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squito

검색결과 242건 처리시간 0.027초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of equine hindlimb ataxia with Setaria digitata in South Korea

  • Hwang, Hyeshin;Ro, Younghye;Lee, Hyunkyoung;Kim, Jihyeon;Lee, Kyunghyun;Choi, Eun-Jin;Bae, You-Chan;So, ByungJae;Kwon, Dohoon;Kim, Ho;Lee, Inhyung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3권5호
    • /
    • pp.75.1-75.7
    • /
    • 2022
  • Background: Since 2013, the number of requests for diagnosis for horses based on neurological symptoms has increased rapidly in South Korea. The affected horses have commonly exhibited symptoms of acute seasonal hindlimb ataxia. A previous study from 2015-2016 identified Setaria digitata as the causative agent. Objectives: This study is an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to find out risk factors related to the rapid increase in hindlimb ataxia of horses due to aberrant parasites in South Korea. Methods: An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was conducted on 155 cohabiting horses in 41 horse ranches where the disease occurre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as investigated at the disease-causing horse ranches (n = 41) and 20, randomly selected, non-infected ranches. Results: Hindlimb ataxia was confirmed in nine cohabiting horses; this was presumed to be caused by ectopic parasitism. Environments that mosquitoes inhabit, such as paddy fields within 2 km and less than 0.5 km from a river, had the greatest association with disease occurrence. Conclusions: Most horse ranches in South Korea are situated in favorable environments for mosquitoes. Moreover, the number of mosquitoes in the country has increased since 2013 due to climate change. Additional research is required; however, these data show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guidelines for the use of anthelmintic agents based on local factors in South Korea and disinfection of the environment to prevent disease outbreaks.

Antiviral effect of 18-mer-peptide (1b-4/21-C12) on Japanese encephalitis virus and Akabane virus

  • Yang, Dong-Kun;Park, Yu-Ri;Kwon, Young Do;Kim, Ha-Hyun;Hyun, Bang-Hun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62권3호
    • /
    • pp.19.1-19.6
    • /
    • 2022
  • Japanese encephalitis virus (JEV) and Akabane virus (AKAV) are mosquito-borne viruses that cause encephalitis and reproductive disorders in horses and cattle, respectively. There is no treatment for JEV or AKAV infections in animals. Therefore, we evaluated the antiviral activity of 18-mer amphipathic peptides in the 1b-4/21-C series on JEV and AKAV using Vero cells in vitro and evaluated their effects on JEV in mice. Of 6 peptides, 1b-4/21-C12 had the lowest IC50 of 0.313 against JEV and its use as an antiviral against JEV and AKAV was examined. The IC50 of 1b-4/21-C12 against JEV and AKAV was 0.78 and 1.14 µM, respectively. Mice treated with 5 or 2 mg/kg of 1b-4/21-C12 had 32% and 16% survival rates, respectively, and the surviving mice treated with 1b-4/21-C12 began to gain weight beginning 8 days post challenge with the virulent Nakayama strain. Moreover, 20 µM 1b-4/21-C peptide had no cytotoxic effects on Vero cells. Our in vitro and in vivo results indicate that 1b-4/21-C12 has antiviral activity against enveloped JEV and AKAV and might be useful as a therapeutic substance.

Effect of Several Native Moss Plants on Particulate Matter,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Air Composition

  • Gong, Gyeong Yeop;Kang, Ji Su;Jeong, Kyeong Jin;Jeong, Jun Ho;Yun, Jae Gill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31-38
    • /
    • 2019
  •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sses on the removal of particulate matter (PM 10)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in an indoor space and on the composition of air. For particulate matter removal experiments, 0.2 g mosquitto coil was burned in a glass chamber, where three kinds of mosses (Plagiomnium cuspidatum, Myuroclada maximowiczii, Etodon luridus) were placed. For VOCs removal experiments, 1 mL paint thinner was volatilized in a glass chamber, where Plagiomnium cuspidatum and Myuroclada maximowiczii were us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particulate matter was effectively removed by the three mosses, and the removal efficiency of particulate matter increased as the amount of mosses increased. The amount of VOCs was similar to the level in the control when a low amount of mosses (2 and 4 plates) was used. However, the removal efficiency of VOCs was significant when 6 plates of mosses were used. On the other hand, formaldehyde concentration was 40 times more than the control and carbon monoxide 30 times, when 0.2 g of mosquito repellent was completely burned in a glass chamber. Also formaldehyde removal effect was significant when 6 plates of mosses were placed. However, there was no change in the concentration of indoor oxygen, temperature and humidity by moss plants. In conclusion, the moss plants were effective in removing particulate matter and VOCs, and they are expected to be used for indoor decoration and landscape in order to improve indoor air quality in the future.

