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ountain distribution

검색결과 460건 처리시간 0.023초

은줄팔랑나비 개체군의 서식지 내 분포특성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in the Habitat of Leptalina unicolor Population)

  • 홍성진;윤춘식;정선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8권12호
    • /
    • pp.1123-1131
    • /
    • 2019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spatial range, distribution pattern, temporal appearance, sex ratio, seasonal pattern, and size of the population of Leptalina unicolor locally inhabiting the wetland protection area in the Jaeyaksan Mountain. We found that the butterfly was distributed across four areas at 750 m above sea level and in an area of 96,000 ㎡. in the southeastern slope of the mountain. The discontinuous distribution of the butterflies in the meadow. According to our survey conducted from 2012 to 2014, L. unicolor occurred in May (spring) and July (summer) each year, with the male population more than three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female population. The population size estimated using the mark and recapture method on the back of the hind wing in the two years was as follows: 877±502 and 1243±800 individuals in the spring and summer of 2012, respectively, and 783±429 and 506±365 individuals in the spring and summer of 2014, respectively, suggesting no specific seasonal patter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ful for the conservation of the populations and habitats of L. unicolor, which are currently distributed locally due to a decrease in population size.

돌뽕나무(Morus tiliaefolia Makino)와 몽고뽕나무(Morus mongolica C.K. Schneider)의 韓半島에서의 自然分布 (Natural Distribution of Morus tiliaefolia Makino and Morus mongolica C.K.Schneider Growing Wild in the Korean Peninsula)

  • 박광준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51-55
    • /
    • 2002
  • 한반도에 자생하는 돌뽕나무(Morus tiliaefolia)와 몽고뽕나무(Morus mongolica)의 자연분포지는 다음과 같다. 1. 돌뽕나무는 강원도 화천읍(북위 38$^{\circ}$8')을 북한으로 하여 산간 내륙과 해안 도서지방에 많이 분포하며 동해 난류의 영향으로 함경북도 명천군 칠보산에도 분포한다. 2. 몽고뽕나무는 황해도 재령군 장수면(북위 38$^{\circ}$15')이북의 백두대간 서쪽에 분포하며 이례적으로 강원도 삼척지방(북위 37$^{\circ}$24')에도 자생한다.

GIS기법을 이용한 백두산 화산재해 종합평가 연구 (A Study on Integrated Assessment of Baekdu Mountain Volcanic Aisaster risk Based on GIS)

  • ;최윤수;남영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2권4호
    • /
    • pp.77-87
    • /
    • 2014
  • 2014년 에콰도르의 툰구라와 화산폭발, 2010년 아이슬란드 에이야프야틀라이외쿠틀 화산폭발 등과 같이 최근 화산활동으로 인한 재해피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폭발 위험성이 높은 활화산 중 하나인 백두산을 대상으로 객관적 관측자료와 과학적인 방법에 근거하여 재해위험지역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 번째로 중국학자 Liu Ruoxin의 연구에 근거하여 1215(${\pm}15$)년 백두산 화산 대폭발 화산재해 데이터를 참조하여 백두산지역의 지진관측자료와 화산지역 형태변화 관측자료, 화산지역 유체지구화학관측자료, 사회경제 통계데이터를 이용해 재해유발요소, 잠재적인 재해유발환경, 피해대상의 취약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였다. 평가결과를 토대로 대상지역에 대한 백두산화산재해위험등급분포도를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 백두산화산재해위험등급을 4단계로 체계화하였다. 분석결과 백두산화산재해위험등급은 중심부에서 주변으로 갈수록 점차 등급이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1,2급 위험지역은 화산폭발 시 위험도와 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고위험지역으로, 3,4급 위험 지역은 화산재해위험이 상대적으로 낮은 지역으로 나타났다. 또한 같은 강도의 화산재해요소의 작용하에서는 연구지역의 서쪽지역이 받는 위험성이 동쪽지역보다 높은데 이는 비교적 낮은 잠재적인 재해유발환경의 안정성과 높은 피해대상 취약성에 의해 결정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덕유산 국립공원 향적봉 일대 삼림식생의 군락분포에 관한 연구 (Community Distribution on Forest Vegetation of the Hyangjeokbong in the Deogyusan National Park)

