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ss peat

검색결과 141건 처리시간 0.025초

Aspergillus niger NRRL 567을 이용한 고체배양에서 완충용액이 구연산 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uffers on Citric Acid Production by Aspergillus niger NRRL 567 in Solid Substrate Fermentation)

  • 김진우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0권5호
    • /
    • pp.874-878
    • /
    • 2012
  • 곰팡이균을 이용한 구연산 생산에 있어 액체배양의 초기 pH는 구연산 생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체배양에서 Aspergillus niger를 이용한 구연산 생산에 여러 pH의 완충용액이 구연산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 최적의 완충용액을 찾고자 연구하였다. 실험에 적용된 여러가지 완충용액은 구연산 생산에 영향을 미치며 높은 초기 pH 조건에서 구연산 생산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러가지 완충용액 중, phosphate (pH 8.6) 완충용액과 carbonate 완충용액(pH 10.0)이 고체발효에서 구연산 생산에 가장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Carbonate 완충용액(pH 10.0)을 사용하여 고체배지의 초기 pH를 6.8으로 하였을 경우, 최대 구연산 생산인 564.3 g/kg solid substrate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염기 또는 산을 사용하여 고체 배지의 초기 pH를 4.42로 조정한 배지에 비해 phophate 완충용액을 사용한 pH 4.48의 고체배지에서 구연산 생산성이 1.5배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완충용액의 사용이 구연산 생산에 의한 배지의 산성화를 방지해 세포성장과 생산성을 높였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지베렐린($GA_3$) 처리가 Viola속 몇 종의 종자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ibberelic Acid Treatment on Seed Germination of Several Viola Species)

  • 김갑태;엄태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74-77
    • /
    • 1994
  • 원주지방 근처에 자생하는 Viola속 5종에 대한 실생번식법을 밝히고자, 1994년 봄에 종자를 채취하여 Gibberelin(GA$_3$) 5, 25 및 50ppm 수용액에 24시간 침지하였으며, 대조구로는 지하수에 24시간 침지시켰다. 처리된 종자를 1994년 5월 25일에 혼합토양(모래:peat moss :perlite: vermiculite, 1.1:1:1, v/v)을 채운 Jiffy strips에 10립씩 3반복으로 파종하여 2일에 1회씩 관수하면서 발아된 개체수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흰털제비꽃의 종자발아는 처리간 고도의 통계적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나 다른 종들에서는 처리간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그러나 대조구와 GA$_3$처리구로 나누어 볼 때 Viola속 5종의 종자발아에 대한 GA$_3$처리 효과는 대체로 인정되었으며, 25~50ppm 농도가 효과적이었다.

  • PDF

목질계 농부산물을 이용한 고체발효에서 발효조건 최적화를 통한 구연산 생산 증대 (Optimization of Fermentation Conditions for the Production of Citric Acid by Aspergillus niger NRRL 567 Grown on Agricultural by Products)

  • 김진우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2권3호
    • /
    • pp.402-406
    • /
    • 2014
  • 본 실험에서는 농부산물인 밀짚을 고체배지로 사용하여 Aspergillus niger NRRL 567에서 구연산 생산 시, 발효조건과 첨가제가 구연산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단일변수(one-factor-at-a-time) 최적화를 이용하여 주요 인자의 순차적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발효 72시간에서 온도, 수분함량, 입자크기, pH와 첨가제 농도를 최적화했을 때, 각각 $30^{\circ}C$, 70%, 0.5~1.0 mm, pH 5.5와 4% 메탄올 첨가조건에서 최대 구연산 생산인 206.0 g/kg 건조중량 (DM)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최적화 이전 구연산 최고 생산인 74.5 g/kg DM 대비 177% 증가한 결과이다. 최적화 실험에서 도출된 조건을 밀짚, 옥수수대와 피트모스(peat moss)에 적용하여 고체발효를 수행하였을 때, 발효 120시간에서 각각 231.8, 213.8, 240.2 g/kg DM 구연산 생산을 확보하였다. 본 실험 결과는 밀짚과 옥수수대 등의 목질계 농부산물을 이용한 구연산 생산 시, 고체발효법이 기존의 액체발효법의 대체가 가능함을 시사하였다.

