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rphological variations

검색결과 289건 처리시간 0.034초

쥐 뇌의 고해상도 이미지에서 임계화 기법을 활용한 뇌혈관 네트워크 분석 및 3D 재현 (Analysis and 3D Reconstruction of a Cerebral Vascular Network Using Image Threshold Techniques in High-resolution Images of the Mouse Brain)

  • 이준석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2권9호
    • /
    • pp.992-999
    • /
    • 2019
  • In this paper, I lay the foundation for creating a multiscale atlas that characterizes cerebrovasculature structural changes across the entire brain of a mouse in the Knife-Edge Scanning Microscopy dataset. The geometric reconstruction of the vascular filaments embedded in the volume imaging dataset provides the ability to distinguish cerebral vessels by diameter and other morphological properties across the whole mouse brain. This paper presents a means for studying local variations in the small vascular morphology tha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eripheral nervous system in other cerebral areas, as well as the robust and vulnerable side of the cerebrovasculature system across the large blood vessels. I expect that this foundation will prove invaluable towards data-driven, quantitative investigations into the system-level architectural layout of the cerebrovasculature and surrounding cerebral microstructures.

A New Record of Porcellio scaber (Isopoda: Oniscidea: Porcellionidae) from South Korea, with Notes on Its Variation

  • Song, Ji-Hun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6권4호
    • /
    • pp.309-315
    • /
    • 2020
  • The common rough woodlouse Porcellio scaber Latreille, 1804 is newly reported from South Korea with following diagnostic characteristics: the presence of distinct tubercles on body; the strongly developed lateral lobes of head; the presence of notch on tracheal field of pleopod 1 exopod; and distinctly short exopod of uropod. This species is reported to be cosmopolitan, but there were no taxonomic records of it in South Korea. All voucher specimens were collected from humid shaded areas adjacent to the eastern coast of South Korea. Organismal ecology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photographs are provided. In addition, the results of CO1 analysis of individuals representing the different color and morphological variations are provided.

DNA Barcoding for Diophrys quadrinucleata (Ciliophora: Euplotia) from South Korea

  • Chae, Kyu-Seok;Min, Gi-Sik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8권4호
    • /
    • pp.274-278
    • /
    • 2022
  • One marine ciliate, Diophrys quadrinucleata Zhang et al., 2020 was newly recorded from South Korea in this study. We provided morphological diagnosis and images of the Korean D. quadrinucleata population. We determined the small subunit ribosomal DNA (SSU rDNA) and cytochrome oxidase subunit I (CO1) sequence data of D. quadrinucleata, and then the sequences were compared with other Diophrys species. Intra-specific variation between the Korean and type (Chinese) populations was identical in the SSU rDNA, while the inter-specific variations between seven Diophrys species were 0.3-3.8% in the SSU rDNA and 12.6-18.2% in the CO1. In this study, we obtained 18S and CO1 data from species with identified morphology. As the importance of securing 18S and CO1 based on morphology increases in current studies,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ciliate studies.

Morphological Variations of Male Genitalia in Northeast Asian Wood-eating Cockroaches, Cryptocercus spp. (Insecta: Blattodea)

  • Park, Yung-Chul;Kim, Joo-Pil;Choe, Jae-Chun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2권1호
    • /
    • pp.23-27
    • /
    • 2006
  • Subsocial woodroaches of Cryptocercus occur in high mountainous forests in temperate regions and they live in a family in complicated galleries of rotten logs. A prominent feature of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Cryptocercus is the wide disjunction between the eastern and western species in North America, and between West China and Northeast Asia. Recently, five species of the genus were added from Asian areas and two of them are distributed in Northeast Asian areas. We examined morpho-anatomical structures of male genitalia in Manchurian and Korean Cryptocercus, focusing on male genital hooks and subgenital plates.

