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squito larvae control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8초

Expression of Mosquitocidal Bacillus sphaericus Binary Toxin and B. thuringiensis cry11B Genes in B. thuringiensis 407

  • Park, Hyun-Woo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2권2호
    • /
    • pp.185-189
    • /
    • 2001
  • Wild type Bacilus thuringiensis subsp. israelensis and B. sphaericus toxins have been used separately as active in ingredients for bacterial insecticides to control mosquito larvae due to their comparable toxicity to chemical insecticides. Cry11B, recently cloned from B. thuringiensis subsp. jegathesan, shows higher toxicity against three major species of mosquito larvae than Cry11A, one of the major component of B. thuringiensis subsp. israelensis inclusion body. To determine whether the combination of cry11B and B. sphaericus binary toxins is as toxic as B. thuringiensis subsp. israelensis parental strain, cry11B and B. sphaericus binary toxins genes were co-expressed as an operon using cytlA promoters/STAB-SD hybrid expression system in B. thuringiensis subsp. israelensis acrystalliferous strain 4Q7. However, unexpectedly, B. sphaericus binary toxins were barely produced, whereas relatively large amount of Cry11B was produced. When this strain was grown in four different media, NB+G and Peptonized Milk produced more toxin proteins and spores per unit of media than GYS and G-Tris. Toxicity of this strain against fourth instar Culex quinquefasciatus was ranged from of 8.3 to 45.7 ng/ml, with NB+G culture being the highest, and GYS culture was the lowest.

  • PDF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morrisoni PG-14 cryIVD 유전자로 형질전환된 Synechocytis PCC6803의 특성과 학질모기에 대한 살충효과 (Characterization of Synechocystic PCC6803 transformed with cryIVD gene of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morrisoni PG-14 and its mosquitochidal effect on Anopheles sinensis)

  • 이대원;박현우;김호산;진병래;유효석;김근영;강석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66-73
    • /
    • 1996
  •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morrisoni PG-14의 cryIVD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는 발현벡터 pCYASK5-1을 제작하여 Synechocystis PCCC6803에 형질전환시킨 후, 학질모기(Anopheles sinensis)유충에 대한 독성을 검정하였다. Kanamycin이 포함된 BG-11배지에서 선발된 형질전환체의 cryIVD 유전자 발현은 SDS-PAGE와 West-ern blot분석으로 확인하였다. 형질전환체는 A. sinensis 유충에 대해 높은 독성을 나타내었으며, 성장은 야생주인 Synechocystis Pccc6803과 유사하였다. 또 수심에 따른 형질전환체의 분포도 조사에서 전체적으로 살충농도의 세포수로 분포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B. thuringiensis subsp. morrisoni PG-14의 cryIVD 유전자로 형질전환된 Synechocystis PCCC6803이 모기유충 방제에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 PDF

습지생태계의 공익적 서비스 연구 -1. 자생어류을 이용한 모기유충의 효과적인 생태학적 제어방법 (A Study on the Ecosystem Service of Wetland -1. Effective Biological Control of the Mosquito Larvae using Native Fishes)

  • 정헌모;김해란;유영한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9-24
    • /
    • 2013
  • 토종어류를 이용한 효율적인 생태학적 모기 방제 방법을 제안하기 위해 서산지역에 서식하는 토종어류를 이용하여 모기를 제어할 수 있는 최적 조건을 알아보았다. 어류 종류별에 따른 모기유충 포식률과 온도차에 따른 포식활동의 변화를 알아본 결과, $32^{\circ}C$의 환경에서는 왜몰개가 가장 높은 포식률을 보였고 미꾸라지가 가장 낮은 포식률을 보였다. 반면 낮은 온도의 환경에서는 왜몰개와 얼룩동사리가 가장 빠른 시간에 높은 포식률을 보인 반면, 미꾸라지는 온도와 상관없이 어류 6종 중에 모기유충 포식률이 가장 낮았다. 수심에 따른 어류 종류별 모기유충 포식률은 왜몰개와 참붕어가 수조의 아랫부분에서, 붕어와 얼룩동사리는 수조 바닥부분에서 높은 포식률을 보였고, 미꾸라지는 수조 바닥부분에서 모기유충을 섭식하였다. 그리고 대륙송사리는 수표면에서 95%의 높은 포식률을 보였다. 서로 다른 위치에서 먹이활동을 하는 어류 3종을 선정하여 모기유충 50마리를 포식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한 결과, 왜몰개 2마리는 10분, 대륙송사리 2마리는 21분 그리고 미꾸라지 2마리는 45분이 걸렸다. 반면 미꾸라지와 왜몰개를 각각 1마리씩 넣었을 때는 8분, 미꾸라지와 대륙송사리를 넣었을 때는 17분이 걸렸다.

