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ru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초

약용 식물을 첨가한 머루주의 이화학적 특성과 발효 품질 평가 (Evaluation of Physicochemical and Fermentation Qualities of Moru Wines Supplemented with Pine Needles or Medicinal Herbs)

  • 이제혁;강태호;엄병헌;손은화;한우철;지설희;장기효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886-894
    • /
    • 2012
  • For the development of Moru wine with enhanced sensory qualities, Moru (Vitis amurensis) wines were fermented with pine needles from Pinus densiflora Siebold et Zuccarini to make Moru-pine wine or medicinal herbs from Astragali Radix and Viscum album to make Moru-herb wine. Moru without pine needles or medicinal herbs was included as a control. Pine needles and Astragali Radix/Viscum album delayed the fermentation of Moru wine, but after 40 days of fermentation and aging, final ethanol contents, pH, acidity, and the sugar/organic acid content in these kinds of Moru wines had no differences. The final ethanol level and acidity of Moru wines were 11.5~12.9% and 1.1~1.2%, respectively, but any sugars (glucose, fructose and sucrose) were not detected in all Moru wines.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Moru wines, which have a high acidity and low sugar contents. Relatively low browness and antocyanins were detected in Moru-herb wine decreasing its chromaticity in a sensory test. Overall, the supplements of Astragali Radix/Viscum album reduced the color of normal Moru wine, which might be applied toward the development of conventional Moru wines.

해당화와 머루를 함께 발효한 해당화 머루주의 발효특성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Moru Wine Fermented with Rose rugoga Thun)

  • 지설희;한우철;이재철;김병완;장기효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86-190
    • /
    • 2009
  • 생약소재를 사용한 약주개발을 위하여 탄소원이 풍부하고 anthocyanin 등의 생리활성 물질이 풍부한 머루와 항산화능이 우수한 해당화를 함께 사용하였다. 해당화와 머루액의 혼합비율을 4가지로 달리하여 제조 후 14일 발효와 다시 14일간 숙성기간을 거쳐서 해당화-머루주를 만들었다. 머루액의 함량이 높은 그룹에서는 빠른 발효속도를 보였으며, 최종적으로 ethanol 함량도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었으며, 특히 anthocyanin 함량이 높았다. 머루주는 anthocyanin 함량과 색도가 지나치게 높을 뿐만 아니라, 높은 산미로 인해 기호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해당화즙의 첨가는 머루주의 anthocyanin 함량, 색도와 산미를 저하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머루주의 기호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을것으로 기대된다. 아미노산 분석결과는 머루주 성분에는 신맛과 쓴맛을 부여하는 아미노산의 비율이 높고, 상대적으로 단맛과 관련된 아미노산은 낮으므로 최종제품을 인위적으로 특정 아미노산을 첨가하는 방법 등이 고려할 만한 방법으로 생각된다.

포도 종류를 달리한 포도 약주의 발효 특성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Grape Yakju made with Three Kinds of Grape)

  • 이지연;곽은정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96-104
    • /
    • 2009
  • Three kinds of grape yakju (Kyoho, Campbell and Moru) and grape-free control were fermented with rice using koji of Aspergillus kawachii as a fermenting agent, and their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For the three yakju, reducing sugar content decreased slowly over 2 days fermentation after an initial rapid decrease. In case of Brix, the reducing sugar content increased gradually after increasing rapidly during the first 2 days of fermentation. The Kyoho and Moru groups displayed a gradual increase in reducing sugar content after an initial 2-day decrease, and the sugar content of the Campbell group increased gradually during fermentation. Uniformly, pH increased gradually after an initial 2-day decrease, however total acid increased continuously throughout fermentation. Alcohol content of yakju showed almost no change after increasing until day 6 (Kyoho) of day 4 (others), with the control displaying the highest content. Control $\alpha$-amylase activity decreased gradually after an initial 2-day increase, while that of the three yakju decreased throughout fermentation. Activities of $\beta$-amylase activities paralleled the results of reducing sugar. Concerning total anthocyanin, the Moru and Campbell groups displayed a rapid increase until day 2, a decrease until day 12, and a gradual increase thereafter. While the Kyoho and control groups displayed virtually no change after an initial 2-day increase until day 12, after which a gradual increase also occurred. In concerning sensory evaluation, Moru yakju scored highest for violetness, flavor of grape, and sweet taste, and also displayed a low alcohol content. These attributed Moru yakju the preferred choice.

