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nounsaturated fatty acid

검색결과 259건 처리시간 0.026초

한우, 앵거스 및 화우 교잡종의 등심내 콜레스테롤 함량 및 지방산 조성 비교 (Comparison of Cholesterol Contents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M. longissimus of Hanwoo, Angus and Wagyu Crossbred Steers)

  • 최창본;신현우;이상욱;김성일;정근기;최창원;백경훈;데이비드 런트;스테판 스미스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4호
    • /
    • pp.519-526
    • /
    • 2008
  • 쇠고기는 고품질의 단백질과 함께 비타민과 광물질을 공급해 주지만, 포화지방산과 콜레스테롤 때문에 일부 소비자들은 부정적인 이미지를 지니고 있다. 쇠고기내 과다한 지방, 특히 콜레스테롤,은 사람의 건강과 불가분의 관계를 지니며, 심장병과 고혈압을 비롯한 각종 대사성 질환의 주요 원인이다. 그러나, 한우 쇠고기내 콜레스테롤 함량에 관한 기초자료는 매우 제한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우, 앵거스, 및 화우 교잡종의 등심내 콜레스테롤 함량과 지방산 조성에 대한 비교 자료를 제공하고자, 61두의 한우와 각 15두의 앵거스 및 화우 교잡종 거세우로부터 등심을 채취하여 콜레스테롤 함량과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였다. 한우의 등심내 콜레스테롤 함량은 32.36mg/100g 부터 75.42mg/100g까지 개체별로 광범위한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근내지방도가 “1”에서 “8”로 증가함에 따라 콜레스테롤 함량이 평균 42.76±1.41mg/100g에서 51.43±6.12mg/100g으로 증가하였다. 앵거스 거세우의 경우, 근내지방도가 가장 낮은 “Practically devoid”의 경우 56.84 mg/100g, 근내지방도가 가장 높은 “Abundant”의 경우 72.85 mg/100g을 나타내어, 근내지방도가 증가할수록 콜레스테롤 함량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화우 교잡종 거세우의 경우, “Practically devoid”는 69.23mg/100g, “Moderately Abundant”는 78.93 mg/100g을 나타내어 전체적으로 앵거스 거세우와 하였다. 한우, 앵거스 및 화우 교잡종의 등심내 불포화지방산:포화지방산 및 단가불포화지방산:포화지방산의 비율이 각각 1.48, 1.08 및 1.17과 1.41, 1.03 및 1.10을 나타내어, 한우 거세우에서 현저하게(각각 P< 0.0135 및 P<0.0379)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한우 거세우는 앵거스나 화우 교잡종 거세우 등심에 비하여 콜레스테롤 함량과 포화지방산의 비율이 현저하게 낮은 반면,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유의하게 높았다. 그러나, 향후 이들 육우의 유전적 배경, 사양 조건, 출하월령, 출하두수 및 샘플링 부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후속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12종 어류의 지질 및 지방산 조성의 계절적 변화 (Seasonal Variation in Lipid Clas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12 Species of Korean Fish)

  • 정보영;문수경;최병대;이종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30-36
    • /
    • 1999
  • 한국 남해 연근해에서 어획된 12종의 주요 어류 (표$\cdot$중층회유어 5종; 멸치, 숭어, 전어, 방어, 고등어: 연안암초어 3종:조피볼낙, 참돔, 감성돔: 저서어 4종: 도다리, 붕장어, 넙치, 말쥐치)를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지질 및 총지방산 조성비의 계절변화를 검토하였다. NL의 주요 조성은 TG 및 ST이었으며, TG조성비는 TL함량과 로그함수로 정의 상관관계 (r=0.91, p<0.001)를 나타내었다. PL의 주요 조성은 PC와 PE였으며, 양자의 조성비는 TL 함량이 적은 어종에서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시험된 어류의 주요지방산은 16:0($19.5\pm1.99\%$), DHA($16.6\pm7.46\%$), 18:1 (n-9) ($15.8\pm8.39\%$), EPA ($8.46\pm3.70\%$), 16:1 (n-7) ($7.06\pm3.08\%$), 14:0 ($3.80\pm2.15\%$) 등이었다. 이들 주요 지방산중 MUFA인 18:1 (n-9)와 16:1 (n-7)의 조성비의 변화는 TL 함량 변화와 비례하였으나, PUFA인 DHA와 EPA의 조성비의 변화는 TL 함량 변화와 역비례하였다. 한편 이들 MUFA와 PUFA 조성비와의 변화 사이에는 로그함수로 역의 상관관계 (r=-0.87, p<0.001)를 나타냈다. 그러나 SFA(16: 0)의 조성비는 계절에 따른 지질함량 변동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았다. 또한 EPA 및 DHA의 함량은 지질함량과 정의 상관관계(r=0.95, p<0.001)를 보였다.

