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cultural family

검색결과 204건 처리시간 0.022초

농촌다문화 초등학교 학생의 사회적 지지 및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이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on Emotional Intelligence of Multicultural Primary School Students in Rural Areas)

  • 이창식;박지영;임인택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19권4호
    • /
    • pp.881-904
    • /
    • 2012
  • 이 연구는 농촌 다문화 초등학교 학생들의 발달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사회적지지 및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과 정서지능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이러한 변인들이 일반 및 다문화가정 학생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회적지지, 개방적 의사소통 및 정서지능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반면 정서지능과 부모-역기능적 의사소통과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사회적지지,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정서지능은 농촌소규모 다문화초등학교 일반가정 및 다문화가정 학생 간에 차이가 없었다. 셋째, 회귀분석 결과 농촌다문화 초등학교 학생들의 정서지능은 친구지지와 가족지지가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방사기저함수 인공 신경망을 이용한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우울증상 경험 예측 모델링 (Radial Basis Function Neural Network Modeling of Depression Experienc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 변해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293-298
    • /
    • 2017
  • 이 연구는 방사기저함수(RBF) 인공신경망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우울증상 경험 예측 모델링을 구축하였다. 전국조사에 참여한 만 9세 이상 12세 이하 다문화 자녀 초등학생 23,291명(남 12,016명, 여 11,275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변수는 이분형의 우울증상 경험으로 정의하였고, 설명변수는 성, 거주지역, 사회적 차별 경험, 지난 1년간 학교폭력 경험, 한국어 교육 경험, 다문화 가족지원센터이용경험, 한국어 읽기, 한국어 말하기, 한국어 쓰기, 한국어 듣기, 한국 사회 적응 교육 경험을 포함하였다. RBF 인공신경망 모델링 결과, 한국어 교육 경험, 학교 폭력 피해 경험, 한국 사회 차별 경험, 한국어 읽기 수준은 다문화 초등학생의 우울증상을 분류하는 주요 예측 요인이었다. 다문화 아동의 우울증을 예방하기 위해서 한국어 읽기 수준이 저하된 집단에 대한 우선적인 관심과 상담이 필요하다.

보건진료소 영유아 예방접종사업(1980년~2009년) (Vaccination for Infants and Children in the Primary Health Care Posts from 1980 to 2009)

  • 손계순
    • 한국농촌간호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96-103
    • /
    • 2008
  • Purpose: The Study of vaccination for infants and children business in Primary Health Care Posts from 1980 to 2009. Method: look for national essential vaccination look for the change of vaccination by the times in Primary Health Care Posts and the rate of vaccination for infants and children by a administrative report statistics survey of a vaccine delivery system of Public health care institutions investigation about assistance details of vaccination cost in order to raise the rate of vaccination for infants and children. Results: In 1980s, there are many infants and children management object, but now there are rapidly decreasing infants and children management subject of a Primary Health Care Post because of rural exodus phenomenon of 1990's and a low birthrate of 2000's. Currently, the infants and children that registed, and managed to a Primary Health Care Post is most multi-cultural families. A multi-cultural family assistance program is provided these infants and children to the objects. Conclusions: Infant vaccination execution in Primary Health Care Posts showed to high vaccination rate because the prevention of vaccination delay or omission of the interior child who raised geographical accessibility to object sons nowadays it difficult to management of transportation of vaccine and storage management for a little shroud objects limited and management of inoculation business in quality. A main problem is as follows. There are a little vaccine transportation, trouble of proper temperature maintenance of a storage process, and having a lot of vaccine abolition as a little objects, educational training shortage of health care practitioner regarding to execute an inoculation. Therefore, vaccination business needs measures for management in quality in Primary Health Care Posts.

다문화청소년들의 스트레스대처, 사회적 지원, 심리적 안녕감과 학업태도 간의 인과관계 분석 (Relationships Among Stress Coping Strategy, Social Support, Psychological Well-being, Academic Attitude, of Adolescents with Multi Cultural Family Background)

  • 이덕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760-77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청소년들의 스트레스와 학업태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스트레스 대처와 사회적 지원,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관계를 파악하여 보다 효율인 지도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요인 간의 관계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델을 설정하고,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모형의 적합도 및 변인 간 관계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청소년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스트레스 요인 간에 차이를 검증하였다. 학년과 가족의 월평균 수입에 따른 스트레스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거주기간에 따른 스트레스에 대한 차이는 인간관계와 수업참여에 대한 스트레스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청소년의 스트레스는 스트레스 대처와 심리적 안녕감에는 음(-)의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사회적 지원, 스트레스 대처, 심리적 안녕감 모두 스트레스와 학업태도 간의 관계에서 정(+)의 매개효과가 있음이 나타났다.

