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rphometric traits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1초

Changes of Morphometric Traits in the Cultured Cyprinid Loach (Misgurnus anguillicaudatus) to Starvation

  • Hur, Jun Wook;Gil, Hyun Woo;Park, In-Seok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5권4호
    • /
    • pp.264-275
    • /
    • 2018
  •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arious dietary conditions on external morphometric traits, and sectioned morphometric traits in the cultured cyprinid loach, (Misgurnus anguillicaudatus) for 28 days. For the fed group there was an increase in body weight, standard length, and morphometric dimensions of the head and body cavity regions compared with the starved and initial groups. Sectioned morphometric trait analysis revealed that relative to the starved group, the fed group had greater body circumference, cross-sectional area, and total height (P<0.05). Our results provide data on external and sectioned morphometric changes under starvation conditions, and can be used as a guide to assist in the regulation and scheduling of feeding, and as indices of the nutritional status of cyprinid loach.

무지개송어, Oncorhynchus mykiss와 산천어, O. masou간의 잡종 및 잡종 3배체 생산 II. 성비 및 계측형질 특성 (Production of Hybrid and Allotriploid between Rainbow Trout, Oncorhychus mykiss and Cherry Salmon, O masou II. Characteristics of Sex Ratio and Morphometric Traits)

  • 박인석;최경철;김동수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9-54
    • /
    • 1997
  • 무지개송어, 산천어, 무지개송어와 산천어간의 잡종 3배체를 대상으로 성비조사와 형태학적 계측형질을 측정하였다. 무지개송어, 산천어의 암.수 성비는 공히 유사한 비율로 나타난 반면, 잡종과 잡종 3배체에서는 수컷이 암컷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p<0.01). 잡종 3배체는 두고/두장, 등지느러미 기부장/체장 및 가슴지느러미 길이/체장의 계측형질에서는 친어로 사용된 무지개송어와 산천어의 중간을 나타낸 반면 상악장/두장의 계측형질에서는 무지개송어 쪽을 다소 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잡종 3배체에서 3배체화에 따른 사용된 친어들에 대비된 성비 그리고 계측형질에서의 특징을 나타내었다.

  • PDF

Comparative Morphometric Traits of Hybrids between Red Sea Bream (Pagrus major) and Black Sea Bream (Acanthopagrus schlegelii)

  • Park In-Seok;Kim Bong-Seok;Lee Sang-Jun;Hur Jun-Wook;Yoo Jong-Su;Song Young-Chae;Kim Young-Ja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9권1호
    • /
    • pp.44-47
    • /
    • 2006
  • Morphometric characteristics of female red sea bream, Pagrus major (Temminck et Schlegel) and male black sea bream, Acanthopagrus schlegelii (Bleeker) hybrids is described. From the result of our study, the morphometric characters of hybrid may be 7 paternal-like, 2 maternal-like or even out of the range of parental species. The pigmentation of the hybrid is intermediate in some respects and resembles that of the parental species in others. This study of characterization in morphometric traits of the hybrids, red sea bream and black sea bream may be useful for distinguish of each genotype in commercial sea bream aquaculture.

퉁가리과(Amblycipitidae) 어류 계측형질 특징 (Morphometric Characteristics of Torrent Catfish (Amblycipitidae) in Korea)

  • 박인석;설동원;강언종;김치홍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09-215
    • /
    • 2006
  • 한국의 퉁가리과 어류 3종의 형태학적 특성을 classical dimension과 truss dimension을 사용하여 파악하였다. Arc sin square root 전환 후, 18가지의 계측형질을 체장에 대한 비율로, 그리고 3가지의 계측형질은 두장에 대한 비율로 각각 분석하였다. 퉁사리, Liobagrus obesus는 classical dimension과 truss dimension의 4가지 계측 형질이 퉁가리, L. andersoni와 자가사리, L. mediadiposalisa에 비하여 컸다 (P<0.05). 퉁사리와 퉁가리는 truss dimension의 3가지 계측형질이 자가사리보다 컸다 (P<0.05). 조사된 퉁가리과 어류의 6가지 계측형질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dimension들은 한국산 퉁가리과 어류들을 구별할 수 있는 적절한 분류학적 지표로 사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Effects of Starvation in Rock Bream, Oplegnathus fasciatus an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Park, In-Seok;Gil, Hyun Woo;Yoo, Gwang Yeol;Oh, Ji Su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9권2호
    • /
    • pp.97-109
    • /
    • 2015
  • We assessed the effects of various dietary conditions on the growth, phenotypic traits, and morphometric dimensions of rock bream, Oplegnathus fasciatus and on the morphometric dimensions of sectione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Rock bream in the fed group increased in body weight, standard length, and condition factor, but these parameters decreased significantly for fish in the starved group (P < 0.05). The head connection dimensions of fish in the fed group decreased, while for starved fish there was increase in external morphometric dimensions (P < 0.05). In both species, sectioned morphometric analysis revealed that fish in the fed group had a larger body circumference and cross-cut sectional area, and greater cross-cut section height, relative to the starved group (P < 0.05).

