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ching materials

검색결과 90건 처리시간 0.031초

Effects of Mulching Materials on Growth of Allium tuberosum Rottler and Weed Control

  • Kim, Jin-Han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42-247
    • /
    • 201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lucidate the effect of mulching materials on the growth of Chinese chive (Allium tuberusum Rottler) and weed control. Chinese chive was grown under five mulching materials, pine leaf, oak leaf, rice straw, rice hull and sawdust, at the Experimental Farm of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from June 20, 2009 to September 30, 2009. Amaranthus mangostunus, Digitaria sanguinalis, Portuclaca. oleracea, Echinochioa crus-galli var. frumetacea and Setaria viridis were dominant weeds. Both pine and oak leaves were significantly effective mulching materials in terms of weed control indices in both nursery and field. Soil moisture contents were 1.2~3.7% higher in mulching, especially in oak leaf mulching. Mulching with pine leaf significantly increased plant height, sheath length, leaf length, bulb-, root- and leaf-weights and yield of Chinese chive,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other mulching materials although better than those in non-mulching.

남부 지방에서 피복 재료가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의 생육과 주요 형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ulching Materials on Growth and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Angelica gigas NAKA in Southern Area)

  • 윤혜경;최성규;이종일;윤경원;서영남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24-130
    • /
    • 2000
  • 우리 나라의 남부지방에서 고품질의 참당귀를 생산하고자 비가림하우스를 이용하여 차광재배로 하고현상을 방지한 후 멀칭재배을 실시하여 시험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멀칭 종류별 토양의 습도와 지온은 무멀칭보다 멀칭재배에서 높았고, 특히 멀칭 중에서도 P. E.(polyethylene) 멀칭이 가장 높았다. 2. 잡초의 발생은 멀칭 종류별 투명 P. E. 멀칭재배에서 가장 적게 발생되었고, 투명 P. E. 멀칭재배에서는 많이 발생되었다. 3. 생육은 P. E. 멀칭재배가 짚멀칭이나 무멀칭보다 엽수가 많고 엽장이 커서 양호하였다. 4. 추대는 2∼5% 정도가 발생되었으며, P. E. 멀칭 재배에서 약간 많이 발생되는 경향이었다. 5. 수량은 P. E. 멀칭재배가 토양의 물리성이 좋아서 근수가 많고, 근장과 묘두직경이 커서 뿌리 생장이 양호하여 증수되었다.

  • PDF

무기소재 첨가에 따른 멀칭용지의 기능성 변화 (Change in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Mulching Paper by the Addition of Inorganic Materials)

  • 성용주;정웅기;이지영
    • 펄프종이기술
    • /
    • 제45권6호
    • /
    • pp.64-71
    • /
    • 2013
  • The biodegradable mulching paper could be applied for the environmental friendly agriculture as an alternative to the current vinyl mulching. In order to increase the usability of the mulching paper, the effects of the addition of various inorganic materials on the functionality of the mulching paper were evaluated in terms of practical benefits. The blend of carbonized rice husk powder and perlite resulted in the higher value in the air permeability of the mulching paper, which would be important for the health of plant root. The heat conservative of the mulching paper could be improved by adding the bottom ash or the fly ash because of the pore structure of the ashes. The pH of acidic soil could be neutralized by using the mulching paper containing paper-mill sludge ash or fly ash. The various results showed the addition of the inorganic materials could improve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the mulching paper.

남부지방에서 피복재료가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의 생육과 주요 형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ulching Materials on Growth and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Angelica gigas in Southern Area)