물방개류 실내 사육법 (Indoor Rearing Method of Diving Beetles: Cybister japonicus, Cybister tripunctatus orientalis, Cybister brevis)

  • 김남정;홍성진;김성현;박해철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27-32
    • /
    • 2012
  • 점차 희소화되는 물방개류의 서식지내 복원 및 애완곤충 등 곤충산업 소재화를 목표로 실내 사육연구를 수행하였다. 물방개류는 자연상태에서 수초 줄기에 산란하는 습성을 지니고 있어 실내에서 안정적으로 대량생산을 하기 위해서는 인공산란매트 선발이 필요하며 인공산란매트는 사육상자 밑면에 깔아준 모래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충기(2 3령) 사육에 적합한 먹이원은 연중 안정공급시 가능한 먹이로서 날오징어를 선발하였다. 실내 사육시 개체간 공식행동이 강한 유충 사육을 위해 개체 집단사육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또한 용화매트 선발 시험을 한 결과, 흙(자연매트)을 사용할 경우 표면이 쉽게 굳어 물방개유충이 파고들어가기 힘이 들어 용화율이 12~18% 저조하였고 또한 흙 관리 강도가 높았다. 그러나 발효톱밥을 용화매트로 사용할 경우 용화율 80%로 우수하여 물방개류의 용화매트로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Pesticidal Constituents Derived from Piperaceae Fruits

  • Lee, Hoi-Seo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2호
    • /
    • pp.65-74
    • /
    • 2005
  • Fungicidal, insecticidal, and mosquito larvicidal activities of piperidine alkaloids, pipernonaline and piperoctadecalidine, and isobutylamide alkaloids, pellitorine, guineensine, pipercide, and retrofractaminde A, derived from Piperaceae fruits were studied. Pipernonaline and piperoctadecalidine showed potent fungicidal activities against Puccinia recondita with 91 and 80% control values at 500 ppm. Against Phytophthora infestans, pipernonaline showed strong fungicidal activity with 91 and 80% control values at 1,000 and 500 ppm. $LD_{50}$ values of pipernonaline and piperoctadecalidine against Plutella xylostella were 125 and 95.5 ppm, respectively, and that of piperoctadecalidine against Tetranychus urticae was 246 ppm. Against larvae of Aedes aegypti and Culex pipiens pallens, $LD_{50}$ values of pipernonaline were 0.35 and 0.21 ppm, respectively. Highest larvicidal activities of pipercide and retrofractamide A were found against A. aegypti, A. togoi, and C. pipiens pallens. $LD_{50}$ values of pipercide and retrofractamide A were 0.10 and 0.039 ppm against A. aegypti, 0.26 and 0.01 ppm against A. togoi, and 0.004 and 0.028 ppm against C. pipiens pallens, respectively. Based upon these results and earlier findings, bioactive components derived from Piperaceae fruits may be valuable for development of useful lead product of possibly safer fungicidal, insecticidal, and mosquito larvicidal agents.

Larvicidal potency of selected xerophytic plant extracts on Culex pipiens (Diptera: Culicidae)

  • ABUTAHA, Nael;AL-MEKHLAFI, Fahd A.;AL-KERIDIS, Lamya Ahmed;FAROOQ, Muhammad;NASR, Fahd A.;AL-WADAAN, Muhammad
    • Entomological Research
    • /
    • 제48권5호
    • /
    • pp.362-371
    • /
    • 2018
  • Chemical insecticides released into the environment may have adverse biological effect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ecofriendly insecticides for mosquito control. Xerophytic plant extracts that may provide more ecofriendly active component were evaluated against Culex pipiens 4th instars. Plant extracts prepared using different solvents with a Soxhlet apparatus and different concentrations were tested against Culex pipiens larvae. The effects were observed at 24 h and 72 h intervals and $LD_{50}$ and $LD_{90}$ values determined. Chloroform ($CHCl_3$) and ethyl acetate (EtOAc) extracts of Althaea ludwigii were the most effective against Cx. pipiens $4^{th}$ instars, but were highly dependent on extract concentrations and exposure time. Results suggest that A. ludwigii extracts contain bioactive compounds, such as phenols and saponins, that may provide effective Cx. pipienslarval control. However, the extract was found to be toxic to zebrafish larvae, and may be toxic to other aquatic fauna. Further studies to determine the active components and toxicity to other fauna are needed.