각시붕어 Rhodeus uyekii와 떡납줄갱이 R. notatus 간 정교배체, 상반교배체의 계측형질과 세포유전학적 분석 (Morphometric Traits and Cytogenetic Analysis in Induced Cross and Reciprocal Hybrid between Rhodeus uyekii and R. notatus)

  • 김봉석;강언종;장혁;박인석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51-159
    • /
    • 2012
  • 정교배체인 각시붕어, Rhodeus uyekii (♀)${\times}$떡납줄갱이, R. notatus (♂) 잡종, 그리고 상반교배체인 떡납줄갱이 (♀)${\times}$각시붕어(♂) 잡종을 대상으로 혈액도말을 통한 적혈구 크기, flowcytometry를 통한 세포유전학적인 형질 및 truss dimension과 classical dimension에 의한 외부 계측형질에서의 특성을 부모종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각시붕어와 떡납줄갱이의 정교배체 및 상반교배체의 계측형질은 일반적으로 이들 유도시 사용된 모계와 부계 종의 중간을 보였다. 정교배체는 14개의 계측형질이 부계의 형질과 유사하였으며 7개의 계측형질이 모계의 형질과 유사하였다. 상반교배체의 경우, 13개의 계측형질이 부계의 형질을, 5개의 계측형질이 모계의 형질과 유사하였다. 정교배체와 상반교배체의 체색소 분포는 중간을 보이나 양친 종을 닮게 나타났다(P<0.05). 적혈구 크기와 DNA 함량은 정교배체와 상반교배체 모두 모계의 적혈구 크기 및 DNA 함량을 따르는 경향이 나타났다(P<0.05). 본 연구에서 파악된 각시붕어와 떡납줄갱이의 잡종 계측형질 및 세포유전학적인 형질은 납자루아과의 관상어 개발시 종간 구별에 유용할 것이다.

메기(Silurus asotus) 기아 시 외부형태 및 체 절단면 변화 (The effect of starv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morphometric measurement and body-sectioned shape in Far Eastern catfish (Silurus asotus))

  • 박인석;구인본;길현우
    • 환경생물
    • /
    • 제39권1호
    • /
    • pp.55-67
    • /
    • 2021
  • 메기(Silurus asotus)를 대상으로 210일간 기아 시 계측형질 및 체 절단면 형질을 측정하여 그 기아 효과를 조사하였다. 실험 종료시 섭이군의 생존율은 92.2±0.47%였으며, 기아군에서는 74.4±2.59%의 생존율을 보였다. Ls, DALPO/Ls, DADOP/Ls, ED/Ls, CH/Ls, BDAA/Ls, BDMA/Ls 및 BWAA/Ls의 8개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5), 다른 16개 항목 DALAD/Ls, DPDPL/Ls, HPLAA/Ls, HALAV/Ls, HALOP/Ls, DAUPO/Ls, DADAV/Ls, DADAA/Ls, Max BL/Ls, Man BL/Ls, LD/Ls, HWOP/Ls, DAUF/HL, DAUS/HL, IW/HL 및 DAUE/HL에서는 초기군, 섭이군 및 기아군의 세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섭이군은 각 체 절단면에서 기아군보다 더 높은 전체 높이(THX), 더 넓은 너비(WX) 및 더 넓은 면적(AX)을 보였다. 본 연구는 메기의 기아 상태에 대한 외형 및 체 절단면 형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는 메기에 대한 먹이 조절에 대한 방법을 보조하고 영양상태를 나타내는 기본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한 조사 분석 방법을 타 어종에서 적용 시 그 영양 상태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무지개송어, 은연어 및 그 잡종3배체의 체형 비교 (Morphometric Comparison in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Coho Salmon, Oncorhynchus kisutch, and their Allotriploid)