한국판 아동용 다면적 생활만족도 척도(K-MSLSS)의 타당화 연구 (Validation of Korean Version of Multidimensional Students' Life Satisfaction Scale)

  • 이정미;이양희
    • 아동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49-268
    • /
    • 2008
  • The Korean version of the Multidimensional Students' Life Satisfaction Scale for children(K-MSLSS) assesses children's subjective perceptions of Life Satisfaction(LS) in five conceptually relevant domains : Friends, School, Family, Living Environment, and Self.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validate the five-factor structure of the K-MSLSS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procedures by means of the AMOS 7.0 statistical program. Of the 681 children(10.5 years, SD=1.1) recruited from three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Seoul 431 children were the calibration sample and 430 children were the validation sample. Results of the analyses found that the five-factor structure of K-MSLSS is applicable for use with Korean children from 9-12 years of age regardless of gender.

  • PDF

다문화 가정 학부모를 위한 학습콘텐츠 추천 시스템 설계 (Learning Contents Recommendation System for Parents of Multi-cultural Family)

  • 강윤희;강명주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350-352
    • /
    • 2016
  • 국내외적으로 스마트러닝은 자기주도형 학습과 같은 새로운 학습모델을 통해 기존 학습과 비교하여 높은 학습 성과를 있다. 그러나 다문화 가정 학부모는 디지털 기기에 대한 접근성과 자료 활용 능력이 일반국민에 비해 현저하게 떨어지는 정보격차로 인해 기존의 교육 콘텐츠의 효과적 활용은 제약점을 갖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다문화 가정 학부모의 지능형 맞춤 교수학습 지원체제의 주요한 요구사항인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다문화가정 맞춤형 학습콘텐츠 추천 시스템의 설계를 기술한다.

자살예방을 위한 주거환경 계획요소 및 실태 분석 - 공공임대주택을 대상으로 (Design Elements of Residential Environment of Multi-family Housing for Suicide Prevention and Empirical Analysis - Focused on Public Rental Housing)

  • 이승지;이은진;노태린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7권3호
    • /
    • pp.51-60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design elements that affect suicide, and then analyze the actual situation in terms of suicide prevention and suggest implications.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field surveys, and interviews with stakeholders. Results: As a result of extracting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hat affect suicide suggested in a total of 18 papers, 15 variables were extracted and organized into major categories such as housing type, health and welfare facilities, leisure and cultural facilities, and living environment. Next, we selected a public rental housing complex with a relatively high suicide rate among multi-family housing as the case, and conducted a empirical analysis.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facilities were insufficient, and apart from the quantitative satisfaction of the rest, various problems were exposed, such as the classification of users according to age and insufficient management in terms of the actual use of residents including suicide attempters. Implicat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search for the design direction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for suicide preven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solve the exclusion phenomenon that appears in space and programs. Third, when planning a space for suicide prevention, understanding of the behavior of high-risk groups should be reflected.

결혼이주여성의 가족 회복력 모형검증 (Verification Effect of Family Resilience Model of married immigrant women)

  • 오재우;박인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5호
    • /
    • pp.355-370
    • /
    • 2013
  •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회복력 요인의 관계양상 및 영향력을 확인하고 가족적응을 증진시키는데 유용한 간호실무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한국에서 거주한지 1년 이상 된 대전 외곽의 도 농 복합지역 및 충남 지역에 있는 결혼이주여성이 대상이었다. 자료수집기간은 2012년 2월부터 2012년 7월까지 시행하였으며, 최종 216부를 자료의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LISREL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백분율, ANOVA, t-test,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고, 가설검정은 경로분석을 하였다. 가설모형의 전반적 지수는 ${\chi}^2$= .06(p= .812), df=1, ${\chi}^2$(df)=.06, GFI=1.0, AGFI= 1.0, SRMR=.002, NFI= 1.0, NNFI=1.0, RMSEA=0.000, CN=266으로 좋은 부합도를 보였다. 모형에서 제시된 가설검증 결과를 보면 가족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가족스트레스와 양육스트레스로 나타났고, 사회적 지지 및 가족강인성, 문제해결 의사사통, 문제해결 대처는 가족적응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이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위기상황에 놓여있는 결혼이주여성의 가족의 적응을 돕는 간호중재는 스트레스 상황에 대해 결혼이주여성을 중심으로 긍정적인 관점을 가지도록 돕고, 가족 관계 내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와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활용하는 중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 노동력의 질적향상이 경제발전에 미치는 영향 (The Change in Quality of the Labor Force and Its Effect on the Economic Growth of Korea)

