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gwort (Artemisia vulgaris)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6초

자외선 조사 무모쥐 피부에 도포한 애엽(Mugwort)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s of Skinned Mugwort (Artemisia vulgaris L.) Extracts on UV-Irradiated Hairless Mouse Skin)

  • 박시향;조득문;최병대;최영준;최진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20-26
    • /
    • 2008
  • 무모쥐의 피부에 도포한 애엽 추출물과 positive 비교군인 아스코르브산이 피부 조직에 미치는 항산화효과를 조사하였다. 활성산소인 과산화수소의 생성량은 애엽 추출물과 아스코르브산 2%와 5% 도포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히드록시 라디칼의 생성량은 애엽 추출물 2%와 5% 도포군에서만 유의적인 감소효과가 있었다. 산화적 스트레스의 지표인 산화 단백질의 함량은 모든 애엽 추출물 도포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14.6%{\sim}18.5%$)하였으나, 아스코르브산의 경우는 2% 도포군에서만 저해효과가 인지되었다. 과산화지질 생성량은 대조군에 비해 애엽 추출물과 아스코르브산 도포그룹 모두에서 크게 감소하였다. 항산화효소인 카탈라아제의 활성은 애엽 추출물과 아스코르브산 모든 그룹에서 첨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크게 증가하였으며, 글루타치온 퍼옥시다아제의 활성은 애엽 추출물 도포군은 2%와 5%에서, 아스코르브산의 경우는 모든 그룹에서 유의적인 활성 증가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피부 노화 억제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 애엽 추출물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애엽 추출물 섭취가 ICR 마우스의 피부조직에 미치는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s of Mugwort (Artemisia vulgaris L.) Extracts Diet on ICR Mouse Skin)

  • 박시향;조득문;최경림;최영준;최진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2호
    • /
    • pp.1523-1528
    • /
    • 2007
  • 애엽 추출물에 대한 ICR 마우스의 피부 조직에 대한 항산화작용 및 산화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애엽 추출물(mugwort extract: ME)을 섭취한 식이군의 경우, 추출물의 농도에 따라 피부조직의 단백질 함량이 대조군에 비해 $3.1%{\sim}11.1%$ 증가하였다. 활성산소 중 히드록시 라디칼 함량은 애엽 추출물 식이군에서 $10.4%{\sim}17.4%$의 유의적인 감소 효과가 인정되었으며, 그리고 산화적 스트레스로써 산화단백질의 함량도 애엽 추출물 식이군(ME-100, ME- 200)이 대조군에 비해 각각 15.2%와 17.1%의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p<0.05). 과산화지질함량은 애엽 추출물의 농도 증가에 따라 감소되는 경향을 보여주었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수퍼옥시드 디스무타아제 활성은 ME-100 군과 ME-200 군에서 각각 15.0%와 23.3%의 유의적인 증가가 있었고, 또한 애엽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카탈라아제 활성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애엽 추출물의 섭취가 피부의 활성산소를 제거하고 산화적 스트레스를 억제하며, 항산화효소의 활성을 증가시켜 피부의 노화현상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강력한 항산화제인 아스코르브산과 비교하여도 손색이 없는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피부 건강기능 식품과 음료 소재로서 애엽의 이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자외선 조사 무모쥐 피부조직에 도포한 애엽(Mugwort) 추출물의 주름개선 효과 (Antiwrinkle Effects of Mugwort (Artemisia vulgaris) Extracts on UVB-Irradiated Hairless Mouse Skin)

  • 박시향;홍유미;최영준;최진호;김병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9호
    • /
    • pp.1136-1141
    • /
    • 2008
  • 무모쥐의 등에 애엽 추출물과 아스코르브산 함유 스킨로션을 도포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애엽 추출물과 아스코르브산의 주름 개선 효과를 알아보았다. 애엽 추출물 도포군의 피부조직 두께는 대조군에 비해 $12.5{\sim}21.4%$의 유의적인 감소 효과를 보였다. 표면 거칠기 측정기에 의한 피부 주름의 형성 정도를 측정하는 지표인 Ra값은 ME-1.0, ME-2.0과 ME-5.0 도포군에서 $23.7{\sim}31.1%$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p<0.01), Rq치는 ME-1.0, ME-2.0와 ME-5.0에서 $11.2{\sim}21.2%$, Rz의 측정치에서는 ME-1.0(19.8%), ME-2.0(22.1%), ME-5.0(24.5%) 그룹에서 대조군에 비해 크게 감소하였다. Rt치는 ME-1.0, ME-2.0와 ME-5.0 그룹에서 농도 증가에 따라 14.2%에서 22.7%의 유의적인 감소효과가 있었다. 아스코르브산 도포그룹은 애엽과 비슷한 감소효과를 보여주었지만, 애엽의 주름 개선효과에는 미치지 못하였다. MMP-1 활성은 애엽 메탄올 추출물 그룹에서 $19.3%{\sim}22.6%$까지 감소하였고, 콜라겐의 생성은 ME-2.0과 ME-5.0그룹에서 10% 정도의 유의적인 증가 효과가 있었다. 이처럼 애엽 메탄올 추출물은 피부의 광손상에 대한 피부 보호 및 피부의 주름 개선효과가 탁월하고, 또한 강력한 항산화제인 아스코르브산보다 그 효과가 우수하여 피부노화 현상과 주름 개선을 위한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이용가치가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쑥의 에탄올 추출물에 함유된 Flavonoid들의 분리 및 동정과 이들의 항산화 효과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Flavonoids from Ethanol Extracts of Artemisia vulgaris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y)