한국산 줄바꽃 종집단의 분류학적 연구 (Systematic Study on the Aconitum alboviolaceum Complex (Ranunculaceae) in Korea)

  • 이수랑;박종욱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77-50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Aconitum alboviolaceum Kom. complex에 속하는 6종 중 한국산 4종(A. alboviolaceum, A. longecassidatum, A. pseudolaeve, A. quelpaertense)을 대상으로 형 태 및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s Analysis)과 엽록체 DNA psbA-trnH IGS, trnL intron 및 tmL-trnF IGS 구간의 분석을 통해 각 분류군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그 한계 및 분류학적 위치를 명확히 설정하고자 하였다. 형태분석 결과, 기존에 보고되었던 주요 식별형질에서 형태변이가 종 및 개체군 수준에서 복잡한 형태로 나타났으며 주성분분석 결과 각 분류군들은 종 및 개체군 수준에서 유집 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혼합된 양상을 보였다. 염기서열 분석 결과, l0개의 염기치환과 3개의 indel이 관찰되었고, 이를 통해 얻어진 neighbor-joining tree에서 나타난 4개의 그룹은 종 및 개체군을 반영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omplex 내 분류군들에 관한 기존의 형태형질에 근거한 분류체계를 지지하지 않으며, 이들 분류군 간의 분류체계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다고 본다.

미역취 및 근연분류군(국화과)의 분류학적 재검토 (A taxonomical review of Solidago japonica and its relatives (Asteraceae))

  • 장창석;양선규;오병운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40-49
    • /
    • 2012
  • 동북아산 미역취 복합체(S. virgaurea complex)에는 미역취(S. virgaurea subsp. asiatica), 잔미역취(S. virgaurea var. taquetii), 나래미역취(S. virgaurea var. coreana), 산미역취(S. virgaurea subsp. leiocarpa), 울릉미역취(S. virgaurea subsp. gigantea) 등 5가지의 종하분류군이 보고되고 있으나, 분류군의 실체 및 한계가 명확히 구분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원기재문과 기준표본을 바탕으로 국내의 9개 자생지 집단을 조사하여 미역취의 외부형태학적 형질을 재검토하였고, 동북아산 미역취 복합체의 실체 확인 및 분류학적 처리를 수행하였다. 또한 문헌 및 표본 관찰을 통해 동아시아산 미역취속의 분포역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미역취는 유럽산 미역취(S. virgaurea L.)와 명확히 구분되는 독립된 종(S. japonica Kitam.)으로 인정되었으며, 울릉도를 제외한 한반도 전역과 일본에만 한정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잔미역취와 나래미역취의 검색형질들은 미역취의 해당 형질 변이 폭 내에 포함되므로 모두 미역취의 이명으로 처리하였으며, 산미역취는 국내에 분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울릉미역취는 충분한 실험재료가 확보되지 않았기 때문에 분류학적 처리를 보류하였으며, 두메미역취가 한반도 북부에 자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재래종 쌀보리의 형태적 특성 및 RAPD에 의한 유연 관계 분석 (Evaluation o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RAPD Analysis in Korean Landraces of Naked Barley)

  • 조원경;이정민;권무식;정태영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29권4호
    • /
    • pp.217-222
    • /
    • 2002
  • 재래종 쌀보리 들은 추파형이며 내한성이 약하고 장간이면서 밀수, 장망으로 출수가 늦은 품종이 많았다. 그러나 파성, 내한성, 출수기, 간장, 수장의 변이가 컸으며, 내한성이 강한 품종, uzu 유전자, 찰성, 자색종피 등 다양한 유용 돌연변이를 보였다. 재래종들의 유연관계를 형태적 특성과 RAPD분석 결과, 112품종 모두 다른 품종으로 밝혀졌으며, 재래종 쌀보리와 겉보리의 유전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 일양성이 인정되어 쌀보리 품종들이 겉보리 재래종으로부터 돌연변이 되었던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덩굴딸기(Rubus oldhami)의 종내변이 (Intraspecific Variations of Rubus oldhami)