미국 음향학자 앨프레드 메이어의 음향학 연구 (American Acoustician Alfred M. Mayer's Acoustical Research)

  • 구자현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44-50
    • /
    • 2009
  • 19세기 내내 미국 음향학이 유럽에 뒤쳐져 있었을 때, 미국의 음향학자인 앨프레드 메이어는 미국의 실험 음향학을 유럽의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데 크게 기여했다. 그는 파리에 머물면서 악기 제작자인 쾨니히와의 협동 연구를 통해 실험 기술을 전수 받았고 영국을 방문하여 레일리를 비롯한 앞선 연구자들의 연구 능력을 배우는 기회를 갖기도 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메이어는 온도에 따른 음속 변화를 이용한 음향 고온계의 개발, 선택적 공명에 의한 모기 청각의 발견, 소리의 잔류 감각 지속의 공식화, 소리의 방향을 찾아내는 토포폰의 개발, 음의 진동수를 가시화 하는 장치 등 독창적인 성과를 통해 유럽에서 명성을 얻었다. 그는 유럽의 음향학에 독창적인 연구 성과를 더했을 뿐 아니라 음향학을 물리 교육에도 활용함으로써 차세대 미국 음향학자들의 배출에 기여했다.

도시열섬 현상에 의한 기온차이가 흰줄숲모기(Aedes albopictus) 부화율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Urban Heat Island-induced Temperature Differences on the Hatching Rates of Aedes albopictus)

  • 류지훈;최광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3권1호
    • /
    • pp.77-80
    • /
    • 2024
  • 한국에서 흰줄숲모기(Aedes albopictus)는 일반적으로 매우 흔한 종으로 여기지지만, 해외에서는 주요 질병 매개체로 인식되고 있으며, 도시 환경에 잘 적응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최근 도심 지역의 기후변화와 열섬 현상에 따른 곤충의 대발생이 보고되면서, 이러한 환경 변화가 모기의 부화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시 내 25개의 기상청 자동관측장비(AWS)에서 수집된 기후 데이터를 분석하여, 열섬 현상이 강한 도심 지역과 열섬 현상이 약한 교외 지역을 선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임의의 사이구간을 생성하여 총 9개의 열섬 조건에서 흰줄숲모기의 부화율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열섬 현상이 강할수록 부화율이 증가하였으며, 회귀분석을 통해 열섬 강도가 높아질수록 이러한 추세가 더욱 빨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도시열섬 현상에 따른 기온 변화가 흰줄숲모기의 부화율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2012~2017년 강원지역에서 채집된 모기의 계절적 발생소장과 플라비바이러스 감염률 (Mosquito Prevalence and Flavivirus Infection Rates in Gangwon-do, Republic of Korea)

  • 정세진;고석현;고은미;임은주;김영수;이욱교;이동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8권2호
    • /
    • pp.89-99
    • /
    • 2019
  • 2012~2017년까지 강원도 3개 시 군(춘천시, 강릉시, 횡성군)에서 채집된 모기는 총 6속 13종, 654,362마리가 채집되었다. 채집된 모기는 분류하여 얼룩날개모기속을 제외하고 종별, 채집일, 채집 장소에 따라 최대 50마리를 1개 실험군으로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염기서열 분석방법으로 플라비바이러스 감염여부를 조사하였다. 채집모기 276,224마리에 대해 7,721개 실험군을 검사한 결과 68개 실험군(0.9%)에서 플라비바이러스 유전자가 검출되었다. 검출된 플라비바이러스의 염기서열 분석결과 4개 실험군은 일본뇌염바이러스(Japanese encephalitis virus), 64개 실험군은 차오양바이러스(Chaoyang virus)로 확인되었다. 일본뇌염바이러스는 2012년 춘천시에서 채집된 2,728마리의 빨간집모기 중 1개 실험군, 2013년 횡성군에서 채집된 19마리의 동양집모기 중 1개 실험군, 2017년 춘천시에서 채집된 1,111마리의 빨간집모기 중 1개 실험군, 강릉시에서 채집된 빨간집모기 724마리 중 1개 실험군에서 검출되었다. 검출된 일본뇌염바이러스의 유전형은 모두 V형 바이러스였다. 차오양바이러스는 강원도 내에서 6년간 채집된 금빛숲모기 232,871마리, 5,055개 실험군을 대상으로 검사한 결과 63개 실험군에서 검출되었으며, 춘천지역에서 채집된 빨간집모기 585개 실험군 중 1개 실험군에서 검출되었다. 채집지역별 금빛숲모기의 차오양바이러스 감염률이 가장 높은 지역은 MIR (최소감염률) 0.32, MLE (최대우도법) 0.33 (CI 0.23~0.46) 감염률을 보인 춘천시였다. 그 뒤로 횡성군 MIR 0.30, MLE 0.30 (CI 0.16~0.52)과 강릉시 MIR 0.21, MLE 0.21 (CI 0.13~0.31)순이었다. 월별 금빛숲모기의 차오양바이러스 감염률은 10월에 MIR 0.38, MLE 0.38 (CI 0.07~1.25)로 가장 높은 감염률을 나타내었다.

