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rphological variation

검색결과 575건 처리시간 0.041초

백선의 형태적 특성, 항균 효과 및 분자 세포학적 분석 (Analyses o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tibiotic Effect, and Molecular Cytogenetics in Baegseon (Dictamnus dasycarpus Turcz))

  • 정대수;조창우;김경미;허지은;김수영;정영수;김도훈;방재욱;최정;이재헌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7호
    • /
    • pp.1195-1198
    • /
    • 2006
  • The importance of wild plant resources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high biotecyhnology is highlighted for exploitation of new materials which can make the added value. The goal of this study is providing fundamental data bases for developing new materials through the analyses o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tibiotics and molecular cytogenetics in Baegseon (Dictamnus dasycarpus Turcz.). Baegseon has several characteristics; there are two types of flower color, pink and white, the seed germination starts about February 20th, the maximum flowering season is around May 17th in southern Korea, the growth period is about 60 days. The number of chromosomes are 2n=2x=36, the size of chromosomes in metaphase is $4.2{\sim}8.1{\mu}m$. The amount of 2C nuclear DNA is 1.93pg, and there is no variation of genome size amoung varieties. The extraction juice of baegseon young roots has the excellent antibiotic activity against the mold (Botrytis cinerea).

A new species of Bangiopsis: B. franklynottii sp. nov. (Stylonematophyceae, Rhodophyta) from Australia and India and comments on the genus

  • West, John A.;de Goer, Susan Loiseaux;Zuccarello, Giuseppe C.
    • ALGAE
    • /
    • 제29권2호
    • /
    • pp.101-109
    • /
    • 2014
  • Small red algae, especially those previously referred to as 'primitive' are often overlooked, but can be quite abundant. These 'primitive' red algae are now placed in several classes distinct from the Florideophyceae, for example the Stylonematophyceae. A brownish-red filamentous alga was collected from a sandy tide pool at Cape Tribulation, Queensland, Australia. Cultured specimens were identified as Bangiopsis and conformed to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of the genus (multicellular base, erect filaments branched or unbranched, uniseriate to multiseriate-tubular, single multilobed purple-red to red-brown plastid with central pyrenoid, vegetative cells released directly as spores). Molecular data of two plastid genes (rbcL, psbA) support placement of the Australian isolate and isolates from India in Bangiopsis. The genetic variation between these isolates and isolates from Puerto Rico previously attributed to B. subsimplex indicates that these should be considered as a separate species. As the type locality is in the Atlantic Ocean, French Guiana, and not far from Puerto Rico, and the Puerto Rican isolate has been used often in phylogenetic analyses, we propose that the Indian and Pacific Ocean isolates be designated a new species, B. franklynottii, to acknowledge Ott's many years of research on inconspicuous freshwater and marine red algae. Our research also highlights the lack of careful descriptions in many of the records of this genus and the lack of morphological characters to distinguish species. Especially within the morphologically simple red algae, morphological distinctness does not necessarily reflect evolutionary divergences.

한국특산 태백기린초(돌나물과)의 교잡 기원에 대한 검증 (A test of the hybrid origin of Korean endemic Sedum latiovalifolium (Crassulaceae))

  • 유영기;박기룡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78-391
    • /
    • 2016
  • 돌나물과 한국특산종 태백기린초의 교잡 기원에 대한 가설을 검증하고, 연관 종들의 형태적, 유전적 변이를 알아보기 위해 40개 집단으로부터 18개의 형태형질과 35개 집단에 10개 동위효소 좌위를 분석하였다. 동위효소 연구결과 가는기린초, 기린초 그리고 속리기린초에 높은 빈도로 나타났던 $MDH-2^a$, $PGI-1^a$는 태백기린초 집단에서는 전혀 나타나지 않았으며, 태백기린초의 모든 집단에서 높은 빈도로 나타나는 $MDH-2^c$는 다른 가는기린초아속 식물에서는 낮은 빈도로 나타나고 있어 태백기린초가 기린초와 가는기린초의 잡종화를 통해 기원되었다는 기존의 가설을 지지할 수 없다. 그러나 금대봉 일대의 일부 집단의 개체들은 태백기린초와 기린초 혹은 기린초와 가는기린초 사이에서 형질이입에 의해 만들어진 교잡 개체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CR 영상에서 기저선 보정을 위한 1차원 모폴로지컬 필터의 이용에 관한 연구 (Baseline Correction in Computed Radiography Images with 1D Morphological Filter)

