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ral principle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29초

민간경비원 신임교육과목 필요성 및 활용성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the Necessity and Recognizing Usability of Recruit Education Curriculum for Security Personnel)

  • 방환복
    • 시큐리티연구
    • /
    • 제17호
    • /
    • pp.195-220
    • /
    • 2008
  • 현대사회는 급격한 경제사회의 변화와 향락적 풍조, 가치관의 혼란 등 정신적 변화와 도덕성이 결여된 과학기술의 발달로 각종 사회병리현상과 우리생활의 안전을 위협하는 범죄는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또한, 공공경찰이 치안서비스를 효과적으로 공급하는데 있어서 한계에 직면하고 있는 상태에서 수익자 부담 원칙에 의한 민간경비제도를 도입하여 개인 및 집단의 안전과 보호를 위해 노력해왔으며, 각종 국제행사를 치르면서 민간경비산업은 첨단장비 및 기술을 활용한 복합적인 형태로 발전하였다. 그러나 우리나라 민간경비산업은 사회의 팽창과 더불어 국가의 공공분야 서비스 영역이 점차 확대됨에 따라 민간경비의 영역도 빠르게 확대되어가고 있으나 질적 향상은 이를 따르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며, 질적 향상의 근간이라고 할 수 있는 민간경비의 신임 교육에 대한 연구는 공공의 치안을 담당하고 있는 경찰, 군인 등의 교육연구에 비하여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민간경비원 중 비중이 가장 높은 기계경비와 시설경비 종사자의 신임 교육을 중심으로 업무현장에서 필요한 교과목과 필요성이 떨어지는 교과목 및 조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각 교과목의 활용성 차이를 분석하여 민간경비원의 신임 교육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 PDF

" 격치고(格致藁) . 유략(儒略)"에 관한 고찰(考察) (A Study on ${\ulcorner}$ Gyukchigo(格致藁) . Yuryak(儒略)${\lrcorner}$)

  • 이준희;이수경;이의주;고병희;송일병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14
    • /
    • 2005
  • 1. Objectives This study is purposed to find Lee Je-Ma's thoughts and intention proposed in the ${\ulcorner}$Gyukchigo격치고(格致藁) . 유략(儒略)${\lrcorner}$2. Methods It was researched through comparative and overall study on ${\ulcorner}$Gyukchigo격치고(格致藁) . 유략(儒略)${\lrcorner}$ 3. Results and Conclusions (1) On the assumption of Affairs. Mind. Body' Objects 사심신물(事心身物 ) as the principle of existence and correlation, there are basic dualistic structure such as 'Il(一)' (individual level) and 'Man만(萬)' (universal level) for explanation of ${\ulcorner}$Gyukchigo격치고(格致藁) . 유략(儒略)${\lrcorner}$ (2) Human who easily have individual inclination of mind(private . dissoluteness' idleness' desire) and wickedness (stinginess. extravagance' idleness' fraud) are the being making invidual ethics of behavior by earnestness' intelligence. capability . diligence성혜능동(誠慧能動) and universal ethics by Wisdom' Propriety. Justice. Humanity 지례의인(智禮義仁) through devotion' right . practice' concentration of mind' heart . body . power. (3) Human in the world having individual immanent psychological four element의려담지(意慮擔志) and universal exptessinal 외 four element청시언모(聽視言貌) are under a bias toward wickedness because of inclination of mind. So extending of individual ethics of behavior and completion of universal ethics are essential and indispensable (4) The final aim of human being in the universe is bringing universal ethics of behavior(Wisdom . Propriety' Justice. Humanity청시언모(智禮義仁) to perfection. (5) Devotion right practice concentration성정수일(誠正修一) of mind heart body power의심신력(意心身力) are developmental notions of earn emestness intelligence capability diligence성혜능동(誠慧能動), essential individual for living in the world, and preceding element for moral edification, social behavior and administration of the state.