  • PDF

참깻묵이 거세 한우의 비육성적과 등심의 지방산 조성, 유리 아미노산 함량 및 관능평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same Meal on Growth Performances and Fatty acid Composition, Free Amino Acid Contents, and Panel Tests of Loin of Hanwoo Steers)

  • 김성일;조봉래;최창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5권5호
    • /
    • pp.451-460
    • /
    • 2013
  • 본 연구는 참깻묵이 거세 한우의 비육성적과 등심의 지방산 조성, 유리 아미노산 함량 및 관능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하고자 실시되었다. 평균 체중 412.08 kg의 거세한우 12두를 체중과 월령을 고려하여 대조구 (참깻묵 무급여구)와 시험구 (14.6개월령부터 참깻묵 급여구)로 배치한 후, 480일간 사양 시험을 실시하였다. 대조구와 시험구의 종료 시 체중, 총증체량 및 일당증체량은 각각 741.17과 762.67 kg, 331.84와 347.84 kg 및 0.69와 0.72 kg 나타났으며, 사료요구율은 대조구와 시험구가 각각 15.31, 14.87 kg으로 참깻묵 급여구인 시험구가 3% 더 낮게 나타났다. 대조구와 시험구의 냉도체중과 근내지방도는 각각 424.17과 447.00 kg, 4.83 및 5.50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처리구별 1등급 이상 출현율은 시험구가 83.3%로 대조구 66.7%에 비하여 높았다. 도체 등심의 융점은 대조구가 $30.65^{\circ}C$, 시험구가 $28.28^{\circ}C$로 시험구에서 유의적으로 (p<0.05) 낮았다. 처리구별 등심 내 지방산 조성 중 포화지방산인 $C_{14:0}$ (myristic acid)과 $C_{16:0}$ (palmitic acid)의 함량은 시험구가 유의적 (p<0.05)으로 낮았고, 불포화지방산인 $C_{18:1}$ (oleic acid)은 시험구가 유의적 (p<0.05)으로 높았다. 등심 내 유리 아미노산 조성 중 소고기의 맛과 관련된 특징적인 유리 아미노산인 glutamic acid의 함량은 시험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 (p<0.05)으로 높았다. 관능평가 요인 중 연도와 종합기호도에서도 시험구가 유의적 (p<0.05)으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종합 해 보면 거세 한우에 참깻묵 급여는 육질등급 출현율 개선 뿐 아니라 소고기 맛과 건강에 유익한 불포화지방산 함량을 증가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상등급과 등외등급 쇠고기의 기호특성 비교 (Comparison of the Palatability Related with Characteristics of Beef Carcass Grade B2 and D)

  • 문윤희;강세주;현재석;강희곤;정인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152-1157
    • /
    • 2001
  • 도축 후 24시간 냉장한 상등급(B2 등급)과 등외등급(D 등급) 쇠고기 지육에서 등심부위를 분할하여 두 쪽으로 나누어 한 쪽은 랩으로 싸서 1일간 냉장하고, 다른 한 쪽은 500g씩 자르고 진공포장하여 30일간 냉장하여 전자는 신선육, 후자는 냉장육이라 하였다. 상등급육과등외등급육의 기호특성을 비교하고 등외등급육의 냉장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신선육과 냉장육의 색도, 연도, ATP 관련물질, 지방산 조성 및 관능평가에 대한 실험을 하였다. 신선육의 경우 상등급육이 등외등급육에 비하여 pH. 젖산함량, 미오글로빈 함량이 낮고 표면색이 우수하였다. 상등급육은 경도와 저작성이 낮으면서 근원섬유 소편화도가 높아 연한 현상을 보였다. 상등급육은 포화지방산 함량이 낮고 단일 불포화지방산에 대한 포화지방산의 비율(MUFA/SFA)과 ATP 함량이 높고, 생육향이 우수하였다. 상등급육은 가열감량 및 가열단축도가 낮은 반면 가열육의 기호성이 현저히 우수하였다. 등외등급육은 상등급육에 비해서 경도, 저작성, 근원섬유 소편화도 및 MUFA/SFA에 대한 냉장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냉장육의 연도, 가열육 향 그리고 기호성이 등외등급육에 비해 상등급육이 현저히 우수하였다.