돌토끼고사리 포자체의 대량생산을 위한 몇 가지 요인 (Several Factors Affecting Mass Production of Microlepia strigosa (Thunb.) C. Presl Sporophytes)

  • 조주성;이철희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5권1호
    • /
    • pp.46-58
    • /
    • 2017
  • 본 연구는 돌토끼고사리의 포자발아, 전엽체 증식, 포자체 형성 및 육묘의 조건을 구명하여 대량증식 체계를 확립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포자 발아는 영양물질의 함량이 낮은 배지에서 촉진되었으며, 특히 Knop배지에서 최종 발아율(100%)과 전엽체의 발달이 우수하였다. MS배지를 기본으로 하여 배지구성물질을 1 / 8-2배로 조절한 배지와 Knop배지에서 전엽체를 배양한 결과, 2XMS배지에서 전엽체의 생육이 가장 왕성하였으며 다수의 장정기가 발달하였다. 또한 배지에 sucrose의 첨가량은 3%가 적절하였으며, 전엽체의 정상적인 증식을 위해 활성탄은 첨가하지 않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원예용 상토, 피트모스, 펄라이트 및 마사토 등을 이용하여 포자체 형성에 적합한 배양토와 육묘용토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 생육이 우수한 다수의 포자체를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상토 : 피트모스 : 마사토를 1 : 1 : 1(v : v : v)로 혼합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또한 형성된 포자체들은 50공 플러그 트레이에 상토 : 마사토를 2 : 1(v : v)로 혼합한 토양을 충진하여 육묘하였을 때 지상부의 생육이 왕성하고 뿌리의 발생량도 가장 많았다.

야생초류의 자원화를 위한 연구 -지베렐린($GA_3$) 처리가 몇 야생초류의 종자발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for the Utilization of Wild Herbaceous Species -Effects of Gibberelic Acid Treatment on Seed Germination-)

  • 김갑태;엄태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56-61
    • /
    • 1995
  • 강원지방에 자생하는 야생의 초본식물 6종에 대한 실생번식법을 밝히고자, 1954년 봄과 가을에 종자를 채취하여 Gibberelin(GA$_3$) 25 및 50ppm 수용액에 24시간 침지하였으며, 대조구로는 지하수에 24시간 침지시켰다. 처리된 종자를 1995년 4월 23일에 혼합토양(모래:peat moss: perlite: vermiculite, 1:1:1:1, v/v)을 채운 플라스틱 화분(직경 12,높이 11cm)에 40립씩 3반복으로 파종하여 2일에 1회씩 관수하면서 발아된 개체수를 조사하였다. 1995년 5월 13일에 채취된 할미꽃 종자는 1995년 5월 31일에 처리하고 6월 1일에 묘포에 파종하였다. 향유, 금낭화 및 배초향의 종자발아는 처리간 고도의 통계적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나 가는 쑥부쟁이, 거북꼬리 할미꽃 등의 종들에서는 처리간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금낭화와 배초향에서는 25ppm, 향유에서는 50ppm 처리구에서 발아촉진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 야생초류의 자원화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 PDF

토탄을 이용한 저질개선제가 꼬막 Tegillarca granosa의 혈액학적 성상에 마치는 영향 (Effects of Sediment Improvements with Peat Moss on the Blood Properties of Blood Cockle, Tegillarca granosa)

  • 이경선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3-48
    • /
    • 2010
  • 토탄과 같은 자연소재를 이용한 자연친화적인 연안 저질개선제 살포가 꼬막의 혈액학적 성상 몇 근육 글리코겐 함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실내 실험을 실시하였다. 저질개선제를 단위면적($m^2$)당 0, 100, 300, 800g의 양을 살포 후 10일 동안 숙성시킨 꼬막을 수조에 수용하여 14일 동안 사육 실험한 결과 저질개선제를 단위면적($m^2$)당 800g 살포한 구에서 48시간 후에 1개체가 폐사한 것 이외에 심험종료까지 폐사가 일어나지 않아 자연소재로 구성된 저질개선제가 생물 자체에는 직접적인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꼬막 혈액의 전혈량, 헤마토크리트값, 헤모글로빈량에 있어서는 저질개선제 살포 농도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혈액 글루코스량 및 근육 글리코겐량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Study on Rate-Limiting Factors with a Heavy Loaded Biofilter

