 및 연령별 분포, 기형의 유형, 임상 증상, 진단 방법, 동반 기형, 치료 방법, 합병증 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14명의 환아 중 남아와 여아는 각각 7명씩이었으며 평균연령은 3.8세였다. 요막관 낭종이 6례로 가장 많았으며 요막관 개존이 4례, 요막관 게실과 요막관동이 각각 2례씩 조사되었다. 동반 질환으로는 수신증이 4례로 가장 많았으며 서혜부 탈장 1례와 방광-요관 역류 1례가 관찰되었다. 진단을 위한 일차 검사로 고해상도 초음파 검사가 13례, 전산화 단층촬영이 1례에서 시행되었고 모든 환아에서 일차 검사로 기형의 유형이 확인되었다. 모두 9례에서 외과적 절제술이 시행되었으나 신생아기에 발견된 6례 중 5례는 추적 관찰을 통해 자연 소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 론 : 저자들은 기형에 대한 일차 검사로 고해상도 초음파 검사를 통해 용이하게 진단할 수 있었으나 정확한 유용성을 알기 위해서는 추후 다른 진단 방법과의 비교 조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치료 전 동반 가능한 비뇨기계 및 위장관계 질환에 대한 정확한 평가가 필요하며 신생아기에 진단된 요막관 기형인 경우는 외과적 절제보다는 면밀한 추적 관찰이 우선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신세뇨관 확장증, Caroli 증후군 및 총 담관낭을 동반한 선천성 간 섬유증 1례 (A Case of Congenital Hepatic Fibrosis Accompanied by Renal Tubular Ectasia, Caroli Syndrome and Choledochal Cyst)

  • 최봉석;배상남;임영탁;박재홍;이창훈;이준우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7호
    • /
    • pp.923-927
    • /
    • 2002
  • 우연히 발견된 간비장 종대를 주소로 내원한 3세 여아에서 신낭종을 동반한 선천성 간섬유화증을 진단한 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정위적 뇌생검의 임상분석 (Clinical Analysis of Stereotactic Biopsy in Brain Lesions)

  • 김영욱;김재휴;서승권;이정길;김태선;정신;김수한;강삼석;이제혁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29권1호
    • /
    • pp.15-22
    • /
    • 2000
  • Objective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benefits and risks of the stereotactic biopsy in brain lesions. We assessed the diagnostic accuracy and morbidity rate associated with the stereotactic biopsy. Methods : The authors present a review of 47 patients, who underwent stereotactic biopsy using Cosman-Roberts-Wells(CRW) stereotactic apparatus during last six years. Results : Target locations were supratentorial in 36 cases, infratentorial in 9 and multiple in 2. According to pathological diagnosis, the largest group was neoplasm(29) followed by infection(9), infarction(2), cyst(2), and non-specific(5). Definitive diagnosis could be made in 42 of 47 cases(89.4%). When the mass lesion had been suspected as neoplastic condition, the diagnostic rate was 96.7%(29/30). It was being much higher than that of non-neoplastic lesion, 76.5%(13/17). The treatment modality was changed in 15 cases(32%) because the result of stereotactic biopsy was different from clinical diagnosis. Subsequent craniotomy after stereotactic biopsy was then performed in 6 cases, and the pathological diagnoses were precisely coincident in all of these cases. There were two complications(4.3%) : One intratumoral hemorrhage in glioblastoma and a transient hemiparesis in benign astrocytoma. There was no mortality in this series. Conclusion : The precise histological verification is crucial to determine the adequate treatment modality in intracranial lesions. Stereotactic biopsy is a safe and accurate diagnostic procedure for intracranial lesions with a low complication rate.

  • PDF

Mesenteric Pseudocyst of the Small Bowel in Gastric Cancer Patient: A Case Report

  • Lee, Sang-Eok;Choi, In-Seok;Choi, Won-Jun;Yoon, Dae-Sung;Moon, Ju-Ik;Ra, Yu-Mi;Min, Hyun-Sik;Kim, Yong-Seok;Kim, Sun-Moon;Sohn, Jang-Sihn;Lee, Bong-Soo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2권1호
    • /
    • pp.43-45
    • /
    • 2012
  • Mesenteric pseudocyst is rare. This term is used to describe the abdominal cystic mass, without the origin of abdominal organ. We presented a case of mesenteric pseudocyst of the small bowel in a 70-year-old man. Esophago-gastro-duodenoscopy showed a 3.5 cm sized excavated lesion on the posterior wall of angle. Endocopic biopsy confirmed a histologic diagnosis of the poorly differentiated adenocarcinoma, which includes the signet ring cell component. Abdominal computed tomography scan showed a focal mucosal enhancement in the posterior wall of angle of the stomach, a 2.4 cm sized enhancing mass on the distal small bowel loop, without distant metastases or ascites in rectal shelf, and multiple gallbladder stones. The patient underwent subtotal gastrectomy with gastroduodenostomy, segmental resection of the small bowel, and cholecystectomy. The final pathological diagnosis was mesenteric pseudocyst. This is the first case report describing incidentally detected mesenteric pseudocyst of the small bowel in gastric cancer patients.