경북 내륙지역에서의 말레이사상충 역학적 조사 3. 말레이사상충 매개문의 생태학적 조사 (Epidemiological Studies on Malayan Filariasis in an Inland Area in Kyungpook, Korea 3. Ecological Survey of VECtor Mosquitoes of Brugia malayi)

  • 이형일;최동익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4권1호
    • /
    • pp.15-24
    • /
    • 1986
  • 1985년 5월부터 동년 11월까지 6개월간 경북 내륙지역에 출현하는 문종류와 계절적 출현소장을 조사함과 아울러 매개문에서의 감염형 유충의 최근 감염상을 관찰하였다. 조사기간중에 채집된 문의 종류는 4속 9종이었으며, 기중 A. sinensis가 최우점종으로 전채집수의 84.7%를 차지하였다. 조사지역에서 A. sinensis를 처음으로 채집할 수 있는 시기는 5월 초순이었으며 이 기간중 기온은 $14.3~22.8^{\circ}C$, 습도는 53~90%였으며, 그 밀도는 1.0마리였다. 4. sinensis의 최대밀도 시기는 7월 중순에서 8월 초순사이였으며 그기간중 기온은 $21.5~30.6^{\circ}C$, 습도는 72~91%였으며 최대밀도는 316.0마리였다. A. sinensis의 야간 흡혈 활동상을 알아 보기 위해 7월 17~18일과 9월 7~8일 2회에 걸쳐 저녁 17시부터 그 다음날 아침 6시까지 1시간 간격으로 채집하였던 바 활동이 가장 활발한 시간은 7월에는 22시에서 23시사이, 9월에는 20시에서 21시사이였으며 아침 6시 이후에는 한마리도 채집할 수 없었다. A. sinensis 218마리를 부검하였던 바 이 가운데 사상충 유충을 전혀 검출할 수 없었다. 이상의 성적으로 미루어 보아 경북 내륙지역의 분포 모기중 A. sinensis가 우점종이며, 매개문에서 사상충의 감염형 유충은 전혀 검출할 수 없음을 알았다.

  • PDF

흰줄숲모기, Aedes albopictus (Diptera: Culicidae)의 치사농도 및 용화에 대한 구리의 영향 (Effect of Copper on Lethal Dose and Pupation of Aedes albopictus (Diptera: Culicidae))

  • 이수미;윤수진;신병식
    • 환경생물
    • /
    • 제28권2호
    • /
    • pp.64-68
    • /
    • 2010
  • 본 실험은 구리가 흰줄숲모기, Aedes albopictus의 발생에 미치는 생물학적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흰줄숲모기 3령, 4령 유충을 각각 다른 농도의 구리 용액(0.0, 2.5, 25.0, 50.0 ppm)에서 24시간, 48시간 처리한 후 치사농도를 결정하고, 사육용액(tap water)으로 옮겨 사육하여, 유충의 용화율, 성충의 날개길이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50% 치사농도($LC_{50}$)는 4령 유충 24시간 처리군에서 35.65 ppm으로 나타나 다른 처리군에 비해 가장 저항성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Table 1). 유충의 용화율은 고농도 48시간 처리군에서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3령 유충 48시간 처리 군에서 14% (암컷 9%, 수컷 5%)로 가장 낮았다. 또한 우화 후 성충의 날개 길이는 처리 농도가 증가하고 긴 처리 시간이(48시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험 결과들은 흰줄 숲모기의 각 발생단계에 구리를 처리한 결과 처리 농도 및 처리 시간에 따라 치사량, 용화율, 날개길이 등에 많은 변화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중금속이 곤충의 유충발육과 변태에 영향을 끼치며, 이와 수반되는 물질대사에 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여겨진다.