  • Song, Wi-sup
    • 한국인구학
    • /
    • 제11권1호
    • /
    • pp.159-184
    • /
    • 1988
  • 미국사회에서 노인의 거주지 적응양식은 인종간에 차이가 크다. 일반적으로 소수인종노인은 백인 노인에 비하여 자녀와 함께 사는 경향이 강하다. 이에 대하여 문화적 입장에서는 소수인종은 백인에 비하여 가족부양규범이 강하다고 주장한다. 다른 한편 경제적 입장에서는 소수인종은 그들의 생애를 지배하는 빈곤 때문에 규모의 경제를 통하여 가계비용을 줄이기 위하여 확대가족을 유지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한다. 본 연구는 노인이 질병과 빈곤에 적응하는 방식에 있어 인종간 차이를 검토함으로써 기존의 경제학적 논의와 문화적 논의의 적합성을 검정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노인의 거주지 적응에 대한 문화적 영향과 관련하여 두가지 가설을 검정하고 있다. 첫째, 소수인종 노인은 백인노인에 비하여 빈곤과 질병상황에서 가족으로부터 더 오랜기간 보호를 받는지를 검토한다. 둘째, 소수인종 노인은 백인노인에 비하여 건강이 악화될 때 더욱 신속하게 가족으로부터 보호를 받을 수 있는지를 검토한다. 분석을 위해서 1984년에서 1990년기간 동안 실시된 "고령화에 대한 종단적 조사(Longitudinal Survey on Aging)"를 이용하여 마르코비안 다중생명표 모형과 사건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소수인종 노인은 가족부양규범의 문화적 이점을 그다지 크게 다지고 있지 않다. 인종간 사망력과 시설입소의 차이를 통제할 때, 소수인종 노인은 백인노인에 비하여 보다 흔하게 자녀동거에서 단독거주형태로 혹은 그 반대방향으로 거주지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백인 노인은 소수인종에 비하여 질병상태와 관련하여 자녀와 동거하는 경향이 더 강하다. 사망력과 시설입소의 인종간 차이를 통제할 때 소수인종노인이 백인노인보다 쉽게 자녀동거에서 단독거주로 이행하는데 이는 소수인종에서 가족부양체계가 불안정함을 의미한다. 또한 빈곤시에 소수인종 노인은 백인노인에 비하여 쉽게 자녀와 떨어져 살게 된다. 이러한 결과는 소수인종 노인에 대한 가족의 지원은 그 가족의 경제적 제약속에서 매우 안정적이지 못함을 시사한다. 못함을 시사한다.

  • PDF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가정 기능적 특성이 재산비행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in a Multicultural Home on Property Delinquency)

  • 김상운;신재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195-202
    • /
    • 2014
  • 1990년대 중반부터 시작된 세계화는 우리사회를 다문화사회로 만들었고, 갑작스러운 다문화사회의 형성은 아무런 사회적 대비 없이 사회의 구성원이 되어 많은 문제를 양산하였다. 특히, 다문화사회를 구성하는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은 일반청소년들과 다른 피부색, 눈동자 색을 가지고 있어 적응의 어려움을 가지고 있어, 청소년기의 모든 행위들은 영향보다 가정환경적인 영향을 많이 받는다고 예상이 된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가정의 기능적인 특성이 다문화 가정 청소년들의 재산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가정 기능적 특성 중에서 부모의 양육방식이 절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특성들은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재산비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의 재산비행은 가정의 기능적 특성보다는 다른 요인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기능적인 특성이 재산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향후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비행을 살펴보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의의를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