  • PDF

괴화(槐花)의 식품영양학적 접근 및 생리활성물질 함량분석 (Nutritional Characteristics and Bioactive Components Contents of Flos Sophora Japonica)

  • 박성진;정병희;최영수;김종대;박성혜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71-180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using Flos Sophora japonica as natural health food source.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contents of general and antioxidative nutrients of Flos Sophora japonica a were measured. The contents of carbohydrate, crude protein, crude lipid and ash are 67.76%, 19.87%, 4.61% and 7.76%. And the calories of Flos Sophora japonica Linne was 318.32 Kcal. Total dietary fiber was 25.35% of total carbohydrates. The percentages of water soluble dietary fiber to insoluble dietary fiber were 1.80 % and 23.56 %, respectively. The protein were contained total 18 different kinds of amino acids. The contents of non-essential and essential amino acids were 4,898.78mg and 5,953.51mg. The K was the largest mineral followed by Ca, P and Mg, which means Flos Sophora japonica Linne is alkali material. The contents of saturated fatty acids, monounsaturated fatty acids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s were 29.69%, 34.93% and 35.38%. Therefore, the amount of the total unsaturated fatty acid was higher than that of any other plant. The content of vitamin C in Flos Sophora japonica Linne was higher than that of any other plant, which suggest that it could increase blood elasticity. The content of rutin, which is responsible for capillary vessel permeability, was 22.60%. The contents of water soluble antioxidative materials in 1 mL of water-extracted Flos Sophora japonica Linne were 3.9 ${\mu}$g which is comparable to 1233.0 mmol of vitamin C in antioxidant effect. The general nutrients and other antioxidatant bioactive materials in Flos Sophora japonica Linne were also potential materials for good health food. It is expected that follow up study of Flos Sophora japonica Linne through developing processed food and evaluation of their functional properties would provide useful information as a source of medicinal foods.

Carcass and Meat Characteristics and Gene Expression in Intramuscular Adipose Tissue of Korean Native Cattle Fed Finishing Diets Supplemented with 5% Palm Oil

  • Park, Sungkwon;Yan, Zhang;Choi, Changweon;Kim, Kyounghoon;Lee, Hyunjeong;Oh, Youngkyoon;Jeong, Jinyoung;Lee, Jonggil;Smith, Stephen B.;Choi, Seongho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68-174
    • /
    • 2017
  • We hypothesized that supplementing finishing diets with palm oil would promote adipogenic gene expression but depress stearoyl-CoA desaturase (SCD) gene expression in intramuscular (i.m.) adipose tissues of Hanwoo steers during fattening period (from 16 to 32 mon of age). Fourteen Hanwoo steers were allotted randomly to 2 groups of 7 steers based on initial BW and fed either a basal diet (control) or the basal diet supplemented with 5% palm oil (BDSP). At slaughter, i.m. adipose tissue was harvested for analysis of adipogenic gene expression and fatty acid composition.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BW or average daily gain between treatment groups. Supplemental palm oil had no effect on carcass quality traits (carcass weight, backfat thickness, loin muscle area, or marbling scores) or meat color values. Palm oil increased (p<0.05) expression of AMP-activated protein kinase-${\alpha}$ and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gamma}$, but decreased (p<0.05) CAAT/enhancer binding protein-${\beta}$ gene expression and tended to decrease stearoyl-CoA desaturase gene expression in i.m. adipose tissue. Palm oil increased total i.m.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0.05) compared to the control i.m. adipose tissue, but had no effect on saturated or monounsaturated fatty acids. Although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of supplemental palm oil on i.m. adipose tissue gene expression, the absence of negative effects on carcass and meat characteristics indicates that palm oil could be a suitable dietary supplement for the production of Hanwoo beef cattle.