  • PDF

A Study on the Legal Consciousness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rough Information Analysis

  • Park, Jong-Ryeol;Jeon, Myung-Gil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111-118
    • /
    • 2017
  • The Legal Consciousness is a feeling or attitude toward the law from the people. Most Korean had a traditional consciousness that did not consider the law so friendly, also, the perception of law is also very negative is the common result of various investigations so far. This is caused by a distrust of the political power that operates the law than just distrust of law. Moreover, it is a serious problem that these negative attitudes are getting stronger over time. Especially when looking at the situation of the monopoly of government affairs in Park Geun-hye administration, the law was not a means of realizing social justice on the side of the socially weak, it has come to the fact that the law has been recognized as a tool of oppression by the ruling group, which seizes power in a fraudulent manner and accumulates economic wealth. It was a really ridiculous incident. In addition, not all citizens need to be experts in law, but the law is a bowl for society, and filling the bowl is a moral form or value of society in general. And since society has a peculiar law, and the modern state has the rule of law as its basic principle, most human acts have a direct relationship with law. In particular, it is true that the problem of the legal consciousness of college students is frequently mentioned today. Therefore, in this study, through the examine the contents of the legal consciousness of the K university female students in Gwangju and will consider the cause of this.

한국 병원 최고 경영자의 책무성 인식 : 심층 면접 결과를 중심으로 (Perception of Korean Hospital CEOs on Organizational Accountability : Findings from In-Depth Interviews)

  • 유명순;이근찬;권순만;윤혜정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97-627
    • /
    • 2012
  • As misalignments among images, identity, and legitimacy of health professionals and institutions have been on the rise, CEOs of health care organizations have been required to enhance organizational accountability. Despite the accumulation of literature on the conceptual discussions of accountability, only a few studies empirically investigated key barriers to accountability and its facilitators. To identify perception on accountability with key barriers and facilitators of organizational accountability, a semi-structured interview with 11 CEOs of Korean hospitals was conducted. A short survey was taken to get quantitative data on CEO's perception on organizational accountability. To CEOs, accountability was very complex and unfamiliar concept, but understood as physician's code of ethics by nature and basic principle of hospital management. CEOs thought accountability could be improved through ethical leadership, financial stability and learning climate of hospitals. Distrust of the government, which failed to provide economic incentives for hospitals to increase accountability activities, was emphasized as a serious barrier to hospital accountability. There was consensus among hospital CEOs as to the importance of accountability in management. However, there were concerns that, without policy instruments to motivate hospitals toward increasing community benefits as well as collective efforts among health professionals to rebuild moral climate for being accountable, greater accountability would not be achieved in hospitals.

동무(東武)의 "대학(大學)" 팔조목(八條目)에 대한 견해 고찰(考察) (A Study on Dongmu's Thoughts about the Eight Items of "The Great Learning(Ta hsueh)")

  • 이준희;이의주;송일병;고병희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13
    • /
    • 2008
  • 1. Objectives This study was purposed to find Dong's thoughts about the eight items of the "The Great Learning(Ta hsueh)" 2. Methods It was researched through comparative and overall study on the Dong-mu's thoughts in "Gyukchigo(格致藁)" 3. Results (1) Dongmu reinterpreted the eight items of the "The Great Learning(Ta hsueh)" as the relations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 from the ontologic assumption of Affairs Mind Body Objects as the principle of existence and correlation, summarized into four categories, and classified into the individual and subjective affairs, and the universal and objective affairs. The four categories of the eight items of the "The Great Learning(Ta hsueh)" are correlated with the individual and the universal ethics of behavior, and connected with the element for overcoming the individual inclination of mind and wickedness. (2) After the individual and subjective human was established, the eight items of the "The Great Learning(Ta hsueh)" wer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and coupled up with each two items('Being sincere in their thoughts' with 'Extending to the utmost their knowledge', 'Rectifying their hearts' with 'Investigating things', 'Cultivating their persons' with 'Illustrating illustrious virtue throughout the kingdom', 'Regulating their families' with 'Ordering their own states'). Being based on this, 'Being sincere in their thoughts', 'Rectifying their hearts', 'Cultivating their persons' and 'Regulating their families' were understood as four individual and subjective human-basic-essential activity. Especially, mind, heart, body and family(power) were regarded as the four basic element in human existence and activity, and in correlation with universe and society, set up as the subjective element in Dongmu's epistemology, theory of nature and emotion, theory of morality and theory of moral cultivation.

