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berry leaves

검색결과 339건 처리시간 0.034초

뽕나무 품종별.시기별 뽕잎과 오디의 항산화능 분석 (Anti-oxidative Capacity Analysis of Water-Soluble Substances According to Varieties and Maturity Stages in Mulberry Leaves and Fruits)

  • 김현복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62-67
    • /
    • 2005
  • 장려뽕 16 품종에 대한 뽕잎과 오디의 항산화능을 시기별로 채취하여 비교분석 하였다. 항산화능 측정장치(munilum L-100, ABCD GmbH) 및 ARAW-KIT(antiradical ability of water-soluble substance)를 사용하였으며, ascorbic acid를 표준물질로 사용하여 calibration curve를 작성하였다. 시료의 항산화능과 분석에 소요되는 전처리 시간을 고려하여 80% MeOH, 30 sec. vortex mixing 방법을 기준 전처리 방법으로 하였다. 16품종 전체의 뽕잎에 대한 항산화능을 분석한 결과 5개엽기의 어린 뽕잎의 항산화능은 3303.4 nmol로 높았으며, 오디가 착색되기 직전 3708.0 nmol으로 최대 값을 나타낸 후 시기가 경과함에 따라 점차 감소 및 하벌 후 점차 증가 하다가 뽕잎이 경화되기 직전 춘기 어린 잎 정도의 항산화능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산화능이 높은 뽕잎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5월 하순에 채취하는 것이 수율도 높아 경제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생과 또는 가공식품의 원료로 사용하기 위해 오디를 수확한 후 남은 뽕잎의 이용도 충분히 가능하므로 이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하벌 전에 뽕잎의 수확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뽕잎 수확 후 저장하는 방법보다 시기에 따른 뽕잎 자체의 성숙 정도가 뽕잎의 항산화능을 결정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식용대두유에 대한 뽕잎추출물의 항산화 작용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Mullberry leaves Extracts on Edible Soybean Oil)

  • 안명수;임영희;김미원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8
    • /
    • 2003
  • Recently, the concern about safety and functional substances of foods are increased therefore antioxidant substances and plants which had pharmacological effect have been studied actively. It has been known that the mulberry leaf is effective in curing many diseases. Nowaday, the pharmachological effects of mulberry leaves on diabetes mellitus and their usage for many aspects were confirmed. Mulberry leaves are known for effective in prevention of diabetes mellitus, because of specific amino acids and fibers. In this study, methanol, hexane, chlorform, ethyl acetate, and butanol extracts obtained from mulberry leaves were added to soybean oil and they were stored for 30 days at $60{\pm}2^{\circ}C$ and peroxide value(POV) and conjugated diene value(CDV) were measured periodically. Results of this study were obtained as follows; 1. The POV of soybean oil after the addition of each mulberry leaves powder(MLP) extracts generally enhanced as the storage time was prolonged, so the POV of all samples was reached higher than 100meq./kg.oil after 10 days storage without the addition of butanol, methanol, ethylacetate, hexane extracts at 0.1% level. Especially, the POV of soybean oils including butanol extract was 87.35meq/kg.oil after 10 days storage and antioxidant activity of butanol extract was shown to be superior to that of BHT. The pattern of the changes of the CDV of soybean oil after the addition of MLP extracts at 0.02%, 0.05% and 0.1%, respectively, were almost constant during 10 days of storage and then rapidly increased during the rest of experimental periods. During 10 days of storage in case of 0.1% adding level,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butanol extract was superior to that of the each MLP extracts.

농약살포상엽이 누에의 생리에 미치는 영향 (Physiological study of Bombyx mori L. due to spraying Agricultural Chemicals on mulberry leaf)

  • 김주읍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권
    • /
    • pp.83-88
    • /
    • 1962
  • These works were carried on to study the damage due to agricultural chemicals on silkworm and to find out the best ways to use them, considering, in the horticultural field, the utilization of them has rapidly been increased. The results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ulberry leaves being more than 100m from the horticultural field used the agricultural chemicals did not harm the silkworm. 2) Even if the mulberry leaves were located less than loom from the horticultural field sprayed with the chemicals, the silkworms were not injured after washing the mulberry leaves which were attached with the chemicals. 3) The chemicals, E.P.N., B. H. C. 2%, and Selesan were more seriously injured to silkworm than the other ones.