  • 윤혜경;최성규;이종일;윤경원;서영남;천상욱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1-17
    • /
    • 2000
  • 우리 나라의 남부지방에서 고품질의 참당귀를 생산하고자 비가림하우스를 이용하여 차광재배로 하고현상을 방지한 후 멀칭재배을 실시하여 시험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멀칭 종류별 토양의 습도와 지온은 무멀칭보다 멀칭재배에서 높았고, 특히 멀칭 중에서도 P. E.(polyethylene) 멀칭이 가장 높았다. 2 잡초의 발생은 멀칭 종류별 검정 P. E. 멀칭재배에서 가장 적게 발생되었고, 투명 P E.멀칭재배에서는 많이 발생 되었다. 3. 생육은 P E. 멀칭재배가 짚멀칭이나 무멀칭보다 엽수가 많고 엽장이 커서 양호하였다. 4. 추대는 2∼5% 정도가 발생되었으며, P. E. 멀칭재배에서 약간 많이 발생되는 경향이었다. 5. 수량은 P E. 멀칭재배가 토양의 물리성이 좋아서 근수가 많고, 근장과 묘두직경이 커서 뿌리 생장이 양호하여 증수되었다. 한편, 검정 P E. 멀칭재배는 잡초 발생의 억제 효과가 뚜렷하여 P E. 멀칭재배시 노동력이 부족할 경우 적극 권장할 만한 멀칭재료로 생각되어진다.

  • PDF

Study on Leaf and Stem Production of Angelica acutiloba by Mulching materials

  • Choi Seong-Kyu
    • Plant Resources
    • /
    • 제8권1호
    • /
    • pp.27-31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duce effectively more leaves of Angelica acutiloba through year-round production system by using various mulching materials. Soil temperature by covering treatment was the highest in P.E.(Polyethylene Film) mulching and followed by rice straw mulching, especially showing highest temperature in Tr. PE(Transparent Polyethylene Film) from April through May. Water content of soil was higher in P.E. mulching than in non-mulching. Leaf and stem production of Angelica acutiloba through year-round production showed the highest in PE mulching also root production of Angelica acutiloba showed the highest in P.E. mulch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leaf and stem production of Angelica acutiloba can be maximized through P.E. mulching cultivation system.

  • PDF

이랑폭과 피복재에 따른 도라지의 입모율 및 수량특성 (Characteristics of Seedling Establishment and Yield of Platycodon grandiflorus by Ridge Width and Mulching Materials)

  • 조영손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33-237
    • /
    • 201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eedling establishment and yield of direct-sown Platycodon grandiflorus seeds cultured by three ridge width, 0.4, 0.8, and 1.2 m and four mulching materials, rice straw, rice bran, black plastic film, and no mulching in upland. Seedling establishment rate (70%) was the highest in rice straw mulched plot of 500 seeds/$m^2$ sowed and root yield after one year was also the highest in rice straw mulched treatment and followed by rice bran, no mulching, and black plastic film treatment. In this result, ridge width 120cm and rice straw mulching combined treatment was best for getting the highest seedling establishment ratio and seedling numbers per area. However, ridge width and mulching materials should be considered soil moisture content and weed population for saving labor cost.

Mulching Materials as Yield Booster for Sustainable Mungbean Production

  • Kim Hee-Jung;Lee Ho-Yong
    • 환경생물
    • /
    • 제23권4호
    • /
    • pp.383-389
    • /
    • 2005
  • The effect of different mulching materials on mungbean production was studied. The general objective was to assess the ecological effects of mulching materials in sustainable mungbean production. Specifically, the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ifferent mulching materials on the chemical, physical and biological soil properties, on weed control and yield, and to identify mulching materials that are environmentally friendly in mungbean production.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at the Fruit and Vegetables Seeds Center, Science City of $Mu/tilde{n}oz$, Nueva Ecija, Philippines from May to July 2004. The initial soil chemical properties were: pH of 6.4, 2.0 percent organic matter content, 0.10 percent total nitrogen, 22 ppm phosphorus, and 370 ppm available potassium. The soil microbial loads were $8\times10^4\;CFU\;g^{-1}$ for bacteria and $14\times10^4\;CFU\;g^{-1}$ for fungi. Mushroom spent mulch increased soil organic matter with an average of 3.13 percent, nitrogen with an average of 0.16 percent and the highest number of bacterial count with $3.4\times10^8\;CFU\;g^{-1}$. Use of mulch, except rice straw mulch, generally increased mungbean yield. The best mulching material for high yield production of mungbean was black polyethylene plastic film, although environmentally unfriendly.