  • 최영은;오장근;김창환
    • 생태와환경
    • /
    • 제46권2호
    • /
    • pp.289-300
    • /
    • 2013
  • 덕유산 국립공원 향적봉 (해발고도 1,614 m) 일대 삼림식생은 산지삼림식생과 평지삼림식생으로 대별되어있다. 산지삼림식생은 산지낙엽활엽수림, 산지습성림, 산지침엽수림, 아고산침엽수림, 산지관목림, 산지초원식생, 식재림 등으로 세분되었으며, 평지삼림식생은 하반림이 조사되었다. 상관대분류(physiognomy classification)에 의하여 구분된 산지삼림식생의 분포군락수는 산지낙엽활엽수림 42개 군락, 산지습성림 37개 군락, 산지침엽수림 8개 군락, 아고산침엽수림 6개 군락, 산지관목림 3개 군락, 산지초원 1개 군락, 식재림 21개 군락, 기타 4개 군락의 122개 군락과 하반림 2개 군락의 총 124개 군락이 조사되었다. 조사된 주요 군락의 분포 비율을 보면 산지낙엽활엽수림은 신갈나무군락이 $3,638,917.98m^2$의 23.75%로 가장 높은 분포 비율로 조사되었고, 졸참나무군락이 $1,977,984.23m^2$의 12.91%, 굴참나무군락 $1,586,894.01m^2$ 10.36%로 3개 군락이 전체의 47.02%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산지습성림은 들메나무군락이 전체의 57.48%를 차지하고 있으며, 들메나무와 상층부의 식피율이 비슷하여 혼생군락을 이루고 있는 군락은 14개 군락으로 전체의 31.88%를 차지하고 있다. 산지침엽수림은 소나무군락이 전체의 77.53%로 서 대부분의 산지침염수림은 소나무 1종이 상층부에서 우점종으로 나타나는 군락의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아고산침엽수림은 주목-구상나무군락이 49.30%로 약 50%를 차지하고 있으며, 구상나무군락이 18.91%로, 구상나무-주목군락이 2.44%로 주목과 구상나무가 상층부 우점종 및 차우점종으로 군락을 이루는 비율이 70.65%로 조사되었다. 산지관목림 및 산지초원식생은 대부분 향적봉 정상과 정상에서 중봉으로 이어지는 능선부에 집중되어있다. 식재림은 일본잎갈나무가 식재림 전체의 50.40%로 가장 많이 식재되었으며, 리기다소나무가 24.51%, 잣나무가 19.74%로 3개 수종이 전체의 94.65%로 대부분이 이들 3종에 의하여 식재되어졌다. 한편 하반림 식생은 연구대상지역 전체 식생면적의 0.024%를 차지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덕유산 국립공원 향적봉 일대 삼림식생은 신갈나무, 졸참나무, 굴참나무, 들메나무, 층층나무, 소나무, 구상나무, 주목 등 소수의 수종이 최상층부의 우점종으로 분포하고있으며 2종에 의하여 형성된 수많은 군락들은 식생천이 및 기후적 요인에 의하여 이 지역 일대의 극상수종인 신갈나무, 서나무, 들메나무 등으로 군락 대체가 예상된다. 그러나 아고산침엽수림은 기후온난화와 인위적 교란에 의하여 점차적으로 낙엽활엽수의 분포비율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Mapping and analyzing the distribution of the species in the genus Tulipa (Liliaceae) in the Ferghana Valley of Central Asia