  • PDF

『음식디미방』에 나타난 술의 다양성과 그 사회적 의미 (The Diversification of Alcoholic Drinks in Uymsikdimibang and its Social Meaning)

  • 배영동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34권
    • /
    • pp.102-122
    • /
    • 2001
  • Uymsikdimibang(음식디미방) - a book written around 1670 and implying the methods of understanding the taste of food and drink - records many kinds of alcoholic drinks. it is obviously a practical problem to explain the process of brewing alcoholic drinks. However, if we intend to approach the alcoholic drinks on the practical aspect, we can not explain why many kinds of alcoholic drinks were brewed. I acknowledge only that it was true to have brewed rice wine easily on the basis of the increase of the production of rice and the two-crop farming system of rice and barley in a paddy field as well as, for many kinds of alcoholic drinks to have increased as a result of the development of brewage since the middle and second half of Chosun. It is not until we approach the alcoholic drinks of those days on the level of meaning, value, and symbol that we can get a correct answer as to why Uymsikdimibang records many kinds of alcoholic drinks. In the second half of Chosun, confucian ideology was firmly established in country village societies, the idea of clan rules was instituted, and patriarchal system was organized. Such a social atmosphere was to emphasize the practice of confucian moral principle such as performing religious service on one's ancestors and receiving a guest, and in the course of it, the alcoholic drinks were recognized as important materials all the more. It seems that the subdivision and elaborateness of the meaning of the alcoholic drinks were in progress. As a result, I think that the alcoholic drinks would vary in kind and be graded. From ancient times, the alcoholic drinks were men's favorite foods, and the significance of the authority and prestige given to the alcoholic drinks was increasingly promoted by the rise of the social position of men in the second half of Chosun under the influence of confucian ideology. Subsequently, the alcoholic drinks became symbols which represented even the family's tradition and dignity. Therefore, men born of the nobility(Yangban) tried to brew the various and dignified alcoholic drinks relatively. Through the brewage such as this, they endeavored to maintain their privilege. I think that the diversification of alcoholic drinks was developed in the process of a series of social-institutional change.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의 천기(天機)의 '극(極)'과 인사(人事)의 '극(克)'의 의미에 대한 고찰 - 『대학(大學)』의 '명명덕(明明德)', '신민(新民)'의 용례(用例)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eaning of '極' of Cheon-gi[天機] and '克' of In-sa[人事] in the Donguisusebowon(東醫壽世保元) - Focusing on the usage of '明明德' and '新民' in the Daxue -)

  • 辛相元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25-145
    • /
    • 2021
  • Objectives : To examine the meaning of 'geuk(極)' and 'geuk(克)' of Cheon-gi and Insa respectively, for better translation of the contents and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the Donguisusebowon cosmology. Methods : The meanings of the characters '極' and '克' based on examples in the Daxue were examined together with content-related books such as the Shujing and the Shijing. Related concepts such as Taiji and Huangji were investigated as well. Results & Conclusions : Through investigation of the character usages and contexts in the Daxue, the archetypes of the two characters '極' and '克' were discovered. Based on these findings, the characteristics of Cheon-gi and Insa were thoroughly studied, which enabled better understanding of the structure of the world view that has been created by their integration. 'Geuk(極)' refers to Cheon-gi as the open world wherein all beings of different horizons are connected through a common principle. 'Geuk(克)' refers to Insa as an individual world that could be fully established by manifestation of one's moral abilities that lie within everybody. The two worlds integrate with each other, becoming two poles of the world humans belong to, while the human heart, in correspondence to these two worlds, create two poles within themselves, of which one pursues the public world while the other rejects the personal.

이제마의 수신론 (Lee Jema's Theory of Cultivating the Self)

  • 최대우
    • 철학연구
    • /
    • 제141권
    • /
    • pp.287-311
    • /
    • 2017
  • 이 논문의 주된 목적은 이제마의 '수신' 개념을 검토하여 한의학이나 성리학의 '수양' 개념과 그 의미가 다르다는 것을 드러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필자는 한의학과 유가의 수양 개념을 살펴본 다음, 사상의학 이론의 철학적 근거를 분석하여 이제마의 수신 개념이 이들의 수양 개념과 본질적으로 다른 점이 무엇인가를 분석했다. 한의학이나 유학의 수양 개념은 자연의 변화원리나 천과의 합일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초월적이다. 그러나 이제마는 경험의 관점에서 인간의 존재구조와 성명, 그리고 사단을 재해석하고 이를 토대로 의학이론을 전개했다. 그는 인간을 경험적으로 인식 가능한 시 공간과 인륜관계 안의 존재로 재해석하고 성명과 사단 또한 인간의 지행 능력과 심신의 기능으로 재해석하여 천인합일을 지향하는 초월적인 해석을 벗어나려고 했다. 또한 그는 감정(도덕/사적)의 편착이 발병의 가장 큰 요인임을 발견하고 편착된 감정은 심신 기능에 영향을 미쳐 발병의 원인이 된다는 인과관계를 검증하여 의학이론의 기초로 삼았다. 따라서 그의 수신 개념은 감정의 편착을 경계하는 것으로 한정된다. 이것은 사상의학이 비록 한의학에서 파생하고 유학의 도덕이론에 근거하고 있지만 의학이론과 의학이론의 철학적 근거는 이들과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필자는 이제마의 수신을 변화원리나 천인합일을 지향하는 수양 개념과 구별하고자 하였다.