낭종성 법랑아세포종 - 문헌고찰 및 증례 - (UNICYSTIC AMELOBLASTOMA - Case Report -)

  • 이의웅;박형식;차인호;김진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3권2호
    • /
    • pp.160-166
    • /
    • 1991
  • 치성낭종과 법랑아세포종과의 조직학적 기준이 모호한 경우에 과거에는 병리학자들이 진단하는데 어려움이 많았으나 1970년 Robinson & Martinez가 조직학적 기준을 제시하면서 unicystic ameloblastoma라 명명하였다. Unicystic ameloblastoma는 conventional ameloblastoma 보다 젊은 연령인 10대, 20대에서, 하악 제3대구치부에서 호발하며 방사선학적으로 단방성 혹은 다방성의 비교적 경계가 뚜렷한 방사선 투과성 병소를 보인다. 이 병소는 적출술만으로 치료하였을 때 solid or multicystic ameloblastoma보다 현저히 낮은 재발율을 보인다. 임상적, 방사선학적으로 unicystic ameloblastoma가 의심되면 병소를 완전히 적출하여 정확한 병리조직학적 진단을 하여 solid or multicystic ameloblastoma일 때는 2차적으로 광범위한 수술 등을 고려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되어 문헌고찰과 함께 3증례의 치료 경험을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백서 두개골 결손부의 골재생에 fibrin glue가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THE EXPERIMENTAL STUDY FOR INFLUENCE OF FIBRIN GLUE DURING HEALING PHASE AFTER MAKING ARTIFICIAL BONE DEFECT)

  • 임재석;장현석;윤정주;이의석;박은용;서제덕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7권5호
    • /
    • pp.431-437
    • /
    • 2005
  • Fibrin glue is composed of fibrinogen and thrombin and used in various regions for multiple use. Basic principle is that thrombin converts fibrinogen to fibrin in the presence of $Ca^{2+}$. The structure of fibrin is loose at the beginning, but after about 5 minutes a tight structure is formed under the influence of factor VIII which changes fibrin monomer into fibrin polymer. Fibrin glue is used for tissue adhesive, suture, local hemostasis, wound healing, closure of subdural space. Fibrin adhesive has been used in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for hemostasis after tooth extraction in patients with coagulation disorders, skin graft fixation, reattachment of periodontal flaps, in combination with autogenous bone chips to fill the bony cavities following cyst removal, and for securing the hydroxyapatite granules for maxillary alveolar ridge augmentation. This study was designed for researching influence of fibrin glue during healing phase after making artificial bone defect.

원위부 총담관 결석으로 오인된 결석을 동반한 총담관류 치료 (Choledochocele containing a stone mistaken as a distal common bile duct stone)

  • 곽태영;박창환;엄석현;황홍석;정덕원;서지영;김영성;곽동협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2권1호
    • /
    • pp.60-64
    • /
    • 2015
  • A choledochocele is an expanded sac of the duodenal side of the distal common bile duct (CBD), and is categorized as a type III choledochal cyst. Unlike other choledochal cysts, it can be easily overlooked because of its very low prevalence, non-specific clinical symptoms, and lack of distinctive radiological findings. However, a patient having a repeated pancreaticobiliary disorder with an unknown origin, frequent abdominal pain after cholecystectomy, or repeated non-specific gastrointestinal symptoms can be suspected as having a choledochocele, and a more accurate diagnosis can be achieved via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 and endoscopic ultrasound. Because it rarely becomes malignant, a choledochocele can be treated via endoscopic sphincterotomy (EST) and surgical treatment. The authors were able to diagnose choledochocele accompanied by a stone in a patient admitted to the authors' hospital due to cholangitis and pancreatitis. The patient's condition was suspected to have been caused by a distal CBD stone detected via multiple detector computed tomography and ERCP, and was successfully treated via EST.

담도 폐쇄증 환아에서 우연히 발견된 간엽 과오종 1례 (A Case of Mesenchymal Hamartoma Associated with Biliary Atresia)

  • 최경단;서정기;신언우;고재성;김우선;박영수;강경훈;지제근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4권1호
    • /
    • pp.113-119
    • /
    • 2001
  • 소아에서 간의 간엽 과오종은 주로 복부팽만을 주소로 내원하여 대부분 2세 이내에 발견되며, 비교적 크기가 큰 낭종의 소견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담도 폐쇄증으로 Kasai 수술받은 8개월 여아에서 복부 초음파 검사상 작은 기질성 종괴를 우연히 발견하여 병리학적으로 확진된 간엽과오종 1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부갑상선 선종 - 임상증례 3 예 보고 - (PARATHYROID ADENOMA EXPERIENCE WITH THREE CASES PRESENTING CLINICALLY)

  • 설대위;오성수;박윤규;정동규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61-66
    • /
    • 1986
  • 저자들은 부갑상선 선종 3 예를 입상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이 있는 환자에서 임상증상들이 각각 서로 달랐으며 증상의 다양성과 여러기관의 침범을 볼수 있었다. 제 1 예는 심한 근 쇄약을, 제 2 예는 좌 경골의 낭포성골병변을, 제 3 예는 상복부동통, 관절통 및 정신장애를나타냈다. 전례(全例) 모두에서 骨의 광물질(鑛物質) 소실(消失) (demineralization) 을 보였고 두 예에서는 경부 종괴가 촉지 되었고 나머지 한 예만 전형적인 낭포성 섬유성 골염 (Osteitis fibrosa cystica) 을 보였다. 3 예중 2 예는 주세포 선종 (Chief cell adenoma) 이었으며 나머지 한 예는 혼합성 세포형 (mixed cell type) 이었다. 저자들은 본 질환에 대한 진단기준, 외과적 수술방법 및 수술 성공 여부 판정에 대한 지침을 제시하고저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