  • 김용권;류연철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5권5호
    • /
    • pp.397-405
    • /
    • 2022
  • Computed radiography (CR) systems, which convert an analog signal recorded on a cassette into a digital image, combine the characteristics of analog and digital imaging systems. Compared to digital radiography (DR) systems, CR systems have presented difficulties in evaluating system performance because of their lower detective quantum efficiency, their lower signal-to-noise ratio (SNR), and lower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MTF). During the step of energy-storing and reading out, a baseline offset occurs in the edge area and makes low-frequency overestimation. The low-frequency offset component in the line spread function (LSF) critically affects the MTF and other image-analysis or qualification processes. In this study, we developed the method of baseline correction using mathematical morphology to determine the LSF and MTF of CR systems accurately. We presented a baseline correction that used a morphological filter to effectively remove the low-frequency offset from the LSF. We also tried an MTF evaluation of the CR system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the baseline correction. The MTF with a 3-pixel structuring element (SE) fluctuated since it overestimated the low-frequency component. This overestimation led the algorithm to over-compensate in the low-frequency region so that high-frequency components appeared relatively strong. The MTFs with between 11- and 15-pixel SEs showed little variation. Compared to spatial or frequency filtering that eliminated baseline effects in the edge spread function, our algorithm performed better at precisely locating the edge position and the averaged LSF was narrower.

The first record of Ulva adhaerens(Ulvaceae, Chlorophyta) from Jeju Island, Korea

  • Hyung Woo, Lee;Eun Hee, Bae;Myung Sook, Kim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11권4호
    • /
    • pp.266-277
    • /
    • 2022
  • The current surveys of Ulva in the subtidal area around Jeju Island give a chance to discover unrecorded green algal species of the Korean macroalgal flora. As a result of this investigation, we found Ulva adhaerens Matusmoto & Shimada, inhabiting the subtidal regions, up to 15 m deep, and conducted the DNA barcoding on plastid rbcL-3P and tufA regions with describing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ur specimens of U. adhaerens forms a monophyletic clade with the Japanese type specimen and U. piritoka Ngāti Kuri, Heesch & W.A. Nelson from New Zealand exhibiting each 0.3% sequence divergences, respectively, in the plastid rbcL-3P. The genetic variation of U. adhaerens clade is 1.0-3.9% in rbcL-3P and 4.8-9.8% in tufA to each Ulva species, including the generic type, U. lactuca Linneaus. The morphology of Korean U. adhaerens specimens is identical to the type specimens of U. adhaerens from Japan having the development of rhizoidal filaments from both of the cell layers of the distromatic blade and the extension of rhizoidal clumps with adhesive trait between blades by extended rhizoidal clumps at the basal blades. The thallus attachment to substrate is by numerous minute discoidal plates made up of rhizoids originating from the inner part of distromatic blades in basal. Although there are still some problems to resolve the relationship between U. adhaerens and U. piritoka in the rbcL dataset and the phylogenetic pattern of the Group II intron of rbcL, we propose the new record of U. adhaerens in Korean macroalgal flora based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specimens. Continued study of the genus Ulva by morphological and molecular assessment will delimit the species of Ulva, elucid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m, and uncover the species diversity.