  • PDF

식이 뽕잎이 흰쥐의 장내균총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Mulberry leaf on the Composition of Intestinal Microflora in SD Rats)

  • 이희삼;전호정;이상덕;문재유;김애정;류강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52-255
    • /
    • 2001
  • 뽕잎 분말이 1, 10%가 되도록 사료에 첨가시켜 4주동안 SD 흰쥐에게 급여한 후 이들의 대장 내용물로부터 총균수와 주요장내미생물의 생균수를 배지를 이용하여 혐기배양한 후 측정한 결과 총균수는 뽕잎 투여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유해균으로 분류할 수 있는 Clostridium은 대조군보다 뽕잎투여군에서 유의성있게 감소하였고, E. coli와 Staphylococcus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뽕잎 메탄올 추출물과 분획물들의 미생물의 생장억제효과를 측정한 결과, 헥산분획과 물분획물이 Clostridium perfringens에 대하여 억제효과를 보였다. 장내균총의 개선 측면에서 뽕잎은 기능성 식품소재로서의 이용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뽕잎 품종별 기능성 성분 분석 (Analysis of Functional Components of Leaves of Different Mulberry Cultivars)

  • 채주영;이준영;황인승;황보득;최필환;이완주;김진원;김선여;최상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5-21
    • /
    • 2003
  • 본 연구는 뽕잎을 이용한 고부가가치의 기능성식품의 제조에 적합한 뽕잎 품종을 선별하고자 품종별(YK-209, Cheong il, Yongchon and Kaeryang), 산지별(영천 및 상주), 부위별(상위, 중위 및 하위엽) 및 생육시기별(5월, 6월 및 8월)에 따른 뽕잎의 기능성 지표물질인 DNJ, GABA및 flavonoid의 함량을 HPLC로 정량하였다. 4가지 뽕잎 중 YK-209 뽕잎의 기 능성 물질 (DNJ, GABA 및 flavonoid) 함량이 가장 높았다. 그리고 YK-209 뽕잎으로부터 분리된 4가지 flavonoid 중 rutin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isoquercitrin>kaempferol-3-Ο-rutinoside>astragalin 순으로 나타났으나 그 외 3가지 뽕잎에서는isoquercitrin의 함량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rutin이 차지 하였으나 품종별, 산지별, 부위별 및 성장시기별에 따라 flavonoid구성성분의 함량이 다소 차이가 있었다. 영천지역에서 수확한 YK-209뽕잎의 3가지 기능성물질의 함량이 상주에서 수확한 뽕잎보다 그 함량이 높았다. 한편, YK-209 뽕잎의 부위 중 상위엽이 중위 및 하위엽보다 3가지 기능성물질의 함량이 높았다. 끝으로YK-209뽕잎의 성장시기 중 5월에 수확한 것이 6월 및 8월에 수확한 뽕잎보다 기능성물질의 함량이 높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미루어 볼 때 3가지 기능성 성분함량이 높은 YK-209 뽕잎(용천뽕과 개량뽕을 교배하여 얻은 것)의 5월산 상위엽을 향후 뽕잎의 이용한 기능성식품의 제조용 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뽕잎추출물이 Zucker Rat의 체지방 축적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Mulberry-Leaf Extract on the Body Fat Accumulation in Obese fa/fa Male Zucker Rats)

  • 김순경;김선여;김휘준;김애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516-520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obesity of obese fa/fa male Zucker rats can be ameliorated by mulberry leav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ulberry treatment group and control group in body weight gain and food efficiency ratio. It also showed decreases on plasma triglyceride and total-cholesterol concentrat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ut there was no change in plasma leptin concentration between the control and mulberry treatment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mulberry leaves reduce serum lipid levels, but do not effect the plasma leptin concentration.