유학 및 신유학 철학에서의 덕의 문제 (On the Problem of Virtue in Confucian and Neoconfucian Philosophy)

  • 베르너 가브리엘
    • 동양고전연구
    • /
    • 제50호
    • /
    • pp.89-120
    • /
    • 2013
  • 이 글은 동아시아 유학 전통의 뿌리를 다룬다. 내가 주목하고자 하는 부분은 중국의 고전 전통과 그에 대한 송대(宋代)의 해석이다. 덕의 개념은 유럽 및 중국의 전통이 만나는 드문 사례들 중 하나처럼 보인다. 라틴어 virtus 와 그리스어 $aret{\acute{e}}$는 중국어 $d{\acute{e}}$ 덕(德)과 매우 유사해 보이는 것이다. 중국 전통에서 덕(德)은 따라서 자연적 힘의 총체로 간주되는 도(道) $da{\grave{o}}$와 늘 연결되어 있다. 유럽 전통과 달리, 중국 전통에서는 덕이 그 자체로 인간 안에 존재하는 하나의 자연적 힘으로서 간주된다. 이 힘은 주변 세계와 인간의 연결, 통합 그리고 조화를 유지해준다. 공자는 사회적 행동(social behaviour)의 가능성, 곧 덕의 가능성에 관한 엄격히 철학적인 논쟁을 촉발시켰다. 공자에게 있어, 상(喪, mourning)는 인간의 원초적인 사회적 특성을 보여주는 현상들 중 하나이다. 하나의 피할 수 없는 불가피한 현상으로서의 애도는 자연적 필연성이라는 성질을 갖는다. 이런 기초적인 사회적 감정은 인(仁)($r{\acute{e}}n$, "human-heartedness") 이라 불린다. 인은 그것이 인간의 사회적 지향의 기초이자 결과로서 해석되는 것이기 때문에, 인간에게 사회 구성 능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간주된다. 인은 덕의 전형이다. 곧 인은 단순히 자연 법칙으로부터 연역 가능한 하나 사실이 아니라, 인간이 성취하거나 혹은 완전히 실패할 수도 있는 어떤 것에 관련되어 인간에게 제기되는 하나의 요청이다. 따라서, 인(仁)의 기본적 특성은 관심(concern)이다. 신유학 시기의 덕 해석은 인간과 자연의 관계에 초점이 맞추어진다. 덕에 관한 논의는 우주론적 관점으로까지 확장된다. 신유학은 인간들 사이의 관계로부터 우주적 상호관계로 초점을 이동시킨다. 모든 규칙들로부터 자연을 해방시키려 하는 도가와는 반대로, 신유가는 이(理)(lǐ) 개념을 통한 존재론적 기초를 창조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이러한 신유학의 태도는 어떤 의미에서 - 완전히 동일하지는 않더라도 - 서양적 사고와 유사한 측면을 갖고 있다. 이(理) 개념과 함께 인간과 자연의 관계에 관한 논쟁은 새로운 차원으로 들어선다. 불교의 무(無) 개념과 함께 등장한 실재의 해체와 차별이 존재론적 형이상학적 개념과 함께 새로운 답변을 얻게 되는 것이다. 이는 중국 전통에서는 매우 새로운 관점이다. 영원하며 파괴되지 않는 관념적 원리가 현상적 실재의 파괴를 막아준다. 마지막으로, 나는 덕 개념과 관련된 유럽적 및 중국적 사유의 비교 가능성에 대한 몇 가지 결론적 언급을 적어보고자 한다. 우선, 모든 고전시대의 유가들에게 있어 구체적이며 성공적인 행동보다 더 정확한 것은 없다. 이러한 행동의 결과는 이 세계에 완벽히 꼭 들어맞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오직 일반적 개념을 구분할 수 있는 진리에 의해 계몽된 대화만이 합당한 행동에 관한 통찰로 이끈다고 믿는다.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있어, 이렇게 도출된 규칙은 실천되어야만 할 어떤 것이다. 유가적 방식의 경우는 보다 직접적이다. 행위자는 이후의 행위를 위한 하나의 정확한 패턴을 수립한다. 이는 - 위에서 언급한 대로 - 하나의 구체적 행동은 결코 다른 행동과 완전히 동일할 수 없으므로, 논쟁은 행동이 수행된 상황들 사이의 차이점에 관한 논의로부터만 발생한다. 이 논쟁은 가능한 한 가장 정확한 행동으로 우리를 이끄는 것이어야 한다. 따라서 교육의 초점은, 개념적 구별이 아니라, 행동 형식에 관련된 세심한 지식의 습득에 놓여진다. 일반화는 물론 이런 노력의 과정에서 성공을 위해 요청되는 하나의 중요한 방법론으로 간주될 수도 있다. 그러나 문제점 역시 존재한다. 개념화의 성공 여부는 - 규범적 개념과 일치하는 행동의 형성이 아니라 - 개별적 행동의 성공적인 수행에 달려 있다.