분자표지를 이용한 마(Dioscorea spp.)의 다양성 분석 (Genetic Diversity among Dioscorea, spp. Using Molecular Markers)

  • 장광진;최익영;박주현;박종인;윤병성;김남수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4권1호
    • /
    • pp.45-54
    • /
    • 2002
  • 마(Dioscorea spp.) 계통 중 품질이 우수하고 이용 가치가 기대되는 51개 계통에 대한 특성을 조사하고 도입재배 가능성을 시험했다. 또한 종간, 계통 간을 AFLP 분석하였고 생육 패턴을 시험하였다. 1. AFLP분석의 분자마커를 이용한 도입마의 유사성 분석에서 62% 수준에서 도입마는 다른 종간에 유의성이 나타났고 주성분 분석에서도 구분이 가능하였다. 그 중 D. alata는 일부 수집 지역별로 그룹이 형성되었다. 2. 일본의 쿠마모도(Kumamoto)지방에서 수집된 D. alata의 계통들의 유사성이 높은 것으로 보아, 그 지역의 마 유전자원의 이동이 적은 것으로 보인다. 반면, Indonesia, palau Is., 파푸아뉴기니아에서의 수집종들의 유연성이 높은 것은 한 지역의 계통이 여러지역으로 이동된 것으로 사료되다. 3. D. nipponica에 속하는 부채마는 다른 종과 변이가 많은 것으로 조사되어 유전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인정된다.

Morphological characters, Total phenolic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s of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Genetic Resources

  • Awraris Derbie Assefa;Young Jee Kim;Ae-Jin Hwang;Bich-Saem Kim;Jae-Eun Lee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94-94
    • /
    • 2020
  • Safflower, a draught and salt tolerant oil seed crop of Compositae family, has been cultivated around the world mainly as source of edible oils and dyes, where India, the USA, Mexico, Australia, and Ethiopia contributing about 85% of the production altogether. In this study we have characterized some selected morphological properties of safflower plant and determined the the total phenolic content (TPC)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seeds of 237 genetic resources. All the seed coats were white colored while the petals had red, yellow and white pigments. The yellow was the predominant petal color being recorded in 182 accessions followed by red occurring in 49 accessions. The petal color of 47 of the accessions changed with development while the 190 accession showed no change of color. The leaves are ovate to obovate, mostly with dentate (21 moderate and 205 weak) and few smooth (11) margins. The plant length, leaf length, and leaf width were ranged between 65.7 and 160.8 cm, 14.3 and 37.0 cm, and 3.3 and 12.1 cm, respectively. The TPC was determined using Folin-Ciocalteu method and fatty acid compositions were evaluated using gas chromatography. The TPC content ranged from 23.71 to 132.72 µgGAE/mg dried extract (DE). The seeds of safflower genetic resources accounted an average crude fat content of 26.25% (14.84 to 41.70%). The total fatty acid is mainly comprised of 71.72% linoleic acid (18:2) and 20.08% oleic acid (18:1) on average, the remaining palmitic acid (16:0), stearic acid (18:0) and linolenic acid (18:3) contributing 5.84, 2.23 and 0.15 %, respectively.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safflower seeds has shown great variability, where oleic and linoleic acid have a wide range of variation, from 9.23 to 83.35% and from 10.46 to 82.62%, respectively

  • PDF

한국산 참나무속 참나무아속(너도밤나무과)의 수리분류학적 분석 (Numerical analysis of Quercus L. subgenus Quercus (Fagaceae) in Korea)

  • 박진희;정명기;선병윤;김기중;박재홍;박종욱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57-80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 참나무속 참나무아속(Quercus subgen. Quercus) 6종 및 종간 잡종으로 추정되는 개체들을 대상으로 잎, 동아, 소지, 견과, 각두 및 포린의 형태 및 크기에 관한 40개의 형질들을 측정, 수리분류학적 분석(주성분분석)을 수행하여 주요 형태 형질의 변이 양상을 파악하고, 한국산 참나무아속 분류군들의 실체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본 아속 한국산 개체들은 크게, 1) Q. acutissima-Q. variabilis, 2) Q. dentata, 3) Q. aliena, 4) Q. mongolica, 그리고 5) Q. serrata 개체들로 구성된 5개의 집단으로 구분되었고, 종간 잡종으로 추정되는 개체들은 대부분 추정 부모종의 중간적 특징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주성분분석에서 하나의 집단을 형성하면서 약하게 구분되는 Q. acutissima와 Q. variabilis는 잎 하면 털의 종류 및 분포 양상에 의해 뚜렷이 식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부형태 형질의 경우, 잎의 형태, 엽신의 길이와 폭, 거치의 크기와 형태, 소지의 직경, 견과의 길이와 폭의 비, 포린의 길이와 폭 등이 참나무아속 한국산 분류군들을 구분하고 잡종 형성을 이해하는데 매우 유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울릉도 말오줌나무와 근연종의 재검토 (A reappraisal of Sambucus pendula Nakai on Ulleung Island and its allies)