  • 김미나;장수길;유기억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60-269
    • /
    • 2005
  • 덩굴딸기의 종내 변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꽃의 형질에 의해 유형화 한 3가지 유형에 대하여 외부형태학적 형질 분석, 주성분분석. 화분학적형질 분석, RAPD 및 PCR-RFLP분석을 실시하였다. 외부형태에서는 꽃잎과 꽃받침의 크기. 정소엽과 소엽의 크기 등이 3개의 유형을 구별하는데 유용한 형질이었지만 줄기, 화경의 길이, 잎의 거치형태, 엽축의 길이, 잎에 털의 분포양상 등은 변이가 없었다. 14가지의 외부형태형질을 이용한 주성분분석에서 3가지 변이형태는 유형별로 구별이 가능하였다. 화분학적 형질에서는 화분입상, 발아구의 수, 표면무늬 등에 있어 매우 유사한 형태로 나타나 구별이 불가능하였다. RAPD분석에서는 20개의 primer 중 8개가 분류군 전체에서 반응을 보였고 이로부터 총 33개($60\%$)의 다형화 밴드를 얻었으며, 유집분석 결과 type 2는 독립적으로 소그룹을 형성하였지만 다른 두 가지 변이형의 개체들은 서로 중복되어 유집되어 나타났다. PCR-RFLP분석은 엽록체 DNA 중 증폭된 일부 구간을 얻을 수 있었지만 제한효소 처리 결과에서는 다형화 밴드를 전혀 찾을 수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덩굴딸기의 종내변이 형태는 외부형태형질에 따라 유형별 구분이 가능하였지만 화분학적 형질이나 DNA수준에서는 전혀 뒷받침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type 1과 2는 정상개체와는 꽃의 형질에 차이가 있으나 동일한 자생지에 함께 분포하므로 자연잡종에 의한 일시적인 변이형이거나 생태종으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화기형태에 의한 국내 자생쑥의 유연관계 분석 (Phylogenetic Analysis of Artemisia spp. by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Reproductive Organs in Korea)

  • 성정숙;이정훈;이제완;방경환;여준환;박춘근;박호기;성낙술;문성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18-224
    • /
    • 2008
  • 국내자생 쑥속의 식물을 약용작물 및 산업화에 활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수집된 쑥속 식물들은 사철쑥 (A. capillaris)을 포함한 20종 1아종 2변종 24분류군으로 분류 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25개의 화기형질을 이용하여 주성분 분석과 군집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성분 분석결과 제1주성분은 전체 분산의 44.73%, 제2주성분은 16.86%, 제 3주성분은 8.88%, 제4주성분은 7.07%의 기여율을 보였으며, 상위 제4주성분까지의 누적 기여율이 77.56%였다. 군집분석 결과, 자방의 퇴화, 아관목, 두화의 크기 등의 주요형질에 의해 크게 3개의 군으로 구분되어졌으며, 화기구조의 식별형질로는 기발표된 Dracunculus, Abrotanum, Absinthium 3절과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았으나 국내 자생쑥의 분류형질로 활용이 가능하였다.

UAE 내 철도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사막 사구의 지형학적 특성 연구 (Geo-Morphological Study of Sand Dune for Railway Project in UAE)

  • 문준식;김재영;이승복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8권9호
    • /
    • pp.17-22
    • /
    • 2012
  • 초대형 사구지역 내 철도공사를 위한 대단위 토공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공사 중 및 공사 후 모래바람에 의한 철도선로의 침식 등으로 인해 철도운행에 큰 지장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모래바람에 의한 철도노선 내 모래퇴적 방지공의 계획수립이 매우 중요하다. 효과적인 모래퇴적 방지공을 위해서는 적절한 토공설계뿐만 아니라 펜스 시스템과 같은 직접적 모래바람 억제방법 등에 대한 통합적이고 신중한 고려가 필요하다. 하지만, 현재까지 사용된 여러 방법들을 조사해 본 바에 의하면 모래사막 내 철도건설 시 가장 일반적이고 효과적인 모래퇴적 방지공은 없으며, 모래사막의 사구의 지형학적 연구를 토대로 철도선로 및 모래바람으로부터의 철도선로 보호 구조물 등에 대한 철저한 유지보수 계획의 수립이 더 효과적이고 경제적일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UAE에서 수행되는 프로젝트 지역 내 사구지역의 대단위 및 특정지역 지형에 대한 조사, 분석을 수행하고, 문헌고찰, 항공사진, 위성사진, 현장조사 등을 통해 프로젝트 지역 내 사구의 이동경로, 이동속도를 추정하여 모래바람에 의한 철도선로 침식방지 구조물의 설계 및 유지 보수 계획 수립에 기여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