  • PDF

한국산 적포도주의 색도 변화에 관한 연구 (II) (Study on the Color Characteristics of Korean Red)

  • 이장은;신용섭;심준기;김성수;고경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64-169
    • /
    • 2002
  • 국내산 포도품종을 이용하여 5가지 포도주 G(거봉100%), M(머루100%), C(캠벨100%), GM(거봉70%+캠벨30%), GC(거봉70%+캠벨30%)를 제조하여, 발효 과정 및 저장 중 포도주의 색도 변화를 분석하였다. 각 포도주의 총 페놀함량은 G는 712.6 mg/L, M은 3,472.9 mg/L, C는 2,209.4 mg/L, GM은 2,019.4 mg/L, GC는 1,184.5 mg/L이었으며, 각품종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01). 총 페놀함량과 L, a, b value간에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은 반면, hue와 intensity는 총 페놀함량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총 페놀함량, hue, intensity는 각 포도 품종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1, p<0.001). Hue는 총 페놀함량과 음의 상관관계$(r^2=0.8660,\;p<0.0001)$를, intensity는 양의 상관관계$(r^2=0.8304,\;p<0.0001)$를 가졌다. 이상의 결과로, 적포도주의 총 페놀함량은 다음과 같은 간단한 방정식에 의해 구할 수 있을 것이다. $$Y_{Total\;phenolic\;content(mg/L)}=3319.3-X_{Hue}/2208.36,$$ $$Y_{Total\;phenolic\;content(mg/L)}=1230.97-X_{intensity}/98.93$$

태양열에너지를 이용한 미소전력 무선 루프 검지기 일체형 발리스 시스템 운영 실험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a Operation of a Balise System which Using Solar Energy includes Micro-power Wireless Loop Detector)

  • 이정준;양도철;김성진;한승희;박광호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150-158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미소전력 무선루프식 차량검지기술을 활용하여 무선루프식 차량검지기를 일체로 한 발리스 연구를 진행하였다. 검지정보를 센터까지 수집하기 위한 방법으로 중계기 및 검지정보 수집장치의 무급전(태양광)운영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현장시험을 진행하고, 철도환경을 대신하여 차량 회전율 특성이 유사하다고 판단된 12개의 주차장 환경에서 시험 및 분석 하였다. 운영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현장수집장치로 수집되는 통과차량(열차, 트램 및 일반차량 등) 대수가 200회/일 내외인 경우 미소전력 무선 루프검지기 일체형 발리스를 활용한 차량검지 시스템의 운영이 무급전 무선통신으로 가능할 것으로 추정된다.

철도 발리스 응용을 위한 DBPL 인코더 설계 연구 (The Study on DBPL Encoder Design for Railway Balise Application)

  • 이정준;양도철;김성진;김봉섭;김유현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61-170
    • /
    • 2017
  • 발리스는 열차의 안전한 운행을 위하여 철도의 레일 사이에 설치하여 운영하는 장치로, 텔레그램이라 칭하는 정보(거리 구배 속도 임시 속도제한 등의 가변정보)를 무선으로 통과하는 열차에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다. 본 연구는 이에 필요한 DBPL 인코더의 설계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리스를 위한 DBPL 인코더는 전용 ASIC이나 FPGA를 통하여 구현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범용의 저전력 마이크로컨트롤러(STM32L4 Series)를 활용하여 설계하였다. 본 연구의 DBPL인코더는 펌웨어 방식의 논리적 1차 처리 수단과 마이크로컨트롤러 내장 SPI Bus 등을 이용한 물리적 출력수단으로 구분하여 설계하였다. 본 연구의 DBPL 인코더는 유로발리스 표준에서 요구하는 564.48Kbps의 속도로 동작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교통신호 평가시스템 HILS에서의 LCS 임베디드 설계 연구 (The Study on LCS Embedded Design of Traffic Signal Evaluation System HILS)

  • 김봉섭;이정준;구승회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1-10
    • /
    • 2019
  • 교통신호 평가시스템 HILS는 교통신호 시스템을 평가하기 위해 만들어진 시스템으로, 실제의 교통신호 환경을 모사하는 시뮬레이터와 교통신호 제어기를 모사하는 LCS를 이용하여, 실제 환경을 모사하는 시뮬레이션을 구동하는 기능을 갖는다. 본 연구는 교통신호 제어기의 기능을 모사하며 센터시스템과 교통시뮬레이터(VISSIM)에 연결되어 동작하는 LCS의 설계에 대한 것이다. LCS의 프로그램 설계는 이식성이 좋은 파이썬 언어를 이용하였으며, 약간의 코드 수정을 통해 PC 환경의 윈도우에서 동작하는 버전과 임베디드 환경의 리눅스에서 동작하는 두 가지 버전으로 설계하여 두 가지 에서의 동작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PC환경의 윈도우에서 LCS 사용시의 한계점을 분석하였으며, 규모가 큰 용량에서 임베디드 환경의 리눅스를 통한 시뮬레이션의 용이함을 확인하였다.