Cloning of a Hemolytic Mosquitocidal Delta-endotoxin Gene (cyt) of Bacillus thuringiensis 73E10-2 (serotype 10) into Bacillus subtilis and Characterization of the cyt Gene Product

  • Kim, Kwang-Hyeon;Ohba, Michio;Kim, Byung-W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6권5호
    • /
    • pp.326-330
    • /
    • 1996
  • To illustrate whether a hemolysin in $\delta$-endotoxins of Bacillus thuringiensis strain 73E10-2 and subsp. israelensis had immunological identity, a cyt gene of the strain 73E10-2 which encodes a hemolysin was cloned to B. subtilis (transformant 2753). The transformant 2753 containing cyt gene produced the hemolysin which lysed sheep erythrocytes after treatment of proteinase K. The hemolysin was proved also to be toxic against mosquito larvae (Aedes aegypti). The molecular weight of the hemolysin produced from the transformant 2753 was determined to be about 25 kDa by SDS-PAGE and immunoblot. The hemolysin in $\delta$-endotoxin of subsp. israelensis and subsp. kyushensis did not react on immunoblot using polyclonal anti-$\delta$-endotoxin of the strain 73E10-2, but 70-140 kDa mosquitocidal toxins in $\delta$-endotoxin of subsp. kyushuensis reacted.

  • PDF

한국에 주둔한 미군지역내에서의 모기 성충과 유충 채집(1979~1983) (Collection of Adult and Larval Mosquitoes in U.S. Army Compounds in the Republic of Korea During 1979~1983)

  • 이관우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2권1호
    • /
    • pp.102-108
    • /
    • 1984
  • 본 논문은 1979∼1983년에 걸쳐 한국내에 주둔하고 있는 미군지역에서 5월부터 10월간 유문등(New Jersey)에 의한 모기 성충 채집과 그리고 유충 채집을 실시한 것이다. 성충 채집수는 연평균치로 나타냈으며 유문등당 1일 채집수를 표시하여 미군영내에 출현하는 모기 종과 출현시기 및 그 밀도를 파악하여 모기 구제대책을 강구하는데에 기본자료로 이용하였다. 모기 구제를 위한 살충제의 살포 기준은 자충의 탐집수가 2단 계속 10마리를 초과하거나 매개근로 알려진 자충이 5마리 이상 채집될 때 그 주변에 살포작업을 실시하도록 건의하였다(미륙단규정 TM 5-632 p.7-3참고). 1. 모기 탐집을 실시한 지역은 5개도내의 12개지역으로 39개의 유문등이 설치되었으며 이들 지역에서 채집된 모기종은 3속 17종으로 분류되었으며, 그중 개체군의 밀도가 높아 구제대상으로 생각되는 종은 다음의 3속 4종으로 나타났다. 1) Anopheles sinensis (40.2%, 2) Culex tritaeniorhynchus (31%), 3) Aedes vegans nipponii(19%, 4) Culex pipiens pallens (10%). 2. 유준등 설치지역은 경기도내 5개지역, 강원도 2개지역, 충남 1개지역 경북 3개지역 경남1개 지역으로 이들 지역에서 채집된 중요 모기종은 공통적으로 같은 종류였으며 출현시기도 대체로 일치하였다. 특히 매년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는 뇌염매개종인 Culex tritaeniorhynchus는 출현시기가 7∼9월간이었으며 그중 8월이 나정기로 나타났다. 3. 미군험둔지역에서 체사된 유충서식지는 16개 형태로 구분되었으며 그곳에서 채집된 유충은 4속 15종으로 분류되었다. 확인된 유충서식처는 일반적으로 우기에 존재하는 일시적인 장소가 많았다. 4. 경기도 지역에서 가장 많은 종과 높은 채집률을 보인 것은 유문등설치장소가 주로 논과 접해 있는 농촌지역내에 속해 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 PDF