조선후기 문풍의 변화와 이용휴의 글쓰기 (Changes in Literary Trend During the Late Joseon and Lee Yong-hyu's Writing)

  • 이은봉
    • 동양고전연구
    • /
    • 제48호
    • /
    • pp.91-116
    • /
    • 2012
  • 글쓰기란 틀에 박힌 형식이 아닌 자신의 느낌과 생각을 있는 그대로 표현하는 일인데도 불구하고 조선후기의 문풍은 그렇지 못했다. '문필진한(文必秦漢), 시필성당(詩必盛唐)'이라는 복고주의 문장론이 지배적이었기 때문에 문장의 법도를 무시한 채 자신의 감정을 있는 그대로 표현한다는 것은 사실상 금기시되었다. 하지만 도그마에 빠져 변화하는 세상을 바라보지 못하는 성리학과 내용은 없이 껍데기만을 모의하는 의고적 글쓰기에 지친 문장가들은 익숙함과 전범에서 벗어나고자 새로운 글쓰기를 시도했다. 이러한 변화의 가운데에 있던 이용휴는 당시 수입된 최신의 중국 서적들을 통해 명말청초의 사조들을 익히며 자신만의 개성적인 글쓰기를 만들었다. 그는 당시 지배 이데올로기인 성리학적 사유체계를 거부하고 인간성 본래의 측면에 관심을 가지며 주체 회복을 강조하였으며, 반의고적 글쓰기를 통해 허위에 찬 당시의 풍토를 비판했다. 그리고 진정한 나를 찾기 위해서는 어린 시절 순수한 마음[천리(天理)]를 회복하고, 이를 위해서는 마음[심(心)]을 바르게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그의 주장은 '심즉리(心卽理)'를 내세우는 양명학과 비슷했다. 양명학은 마음[심(心)]을 윤리의 준칙[이(理)]으로 삼고 있어서, '이(理)는 외재적이고 초월적이며, 이것은 성인에 의해 언어화되고, 경전으로 문자화 되어 있다.'는 성리학과는 확연히 갈라졌다. 그는 이들처럼 이(理)의 외재성을 부정하고 내재성을 강조하면서 성리학의 경전 중심주의를 해체했다. 그가 내세운 전범의 부정과 주체 회복의 글쓰기는 이러한 사상에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이러한 영향 때문에 그를 양명학자로 단정 짓거나, 그를 비롯한 반의고적 태도를 갖는 문인들의 사상적 근거를 양명학이라 확정해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그의 문학을 주자학이든 양명학이든 단정 짓는 순간 그것이 또 전범이 되어 주체는 사라지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는 일체의 전범을 부정하고 주체적으로 살아가기를 바랐고, 그것을 글로 남겼다. 우리가 200여년이 지난 지금에도 그의 글을 읽는 것은 바로 이러한 이유에서 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