  • 이상준;정하열;이인경;유익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815-822
    • /
    • 1999
  • 우리 나라 전역에 자생하는 쑥(Artemisia vulgaris)의 전초의 수용성 에탄올추출물로 부터 21가지의 flavonoids를 분리하였다. 이들 화합물의 동정은 H-NMR, mass, UV-스펙트럼을 이용하여 동정하였으며, 동정된 flavonoids들은 tricin, jaceosidine, eupafolin, diosmetin, chrysoeriol, humoeridictyol, isorhamnetin, apigenin, eriodictyol, luteolin, luteolin 7-glucoside, kaempferol 3-glucoside, kaempferol 7-glucoside, kaempferol 3-rhamnoside, kaempferol 3-rutinoside, quercetin, quercetin 3-glucoside, quercetin 3-galactoside, quercetin, quercetin 7-glucoside, rutin 그리고 vitexin으로 동정 되었다. 이들 분리된 각 flavonoids들에 대하여 쥐의 간에서 추출한 마이크로좀에 대하여 지질과산화 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들 flavonoids화합물들의 항산화효과는 비타민 E와 비교하였을 때 높은 활성이 나타났다. 이미 강력한 항산화물질로 잘 알려진 quercetin, apigenin, eriodictyol등의 화합물의 $IC_{50}$ 값은 각각 0.9, 0.3, $0.3\;{\mu}g/mL$로 나타났으며, methoxylated flavonoids인 eupafolin, jaceosidine, diosmetin 등의 화합물도 $IC_{50}$ 값이 1.0, 1.4, $1.0\;{\mu}g/mL$로 나타나 비타민 E에 비교할 때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 PDF

천연물질을 이용한 반추동물 항생제 대체용 친환경 펠렛코팅오일의 개발 (Development of an Environmental Friend Pellet Coating Oil for Replacement of Antibiotics for Ruminant Aninmal)

  • 최빛나;송완선;추병길;조상범;함영주;김남형;양경희;김영준;이홍구;최낙진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373-390
    • /
    • 2015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coated feed using mixed oil on rume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based on materials that were mixed. First, cashew nut and soybean oils were mixed with white mineral oil. And second, different plant extracts were mixed with white mineral oil. At first experiment, inclusion levels of mixed oil on diet (0.03%, 0.1%, 0.5%) were applied as variables. A coated diet was fermented with rumen inoculum according to in vitro rumen fermentation and its parameters were investigated. In the result of first experiment, no negative effects on rumen pH were found. Significantly decreased dry matter digestibility was detected at 0.5% treatment (P<0.05). Total gas productions in control and 0.03%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ose of others (P<0.05). Significantly reduced methane productions were found in all treatments compared to the control (P<0.05). Inclusion of mixed oil did not affect on ammonia production. Total volatile fatty acid production was also not influenced by coating with mixed oils. Rumen fermentation parameters were greatly changed according to introduced plant extracts at second experiment. The significantly lowest and greatest ammonia productions were found at treatments with Ixeris dentata and Plantago asiatica, respectively (P<0.05). The significantly greatest acetate and propionate productions were detected at treatments with Crucuma longa and Zizyphus vulgaris 1, respectively (P<0.05). All treatments, except Chrysanthemum idicum, Euyale ferox seed, Moringa leaf and fruit and Zizyphus vulgaris 1,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total volatile fatty acid production compared to the control (P<0.05). Only Paeonia lactiflora showed significantly lesser gas production than the control (P<0.05). In methane production, Ceramium, Zizyphus, Paeonia, Agrimonia, Torilis, Mugwort, Foeniculum, Euphorbia, Taraxacum, Artemisia, Momordica, Curcuma and Moringa reduced methane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control (P<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