  • DEKHKONOV, Davron;TOJIBAEV, Komiljon Sh.;MAKHMUDJANOV, Dilmurod;NA, Nu-ree;BAASANMUNKH, Shukherdorj;YUSUPOV, Ziyoviddin;CHOI, Hyeok Jae;JANG, Chang-Gee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181-191
    • /
    • 2021
  • Tulips are bulbous geophytes that have considerable commercial value worldwide. This genus primarily originated in the Tien Shan and Pamir-Alai mountain ranges, which surround the Ferghana Valley. The Ferghana Valley is home to five sections of the genus Tulipa L, represented by 23 taxa (22 species). However, there is a lack of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distribution of Tulipa species in the natural geographic area of the Ferghana Valley. Therefore, to address this knowledge gap, we comprehensively investigate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all Tulipa species in the valley. To assess the spatial distribution, the entire area was divided into 32 squares consisting of four latitudinal and eight longitudinal zones. The results showed that latitudinal zones B and C with 15 and 13 taxa, respectively, along with five longitudinal zones (A5, B3, B4, C2, and C3) with 5 to 10 taxa were hotspots for this genus. Additionally, the spatial distributions of the species in terms of the corresponding state borders, mountain ranges, endemism, and conservation issues were assess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comprehensive information about the distribution of Tulipa species to assist with conservation initiatives ultimately to ensure the survival of various species.

지형요소를 활용한 전라도 논매기소리의 공간분포와 전파에 관한 연구: 아리시고나 류, 산아지 곡, 방게 류를 사례로 (A Study on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Diffusion of Rice-paddy Weeding Songs Using the Geomorphic Elements in Jeolla-do: A Case of Arishigona, Sanaji and Bang-gae)

  • 윤혜연;장동호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71-85
    • /
    • 2021
  • In this study, the effect on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diffusion of Arishigona, Sanaji and Bang-gae appearing in Jeolla-do was analyzed using geomorphic elements. Based on result, the AriShigona is distributed in the western plains of the Yeongsan River basin and around from the Noryeong mountain range to Mudeung mountain range, the Sanaji is mainly diffused in the middle and upper parts of the Seomjin River and the lower parts of the Mangyeong River, Dongjin River and the Boseong River basin, and the Bang-gae is found to be distributed in the Seomjin River and the upper part of the Yeongsan River basin. Although the cultural centers of these Rice-paddy Weeding Songs are different but they appear to have a similar distribution pattern in Jeolla-do. This is used as a diffusion path of cultural elements by crossing lineaments in various directions and serving bridge role at the same time. However, in the region where the lineaments do not intersect, the continuity of Rice-paddy Weeding Songs are relatively low, which are considered to be reflected in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propagation of the sound due to the influence of the drain network rather than the linea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basic data for spatial distribution of Rice-paddy Weeding Songs, and regionality and cultural division by diffusion characteristics.

산불지역의 WEPP 매개변수 추정 (Estimation of WEPP's Parameters in Burnt Mountains)

  • 박상덕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1권6호
    • /
    • pp.565-574
    • /
    • 2008
  • 산불에 따른 토양의 반발수력 증대로 산지의 유출량과 토양침식량이 가중된다. WEPP모형을 산불지역에 적용하기 위한 주요 매개변수들의 최적 추정기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산불지역에서 WEPP모형은 유출량이 적을 때 과대평가하고 많으면 과소평가하였으며 토양침식량이 적은 경우에도 과대 산정하는 경향이 있다. 산불지역에서 이 모형의 유출량 변화는 유효투수계수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토사유출량 변화는 유효투수계수, 초기포화도, 세류침식계수, 세류간침식계수가 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불지역에서 WEPP의 적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유출량에 대해서는 유효투수조정계수를 도입하고, 토사유출량에 대해서는 세류침식조정계수와 세류간침식조정계수를 도입하였다. 유효투수조정계수는 강우사상의 최대강우강도와 식생인자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세류침식조정계수는 입도분포의 토양성분 특성과 강우사상의 총강우량에 좌우되었으며 세류간침식조정계수는 최대강우강도와 식생고지수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산불지역 사면에서 WEPP모형의 적용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대전광역시 산줄기 단절지점 평가 및 복원방안 (The Assessment and Restoration Plan for Fragmented Points of Mountain Range in Daejeon)