  • PDF

Growth Performance and Caecal Fermentation in Growing Rabbits Fed on Diets Containing Graded Levels of Mulberry (Morus alba) Leaves

  • Prasad, Rajendra;Misra, A.K.;Sankhyan, S.K.;Mishra, A.S.;Tripathi, M.K.;Karim, S.A.;Jakhmola, R.C.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9호
    • /
    • pp.1309-1314
    • /
    • 2003
  •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changes in caecal fermentation pattern was studied on four groups of 8 grower rabbits (soviet chinchilla) each, fed on diets containing 17 to 18% CP and $10.4-11.00MJ\;DE\;kg^{-1}$ feed. The complete diets contained mulberry leaves along with other feed ingredients at 0 (LH), 15 (ML15), 30 (ML30) and 45% (ML45) levels. In LH diet ground lucerne hay was added at 15% of the diet as roughage source. The diets were uniform in other nutritional parameters except the higher amount of hemicellulose (18.7 and 16.5%) in LH and ML15 diets. The performance of grower rabbits was better (p<0.05) on LH and ML15 diets in terms of twelve weeks weight (kg), total gain (g), average daily gain (ADG) and feed efficiency (%). Different levels of mulberry leaves in the diet did not influence the dry matter intake. Digestibility of nutrients for DM, OM, CP, NDF and energy was uniform in all the diets but the digestibility of CF, ADF and cellulose was higher (p<0.01) on ML15, ML30 and ML 45 diets. The hemicellulose digestibility was significantly higher (p<0.01) on LH (44.52%) and ML15 (48.00%) compared to ML30 (33.54%) and ML 45 (39.17%) diets. The nitrogen retention (% of intake) was higher (p<0.05) in LH and ML15 diets than ML30 and ML45 diets. The caecum weight as percent of intestine weight consistently increased (p<0.05) with increasing content of mulberry leaves in diets. Total nitrogen and $NH_3$-N was higher on LH and ML15 diets. It is concluded that incorporation of mulberry leaves can replace Lucerne hay in complete rabbit feed (15% in diet). Even at higher level i.e. 30 and 45% of the diet mulberry leaves based complete feed gave promising results.

뽕잎 추출물의 구강미생물에 대한 항균효과 (Antimicrobial Effect of Mulberry Leaves Extracts Against Oral Microorganism)

  • 최정이;정미애;정상희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51-254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뽕잎을 물과 에탄올로 추출하여 얻은 뽕잎추출물을 이용하여 특성을 분석하고 구강미생물에 대한 항균 및 항 진균효과를 검색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결과를 얻었다. 뽕잎을 차로 마실 경우 물의 온도가 $81^{\circ}C$ 부근에서 뽕잎의 구성 성분이 물속에 용해되어 나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에 사용된 용매에 따라 추출된 성분 물질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적외선(IR) 분광분석을 실시하여 2000에서 $4500cm^{-1}$의 범위에서 에탄올과 물로 추출한 물질의 경우 흡수 피크(peak)의 강도에서는 차이를 보이기는 하지만 전체적인 추출물질의 성분에는 큰 차이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용매에 따른 추출물질의 양은 물로 추출한 경우에 비하여 에탄올로 추출한 경우가 좀 더 많은 양의 물질이 추출되어진다는 것을 IR 특성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뽕잎의 물과 에탄올에 의한 추출물에서는 S. mutans JC-2에 대한 항균활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S. epidermis ATCC 12228와 S. aureus ATCC 29213에서 최소억제농도가 $3,200{\mu}g/ml$으로 미약하게 항균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C. albicans KCTC 1940은 $1,600{\mu}g/ml$로 항진균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와같이 뽕잎 추출물은 구강미생물에 대하여 미약하지만 항균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강원도 일대에서 채취한 야생뽕의 시기별 뽕잎과 오디의 항산화능 분석 (Antioxidant Capacity Analysis of Water-Soluble Substances according to Maturity Stages in Yield-type Mulberry Leaves and Fruits Collected from Kang-Won Province)