타 과실 혼합에 따른 국내산 캠벨 포도주의 품질개선 (Quality Improvement of Campbell Early Wine by Mixing with Different Fruits)

  • 서명현;육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90-399
    • /
    • 2007
  • 국내산 캠벨포도를 이용한 포도주의 품질을 개선하기위하여 머루, 블루베리, 복분자, 블랙커런트 등을 첨가하여 포도주를 제조하였다. 캠벨포도주의 색상은 이들 과실의 첨가에 의하여 많이 짙어지고 색이 좋아짐을 확인하였다. 복분자와 블랙커런트를 첨가하였을 경우 L값이 34에서 $6{\sim}13$으로 낮아졌으며 Q값도 54에서 $36{\sim}46$으로 낮아져 외국산 포도주의 검붉은 색과 거의 비슷한 색깔을 뗬다. 머루와 블루베리의 첨가 역시 캠벨포도주의 색을 짙게 하였으나 복분자나 블랙커런트보다는 그 효과가 미치지 못하였다. 또한 블랙커런트와 복분자의 첨가에 의하여 캠벨 포도주의 폴리페놀함량은 크게 높아졌는데 15일간의 발효 후 캠벨포도주의 경우 1.02 mg/mL의 폴리페놀을 함유한 반면 캠벨포도에 $15^{\circ}Brix$ 블랙커런트를 20% 첨가한 포도주의 경우 1.87 mg/mL로 폴리페놀함량이 크게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역시 캠벨은 다른 포도 품종에 비하여 가장 낮은 품질특성을 나타냈지만 캠벨에 복분자, 블랙커런트, 머루 등을 첨가함으로써 색, 향, 맛 그리고 기호도 등 모든 면에서 포도주의 품질이 크게 개선이 됨을 확인하였다.

포도품종을 달리한 적포도주의 이화학적 성분변화 (I)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Red Wine with Different Grape Varieties)

  • 이장은;원유동;김성수;고경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51-156
    • /
    • 2002
  • 국내산 포도품종을 이용하여 5가지 포도주 G(거봉 100%), M(머루 100%), C(캠벨 100%), GM(거봉 70%+캠벨 30%), GC(거봉 70%+캠벨 30%)를 제조하여, 발효 과정 및 저장 중 포도주의 이화학성분 및 효모 생균수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발효과정 중 pH의 변화는 $3.21{\sim}3.6$ 사이의 값을 보였으며 총산도는 $3.2{\sim}4.6g/L$, 당도는 $17.9{\sim}6.0^{\circ}brix$를 나타내었다. 효모 생균수의 변화는 초기 $6.0{\times}10^6\;cfu/mL$, 발효가 최고에 이르렀을 때 $1.0{\times}10^8\;cfu/mL$, 발효 후기에 $7.0{\times}10^5\;cfu/mL$를 보였다. 알콜 발효 중 포도당과 과당 함량은 급격히 감소하여 발효가 끝난 후에는 0.2g/L의 함량을 보였다. 발효가 끝난 후 알코올은 $11.4{\sim}12.3%(v/v)$의 함량을 보였으며, 당도는 $6.0{\sim}6.5^{\circ}Brix,\; SO_2$ 함량은 $40{\sim}62\;mg/L$를 가졌다. 발효 중 말로-락틱 발효에 의해 사과산은 감소하였고, 젖산은 증가하여, 각각 G는 23%, M은 67%, C는 28%, GM는 33%, GC는 39%의 전환율을 보였다. pH, 총산도, $SO_2$, 젖산 함량은 각 품종간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p<0.05).

한국산 야생 Morus (뽕나무속) 탐견기 (Wild Morus Survey in Korea)

  • 안학수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권
    • /
    • pp.73-74
    • /
    • 1963
  • 우리나라 Morus(뽕나무속)에 대한 분류학적인 연구는 지금으로부터 약 40 여년전부터 시작되어 현재는 거의 정리되었다고 볼 수 있다. 우선 우리나라에 자생되는 각종에 대하여 개별적인 분류지리학적면을 탐견 약기하여 보기로 한다. Morus alba L. 즉 재배종이며 보편적인 "뽕나무"로 알려져 있는 것이며 수많은 변, 품종들이 여기서 파생되고 있다. 한국산 야생 Morus를 크게 나누어 세가지 계통으로 구분할 수있다. 즉 I. Morus bombycis Koidzumi. 산뽕나무(Yamaguwa). II. Morus mongolica Schneider. 몽고뽕나무(Mongoguwa). III. Morus tiliaefolia Makino. 참털뽕나무(Keguwa).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