  • 임효인;장계선;이흥수;장진성;김휘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81-192
    • /
    • 2009
  • 울릉도에 분포하는 말오줌나무는 화서가 크고 아래로 처지며 열매가 다른 분류군에 비해 작은 특징때문에 한반도 고유종으로 간주되었다. 본 연구는 근연종인, 지렁쿠나무, 덧나무, 딱총나무를 포함한 총 256개 개체에 대해 주성분분석(PCA)을 통해 각 분류군간 형태적 특징을 비교하였는데, 형태 분석 결과 말오줌나무는 지렁쿠나무와 덧나무에 비해 화서의 크기가 크고 총화경이 길어 뚜렷한 차이가 있었다. 이런 화서의 특징 이외에 말오줌나무의 암술머리 색깔은 덧나무와 지렁쿠나무의 혼합형이며, 동위효소와 염색체 수의 경우에는 덧나무에 더 가까웠다. 반면 말오줌나무는 한반도 내의 다른 개체들과 형태적으로 불연속을 보이는데, 이는 한반도 내 분류군들 간에는 지속적인 유전적 교류가 있었던 반면, 울릉도의 말오줌나무는 신생대 4기 이후 섬 지역에 고립되어 형태적으로는 비교적 고착화된 것으로 판단된다. 전 세계 딱총나무속의 연구에 의하면 종간 잡종 현상이 활발히 보고되는데, 현재 본 연구에서 분석된 지렁쿠나무와 덧나무의 형질의 혼합 혹은 중간 형태는 잡종에 의한 결과인지, 혹은 형질의 연속변이로 인한 결과인지는 불확실하다. 유라시아와 북미 대륙에 넓게 분포하는 Sambucus racemosa L.는 지역적으로 일부 분류군들이 분화하여 기존에 아종으로 처리되고, 동북아시아에서는 지렁쿠나무와 덧나무의 실체가 확인되지만 여전히 각 분류군간에 형태적으로 중첩이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말오줌나무를 S. racemosa의 아종, 즉 S. racemosa subsp. pendula로 처리하였다.

도입 마(Dioscorea alata L.)의 특성 분석 (Characteristics of Dioscorea alata L. Introduced from Tropical and Subtropical Regions)

  • 장광진;유기억;박철호;박종인;홍규현;박주현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3권1호
    • /
    • pp.48-69
    • /
    • 2001
  • 1997년 부터 한국농업전문학교에서 수집하여 재배되고 있는 마 (Dioscorea alata L.) 계통 중 품질이 우수하고 이용 가치가 기대되는 33개 계통에 대한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형태적 차이를 보이는 19개 계통에 대한 RAPD분석을 실시하였다. 1. 주당 괴경의 전체 무게는 최대 2,147g (No.36), 최소 90g (No.20)으로 평균 610g이었다. 주당 평균 괴경수는 2.8개였으며 최대 4.7개, 최소 1.3개였다. 괴경중은 평균 363g이었으며 최대 1200g, 최소 70g이었다. 2. 괴경의 육질은 백색, 담황색 및 적자색 3가지 패턴을 보였으며, 잎은 녹색, 진녹색 및 담녹색으로 분류되었다. 3. RAPD 분석에 사용된 총 113개 primers 중 12개 primer 만이 모든 분류군에서 증폭되었다. 이를 통하여 93개의 밴드를 얻었으며 69개 밴드는(71.0%) polymorphic 하게 나타났다. 4. 유집분석 결과 19개 계통은 유사도 지수 값 0.66~0.90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크게 2개의 그룹, 즉 인도네시아와 가고시마에서 도입된 8개의 계통이 포함된 그룹과, 유사도지수 0.70~0.90의 범위를 갖는 Nauru, Palau Is., Okinawa와 Papua New Guinea에서 도입된 11 계통이 포함된 그룹으로 대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