  • 김현복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93-98
    • /
    • 2005
  • 야생 뽕나무의 자원화 및 이용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강원도 원주, 인제, 양양 3개 지역에서 성숙 단계별로 채취한 야생 뽕나무를 대상으로 뽕잎과 오디의 항산화능을 비교분석 하였다. 항산화능 측정장치(munilum L-100, ABCD GmbH) 및 ARAW-KIT(anti-radical ability of water-soluble substance)를 사용하였으며, ascorbic acid를 표준물질로 사용하여 calibration curve를 작성하였다. 각각의 지역에서 채취한 야생뽕의 형태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원주 지역 채집 개체는 백상형(Morus alba L.), 인제 지역 채집 개체는 산상형(Morus bombycis Koidz) 및 양양 지역 채집 개체는 노상형(Morus Lhou (Ser.) Koidz)의 뽕나무로 분류되었다. 강원도 원주, 인제 및 양양 지역에서 자생하고 있는 야생 뽕나무의 뽕잎에 대한 전체적인 항산화능을 분석한 결과 춘기 5개엽기의 어린 뽕잎의 항산화능이 가장 높았으며, 시기가 경과함에 따라 뽕잎의 항산화능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그러나 개체마다 각각의 특성을 나타냈다. 오디가 결실된 야생 뽕나무 중 오디의 수량성 및 크기 등 착과상태를 고려하여 이용가치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개체는 No 7, 8, 10이었다. 산상형의 특징을 갖는 No. 7 개체 뽕나무는 뽕잎의 항산화능이 높을 뿐 만 아니라 뽕나무의 생육 상태 및 오디의 결실 상태도 양호했으므로 기능성 및 오디생산용 육종 유전자원으로 이용할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No. 8 및 No. 10 개체 뽕나무는 오디 생산을 위한 유전자원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품종이 다른 뽕잎추출물의 Helicobacter Pylori에 대한 항균활성 탐색과 항산화 효과 (The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Helicobacter pylori and Antioxidant effect from the extracts of Mulberry leaves (Morus Alba L.))

  • 조영제;주인식;김병오;김정환;이병구;안봉전;추재원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4호
    • /
    • pp.334-343
    • /
    • 2007
  • 108종의 표본묘목으로부터 채취한 뽕나무잎을 이용하여 항산화효과와 Helicobacter pylort에 대한 억제효과를 측정하였다. 항산화효과 중 DPPH에 대한 전자공여능은 물 추출물에서는 양면상 등 13종의 뽕잎에서 80% 이상의 높은 전자공여능이 확인되었으며, 80% ethanol 추출물에서는 고수9 등 59종의 뽕잎에서 80% 이상의 높은 전자공여능이 확인되어, 물 추출물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ABTS radical decolorlization을 측정한 결과 물 추출물과 80% ethanol 추출물 모두에서 대부분의 뽕잎 추출물들이 90% 이상의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TBARS 값은 control값이 $0.493{\times}10^{-2}{\mu}M$로 나타났으며, 물 추출물에서는 청운뽕, 도내, 축무, 사천금, 수원상 1호, 불전 2호, 오노다마구와, 야마나까다까스께를 제외한 모든 품종에서 대조구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80% ethanol 추출물에서도 대축면을 제외한 107종의 품종에서 대조구보다 낮은 TBARS 값을 나타내어 산화촉진인자를 binding하는 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판단되었다. TBARS와 같이 지용성 물질의 항산화력을 나타내는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PF)에서는 많은 종류의 뽕잎 80% ethanol 추출물에서 2이상의 높은 PF를 나타내었으며, TBARS값과 PF값 모두 80% ethanol 추출물이 물 추출물보다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뽕잎 품종별 추출물로 Helicobacter pylori균을 저해하는 물질을 탐색한 결과 108종의 뽕잎 중에서 감락상, 다호조생, 신일뽕, 국상 27호, 개량십문자, 국부, 수중상, 백광 6호, 이상, 사천금, 영변추우, 사175, 당상 2호, 청목노상 및 수중상 등 15 품종의 뽕잎에서 저해환을 나타냈으며, 그 중 물 추출물에서는 다호조생 품종이 지름 13mm의 저해환을, 알코올 추출물에서는 청목노상 품종이 지름 15mm의 저해환으로 효과가 가장 우수하여 천연 항균제 및 생리활성 물질로의 이용가능성을 추측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