천적포식어(Aplocheilus and Aphyocypris)와 미생물제제 Bacillus thuringiensis (H-14)의 병합처리에 의한 논에서 서식하는 질병매개모기의 종합적방제 (Integrated Control of Vector Mosquitoes with Native Fishes (Aplocheilus and Aphyocypris) ad Bacillus thuringiensis(H-14) in Natural Rice Fields of Korea)

  • 유효석;김흥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67-174
    • /
    • 1989
  • 1998년 7월부터 10월까지 약 4개월간 질병매개모기 및 뇌염다발지역인 전라남도 영암군 덕진면 소재 약 $30,000M^2$의 자연수답을 선정, 이에 서식하는 질병매개모기인 중국얼룩날개모기(Anopheles sinensis)와 작은빨간집모기(Culex tritaeniorhynchus)를 대상으로 포식천적어송사리(Aplocheilus latipes) 및 왜몰개(Aphyocypris chinensis)방사와 미생물제제(Bacillus thuringensis H-14)를 병합처리하여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포식천적어송사리가 0.6fish/{TEX}$M^{2}${/TEX}가 존재하는 논에서는 7월부터 8월까지 55.0~57.6%의 자연 방제가 이루어졌으며, 한 표본당 평균 10마리 이상으로 증가될 때 미생물제제(B.t. H-14)를 1Kg/ha의 농도로 처리한 결과, 24시간후 100%의 방제를 보였으며, 10월 11일 본 실험이 끝날 때까지 98%의 방제율을 유지하였다. 천적어가 존재하지 않는 논에서는 수면 1{TEX}$M^{2}${/TEX} 당 1.5마리의 비율로 포식어(Aphyocypris)를 방사한 결과 9월 21일(방사후 2주)까지 88.2~96.7%의 만족할 만한 방제율을 유지하였다. 천적어가 존재하지 않는 또 다른 논에서 미생물제제(B.t. H-14)를 1Kg/ha의 농도로 단독 처리한 결과, 24시간 후 100%의 방제율을 보였으나, 7일 후에는 개체군밀도의 회복현상을 나타내었으며 B.t.(H-14) 2차 처리후 모기유충의 개체군밀도를 억제할 수 있었다.

  • PDF

드론 기반 스마트 방재 방안 연구 (Drone-based smart quarantine performance research)

  • 유순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2호
    • /
    • pp.437-44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드론 기반 스마트 방역 연구로서 드론을 방재 분야에 활용을 통한 대응방안과 기대효과를 연구하는 것이다. 현행 방재업무의 문제점에 대한 검토와 이에 따른 대응안을 환경적, 시장적, 기술적 접근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환경적 측면에서 드론 기반 관제를 활용한 방재업무의 활용 효과는 산림, 조류인플루엔자, 가축, 시설지역, 모기 유충, 해충 등 광범위한 활용과 AI 및 콜레라 등 각종 방역업무 단순화 및 효과적 방역체계 제공 할 수 있다. 둘째, 시장적 측면에서 방역방법의 신기술 도입을 통한 국내 표준화 드론을 활용한 소독방역 임무 활용에 따른 축산·가축 방역 관련 법령, 행정규칙의 기준마련, 관련 산업의 동반성장과 신시장 발굴, 가축 질병 방역에 투입되는 연간 예산 절감의 효과를 가져온다. 셋째, 기술적 측면은 (1) 새로운 가축 질병 방역형태인 다중드론 활용 소독 방역의 현장적용, (2) 드론 산업 소프트웨어 분야의 혁신, (3) 다양한 시장에 적용 가능한 드론 관제/제어 통합시스템으로 산업 다변화, (4) 빅데이터 드론 이동로 3차원 공간정보 분석 정밀 드론 교통정보제공으로 안전성 높은 비행 보장, (5) 다수의 드론 동시 자동 임무 비행이 가능하여 저비용 고효율 시스템 보급 실현, (6) 고도의 정밀 비행기술 불필요에 따른 분야별 드론 이용자 증가로 고찰되었다. 본 연구는 문헌 조사와 전문가의 의견을 기반으로 작성되어 향후 연구 분야는 드론 기반 서비스에 대한 실증적 자료를 기반으로 그 효과에 대해 입증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기대효과는 드론을 방재업무에 적극적 활용 지원 또는 이와 관련된 정책을 수립하는데 이바지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