Medetomidine과 Tiletamine/Zolazepam을 병용마취한 개에서 통증자극이 뇌파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ain Stimulation on EEG in Dogs Anesthetized withMedetomidine and Tiletamine/Zolazepam)

  • 최우식;장환수;권영삼;장광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36-141
    • /
    • 2010
  • 개에서 Medetomidine (MED)과 tiletamine/zolazepam (ZT) 병용마취시에 통증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판단되는 외과적 마취기에 적절한 진통효과가 나타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뇌파를 이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임상적으로 건강한 비글견 7두를 이용하여 동일견을 대조군과 통증자극군에 이용하였다, 대조군은 MED $30\;{\mu}g/kg$ 투여 후 15분에 ZT 10 mg/kg을 각각 근육주사하였으며, 통증자극군은 대조군과 동일한 방법으로 약물을 투여한 다음 ZT 투여 후 10분부터 45분까지 5분 간격으로 pedal withdrawal reflex test를 실시하였다. 각각의 기록시간대에서 뇌파의 band power,평균동맥혈압과 심박수를 측정하여 실험군간 비교하였다. 뇌파 기록전극은 International 10-20 system을 이용하여 Cz에, 기준전극과 접지전극은 양쪽 귀에 장착하였다. 뇌파 분석상 저주파 band가 높은 power를 보이고 고주파 band가 낮은 power를 나타냈으나 군간 유의성 있는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다. 평균 동맥혈압과 심박수는 TZ 투여 10분 후 두 군 모두 상승하였으나 군간 유의성은 없었다. 본 실험 결과, 개에서 MED와 ZT 병용마취는 외과적 마취기에 우수한 진통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Aedes aegypti L. 난성숙과정중 생성되는 Mitochondrial Malate Dehydrogenase의 정제 및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itochondrial Malate Dehydrogenase during Ovarian Development in Aedes aegypti L.)

  • 김인규;이강석;정규회;박영민;성기창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81-190
    • /
    • 1995
  • 암컷 Aedes aegypti의 난성숙과장에서 새로 나타나는 malate dehydrogenase(L-malate, $NAD^+$ oxidoreductase, EC 1.11.37, MDH)를 DEAE-Sepharose, Sulphonyl-Sepharose, Cibacron 3FGA affinity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분리정제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분자량은 70,000 dalton정도의 dimer 형태로 되어 있으며 최적 pH는 malate-oxaloacetate반응에서는 pH 9.0~9.2, oxaloacetate-malate 반응에서는 pH 9.8~10.2이었다. 정재된 MDH는 mitochondria에 위치하고 있으며 기질로서 malate에 대한 Km값의 경우 $1.29 \times 10^{-4}$ M, oxaloacetate에 대한 Km 값은 $6.58\times 10^{-4}$M, NAD에 대한 Km값은 $0.76\times 10^{-3}$ M이며 NADH에 대한 Km 값은 $3.8\times 10^{-3}$ M 을 보이고 있으며 각각의 기질에 의한 저해현상을 보이고 있었다. 기질에 대한 Km값을 부분적으로 분리한 DEAE-sepharose에 흡착된 원형질 MDH와 비교한 결과 malate에 대한 Km 이 $8.92\times 10^{-3}$으로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또한 정제된 MDH는 cltrate, $\alpha$-ketoglutarate, ATP 등의 대사산물에 의하여 저해작용을 받았다. ATP 및 citrate에 의한 MDH 활성도 저해는 oxaloacetate-malate반응에서 보다는 malate-oxaloacetate 반응에서 덜 일어났다. Oxaloacetate-malate 반응의 경우 ATP에 의하여저해작용이 완전히 일어났으며 malate-oxaloacetate반응에서는 cltrate에 의하여 저해작용이 일어나지 않았다. 흡혈 후 생성되는 MDH는 난소에서 합성되며 흡혈 수 난소에서 18시간 때부터 활성도가 나타나 48시간 이후 최고 활성도가 유지되는데 TCA회로의 isocitrate dehydrogenase 의 경우 난소내에서의 활성도 변화가 MDH의 변화 양상과 같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