  • 홍경표;김병기;명정구;김종만;허형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87-689
    • /
    • 1997
  • For identification of morphometric characteristics in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coho salmon, O. kisutch, and their allotriploid, twenty one body traits were measured, and the ratios of each trait to fork length, length from postorbital to the origin of caudal fin and head length were calculated. The ratios of fin length to fin height in anal, dorsal and adipose fin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se two species and their allotriploid $(p\leq0.01)$. Allotriploid could be distinguished easily from two parents species in the ratios of length of origin of ventral fin to fork length and anal fin length to anal fin height.

  • PDF

Morphometric variation, genetic diversity and allelic polymorphism of an underutilised species Thaumatococcus daniellii population in Southwestern Nigeria

  • Animasaun, David Adedayo;Afeez, Azeez;Adedibu, Peter Adeolu;Akande, Feyisayo Priscilla;Oyedeji, Stephen;Olorunmaiye, Kehinde Stephen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7권4호
    • /
    • pp.298-308
    • /
    • 2020
  • Genetic diversity among Thaumatococcus daniellii populations in the southwestern region of Nigeria were assessed using morphometric and molecular markers to determine the population structure and existing genetic relationship for its improvement, conservation and sustainable utilisation. Populations from five locations in each of the six states were used for the study. Morphometric data were collected on folia characters and analysed for variability. Genome DNA was isolated from the plant leaf and amplifi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with inter-simple sequence repeat markers (ISSR) to determine the allelic polymorphism, marker effectiveness and genetic relationship of the population.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variations in petiole length and leaf dimensions of the populations within and across the states. These morphometric traits are the major parameters that delimit the populations and they correlated significantly at P≤0.05. Analysis of the electrophoregram showed that the ISSR markers are effective for the diversity study. A total of 136 loci were amplified with an average of 7.16 loci per marker, 63.2% of the loci were polymorphic. The Principal Coordinate Analysis revealed that seven factors accounted for 81.6% of the variation and the dendrogram separated the populations into two major groups at a genetic distance of 10 (about 90% similarity) with sub-groups and clusters. Most populations within the state had a high degree of similarity, nonetheless, strong genetic relationship exists among populations from different states.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populations across the states suggests a common progenitor, which are likely separated by ecological or geographical isolation mechanisms.

참조기(Larimichthys polyactis)와 부세(L. crocea) 간의 외부계측형질 비교 (Comparison of morphometric traits between small yellow croaker (Larimichthys polyactis) and yellow croaker(L. crocea))

  • 박인석;오지수
    • 환경생물
    • /
    • 제38권4호
    • /
    • pp.507-517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외부형태적으로 매우 비슷한 참조기(Larimichthys polyactis) 와 부세(L. crocea)의 두 종 간 구분을 위해 계측형질 분석을 포함한 몇가지 기법들을 수행하였다. 총 48개의 계측형질 중 4개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계측형질이 파악되었으며(p<0.05) classical dimension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계측형질은 없었다(p>0.05). 오히려, 2가지의 truss dimension(Insertion of dorsal fin base origin of pectoral fin base와 Origin of anal fin base - origin of pectoral fin base)와 2가지의 head part dimension (Most anterior extension of the head - above of eye와 Above of eye posterior aspect of operculum)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하지만, 이러한 4가지 계측형질 중 head part dimension의 Above of eye - posterior aspect of operculum의 계측형질을 제외한 나머지 3가지 계측형질들에서 부세가 참조기에 비해 더 큰 수치를 나타내었다(p<0.05). X-ray 분석 결과 curved vertebral column에서 부세는 45.1±2.34°로 참조기의 38.4±1.82°에 비해 8.4% 더 큰 수치를 나타내었다(p<0.05). 머리부위의 표피를 제거한 후의 유상돌기는 두 종에 모두 존재하여 일반적으로 참조기에서만 유상돌기가 존재한다고 알려진 바와는 달리, 유상돌기는 두 종을 구분하기 위한 형질로 볼 수 없었다. 본 연구 결과는 참조기와 부세에서 일부 외부 체형에 의해 명확히 구분 가능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