  • Son, Hyun-Ke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 /
    • 제23권E2호
    • /
    • pp.74-81
    • /
    • 2007
  • Feasibility test for a biofilter was performed to treat VOCs. The applied loading rate to the biofilter was calculated between 60 to $3,700\;kg\;COD/m^3$. Trimethyl-pentene and trimethyl-hexene were the two most dominant compounds and they occupy about 85 percent. During the acclimation period, it is desirable for a biofilter to receive relatively lower VOCs concentration and flow rate, until it can adjust to new substrate and operational environment. Temperature at various points inside the biofilter reactor was observed with more than 23 temperature sensors. With steam heating, temperatures of the top sections of the media were greater than those of bottom sections. Without steam heating, intermediate stages generally had higher temperature measurement than those of bottom and top stages. Because the pH values for different biofilter materials vary significantly, measurement of the pH for the mixture of different combinations of biofilter materials is necessary. Based on the types and brands of media, the measured pH ranged from 5.38 to 9.10. The range of measured pH of different mixtures with perlite, compost, saw dust, peat moss, limestone, vermiculite was 7.05 to 8.62.

Micropropagation of Kalopanax $pictus(T_{HUNB}.)\;N_{AKAI}$ by bud cultrue

  • Kim, Bong-Kyu;Yi, Yong-Sub;Ahn, Joong-Hoon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49-252
    • /
    • 2002
  • Several plant growth regulators were examined for on their effect on the in vitro propagation of Kalopanax pictus$(T_{HUNB}.)$ $(N_{AKAI}.)$ on WPM medium. Among the cytokinins tested, BA at $13.32\;{\mu}M$ appeared to be the most effective for multiple axillary shoot formation. Although the addition of $2.89\;{\mu}M\;GA_3$ promoted stem elongation, it produced morphologically abnormal leaves and stems. For rooting of the shoots, $4.9\;{\mu}M$ IBA seemed to be more effective than $2.69\;{\mu}M$ NAA. When the regenerated plants were transferred on artificial mixture containing vermiculite and peat-moss (1 : 1, v/v), 81% of them survived and grew normally.

Records of Holocene Environmental Changes in Terrestrial Sedimentary Deposits on King George Island, Antarctica; A Critical Review

  • Tatur A.;Valle R. Del;Barczuk A.;Martinez-Macchiavello J.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6권3호
    • /
    • pp.531-537
    • /
    • 2004
  • In this study we discuss some problems that emerged from paleolimnological and paleontological investigations of terrestrial Holocene ecosystems on King George Island (South Shetland Islands) conducted by an Argentine-Polish research group. Biological and geochemical markers commonly used in standard analytical procedures are considered insufficient in tracing overlapping records of past environmental changes preserved in peat banks, lake sediments and ornithogenic remnants. Records that might be explained by predictable natural events (related to glacio-isostatic uplift of land), roughly predictable events (ecological succession), or unpredictable events (volcanic eruptions or accidental destruction of aquatic moss) may overlap or interfinger one with another providing that signals of regional and/or global climatic changes, are hardly identifiable. A more sophisticated and more selective methods are recommended to do discrimination between records of local and regional/golbal processes in studies on Holocene climatic history of the South Shetland Islands.

피트모스 육묘상토 내 온도가 고추 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emperatures in Seedling Media on Pepper Emergence at Peat Moss)

  • 전희;김현환;이시영;김경제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2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54-56
    • /
    • 2002
  • 고추는 국내 재배면적이 노지재배가 75,000 ha 정도로서 해마다 조금씩 감소하고 있고, 시설재배가 5,000 ha 정도로서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약 80,000 ha 의 재배 면적을 매년 심어야 하기 때문에 원예작물 가운데 가장 많은 모종을 필요로 한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하여 공정육묘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60%를 넘고 있다. 고추종자는 발아적온이 28-3$0^{\circ}C$ 정도로 알려져 있으며 발아소요일수가 2-3일 정도로서 발아적산온도는 1,300~1,450$^{\circ}$ 정도로 알려져 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