피복비닐 종류에 따른 지모의 근경수량 및 조사포닌 함량 (Effects of Different Mulching Materials on Rhizome Yield and Crude Saponin Contents in Anemarrhena asphodeloides Bunge)

  • 한승호;최병준;신철우;정승근;박상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24-231
    • /
    • 2003
  • 1. 종자형성 계통군의 출현은 흑색 PE 피복, 녹색 PE 피복 및 투명 PE 피복이 무피복보다 각각 1일, 2일 및 3일 빨랐으며, 유식물체형성 계통군의 출현은 흑색 PE 피복, 녹색 PE피복 및 투명 PE피복이 무피복보다 각각 2일, 2일 및 3일 빨랐다. 2. 생근경중은 종자형성계통 군에서 투명 PE 피복이 무피복보다 16.7% 증수하였으며, 유식물체형성 계통 군에서는 녹색 PE 피복 및 투명 PE 피복이 무피복보다 각각29.4%, 26.5% 증수하였다. 3. 메탄올엑스함량은 종자형성 계통 군에서는 투명 PE피복이 42.60%로서 가장 많았으며, 흑색 PE 피복이37.50%로서 무피복보다 많았으나, 유식물체형성 계통군에서는 각처리 모두 무피복과 차이가 없었다. 4.조사포닌 함량은 종자형성 계통군에서는 투명 PE피복이 8.25%로서 무피복, 흑백 PE 피복 및 녹색 PE피복보다는 높았으나, 흑색 PE 피복과는 차이가 없었으며, 유식물체형성 계통군에서는 투명 PE피복이 7.75%로서 흑색 PE 피복이나, 녹색 PE 피복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나, 무피복 및 흑백 PE 피복과는 차이가 없었다.

양하(Zingiber mioga ROSC.) 지하경 크기와 피복재료가 주요형질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hizome Size and Mulching Materials on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Yield in Zingiber mioga ROSC.)

  • 최성규;이종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12-116
    • /
    • 1993
  •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양하의 인공재배시 지하경의 키기와 피복재료가 주요생육 형질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시험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지하경이 클수록 출현이 빠르고 생육이 양호하였으며 9월 하순경 개화되었다. 2. 지하경 크기는 12~15cm에서 초장이 크고, 화뢰엽수가 많아 대량번식시킬 때 가장 알맞은 키기로 사료된다. 3. 멀칭은 짚피복이 초장이 크고 엽수가 많아 생육이 양호하고 화뢰수와 화뢰중이 무거워 수량이 증수되었다.

  • PDF

저관리 경량형 옥상녹화에서 유기물 멀칭재 유형에 따른 토양수분과 동자꽃의 생육 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Lychnis Cognate and Soil Moisture by Organic Mulching Material Type in Extensive Green Roof System)

  • 박선영;채예지;최승용;윤용한;주진희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9권2호
    • /
    • pp.107-112
    • /
    • 2022
  • 본 연구는 유기물 멀칭재 종류에 따른 토양수분함량과 동자꽃의 생육반응을 비교·분석하여 저관리 옥상녹화에서 멀칭재의 효용성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실험구는 멀칭재를 사용하지 않은 대조구 (Cont.; Control)와 코코칩 (C.O; Cocochip), 우드칩 (W.O; Woodchip), 짚거적 (S.T; Straw), 톱밥 (S.A; Sawdust) 등, 총 5개의 처리구로 조성하였다. 실험결과, 유기물 멀칭재 유형에 따른 토양수분함량은 W.O > S.T > Cont. > C.O > S.A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톱밥에서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생육 측정 결과, 초장에서 S.T > Cont. > C.O > W.O > S.A의 순으로 생육이 좋았으며, 초장을 제외한 다른 생육항목에서의 멀칭재별 유의적인 차이는 미미하였다. 상대엽록소함량과 체내수분량은 모두 무처리구보다 우수하게 나타나 유기 멀칭재 처리가 동자꽃의 엽록소함량 및 체내수분량 유지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실험구 내 토양수분함량은 멀칭재 자체의 성질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저관리 옥상녹화에서 각 식물의 특성에 적합한 멀칭재 사용이 요구되며 수분 스트레스에 약한 수종 선정 시 유기물 멀칭을 통해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