  • 조현주;이은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4호
    • /
    • pp.622-631
    • /
    • 2015
  •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의 주요 산줄기 분포 현황 및 단절지점을 파악하고, 평가를 통해 우선복원지점을 선정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신상경표에 의한 산줄기 분포현황을 파악한 결과, 대전광역시는 3개의 지맥과 이들 지맥에서 뻗어 나온 10개의 세맥이 분포하고 있었다. 또한 주요 산줄기와 도로망을 중첩하여 산줄기 단절지점을 파악한 결과 총 31개의 단절지점 중 12개의 복원가능지점이 선정되었다. 평가지표 및 평가모형을 개발하여 산줄기 우선복원지점을 평가한 결과, I등급은 4개, II등급은 5개, III등급은 3개 지점이 선정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각 등급별 차별화된 복원방안을 3가지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향후 객관적인 평가모형 개발 및 구체적인 지점별 복원방안에 대한 방법론이 제시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강수계 상위고도 하천의 저온성 및 산악성 부착조류군집 (The Community of Cryophilic and Mountain Periphyton at High Altitude Streams in the Han-river System)

  • 김용진;공동수;이옥민
    • 환경영향평가
    • /
    • 제21권1호
    • /
    • pp.143-160
    • /
    • 2012
  • The community of periphyton was studied at high altitude streams of the Han-river System, including Buk-stream and Hangae-stream from October to November 2010. The study had special emphasis on the distribution of the cryophilic and mountain periphyton. In this research, 117 taxa of periphyton appeared and 80 taxa of diatom were included within these periphytons. Saproxenous taxa, such as Achnanthes convergens and Hannaea arcus var. subarcus were appeared in most sites, 7 sites were dominant by filamentous taxa in green and blue green algae. The DAIpo value was from 48.8 to 92.5 for the water system of this research. Most sites showed a good water quality, receiving a B class or above except the Woljeong-stream and the Daeki-stream. Cryophilic and mountain periphyton appeared 9 taxa which composed by diatoms Cymbella affinis, Cymbella tumida, Diatoma mesodon, Diatoma vulgare, Eunotia pectinalis, Hannaea arcus, Hannaea arcus var. subarcus and Synedra inaequalis and green algae Ulothrix zonata. Among these taxa, Hannaea arcus var. subarcus, found in 29 out of 33 sites, had the highest frequency of apperance. The relative frequency of Hannaea arcus var. subarcu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ltitude($r^2$=0.539)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water temperature($r^2$=0.338). As a result, Hannaea arcus var. subarcus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cryophilic and mountain periphyton in the research site.

2020 강원영동 강풍 관측에서 지상 바람의 공간 변동성 분석 (Analysis of Spatial Variability of Surface Wind during the Gangwon Yeongdong Wind Experiments (G-WEX) in 2020)

  • 김유정;권태영
    • 대기
    • /
    • 제31권4호
    • /
    • pp.377-394
    • /
    • 2021
  • The recent largest forest fire in the Yeongdong region, Goseung/Okgae fires of 2019 occurred during YangGang wind event. The wind can be locally gusty and extremely dry, particularly in the complex terrain of Yeongdong. These winds can cause and/or rapidly spread wildfires, the threat of which is serious during the dry spring season. This study examines the spatial variability of the surface wind and its coupling with the upper atmospheric wind using the data during the IOP of the Gangwon Yeongdong Wind Experiments (G-WEX) conducted in 2020 and the data during YangGang wind event on 4~5 April 2019. In the case of IOPs, strong wind at the surface with a constant wind direction appears in the mountain area, and weak wind with large variability in wind direction appears from foothill to the coast in the vicinity of Gangneung region. However, in the 2019 event, strong wind at the surface with a constant wind direction appears in the entire region from the mountain to the coast, even with the stronger wind in the coast than in some part of the mountain area. The characteristics of the upper atmospheric wind related with the spatial distribution of surface wind show that during IOPs of G-WEX, a strong downdraft exists near the mountaintop in the level of about 1 to 4 km. However, in the 2019 event a strong downdraft is reinforced, when its location moves toward the coast and descends close to the ground. These downdrafts are generated by the breaking of mountain wa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