경기 일부지역 대학생의 섬유소 섭취 행동단계에 따른 영양소 섭취상태 비교 (Comparison of Nutrient Intakes Regarding Stages of Change in Dietary Fiber Increasing for College Students in Kyunggi-Do)

  • 정은정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592-602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nutrient intakes regarding stages of change in dietary fiber increasing behavior. Subjects were consisted of healthy 383 college students (2S0 females and 133 males) in Kyunggi-Do. Stages of change classified by an algorithm based on 6 items were designed each subjects into one of the 5 stages: precontemplation (PC), contemplation (CO), preparation (PR), action (AC), maintenance (MA). Nutrient intakes were assessed by 24-hr recall method. Regarding the S stages of changes, PR stage comprised the largest group $(39.4\%)$, followed by AC $(33.7\%)$, MA$(14.6\%)$, PC$(7.6\%)$, CO$(34.7\%)$. Female were more belong to either AC or MA. The higher stage of change in dietary fiber increasing behavior, the higher self-efficacy. In all male and female,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energy, protein, monounsaturated fatty acids, polyunsaturated fatty acids and cholesterol intakes across the 5 stages. But, fiber, postassuim (K), vitamin A and vitamin C intakes of AC or MA were higer than those of PC, CO and PR $Energy\%$ from fat of $PR(25.4\~26.5\%)$ was higher than $20\%$, and those of AC and MA was lower than the other groups. Dietary P/S and ${\varepsilon}6/{\varepsilon}$ 3 ratios of AC and MA were similar to the recommended ratio. Female of PR had the most total saturated fat and palmitic acid and those of MA had the least. Male of PR had the least $\alpha-LNA\;({\varepsilon}3)$ and total ${\varepsilon}3$ fatty acids and those of MA had the most. In male and female in AC or MA, fiber and K intakes from breakfast, dinner and snack and vitamin C intakes from all meal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stages. These results of our study confirm differences in stages of change in fiber intake in terms of nutritional status. To have lower $energy\%$ from fat, higher intakes of K, fiber and vitamins, desirable ratio of dietary fatty acids, it needs consistent nutritional education leading to the AC or MA of fiber increasing behavior.

시용 유기물의 종류가 고추 재배지 토양 미생물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rganic Amendments on Soil Microbial Community in Red Pepper Field)

  • 박기춘;김영숙;권오훈;권태룡;박상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18-125
    • /
    • 2008
  • 다비작물이면서 재배기간이 긴 고추 재배지에서 당년의 효과를 기대하고 시용되는 유기물은 각 지역마다 사용되는 종류가 다양함으로 이들이 토양 미생물 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수피, 우분, 왕겨, 볏짚과 이것으로 만든 퇴비가 토양의 화학적 미생물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퇴비가 pH를 포함한 토양 화학적 특성 변화에 가장 효과적이었고 수피는 유기물 증가에 기여하였다. 인지질 지방산의 토양 생물학적 지표 분석에서 퇴비는 방선균과 균근균 밀도 증가에 효과적이었으며, y19:0/18:1w7c와 단불포화/포화 지방산의 비율도 증가시켰다. 수피는 곰팡이 밀도 증가에 효과적이었고, 왕겨와 볏짚은 퇴비와 수피 만큼의 토양 미생물상 군락에 미치는 효과는 적었으나 왕겨가 볏짚 보다 컸다. 그리고 전체 미생물 상을 관찰하기 위하여 PLFA와 Biolog EcoPlate 성적을 주요인 분석으로 살펴 본 결과 수피가 두 가지 방법 모두에서 다른 처리 특히 퇴비 처리구와는 구별 되는 미생물 군을 형성함을 보여주었다. 따라서퇴비와 수피가 토양의 화학적 특성과 미생물상 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특히 토양 미생물상에 미치는 두 유기 토양 개량제의 영향은 방향이 크게 다르므로 신선 수피의 토양 개량제로의 이용은 더 많은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Xiang Study: an association of breastmilk composition with maternal body mass index and infant growth during the first 3 month of life

  • Peng, Xuyi;Li, Jie;Yan, Shuyuan;Chen, Juchun;Lane, Jonathan;Malard, Patrice;Liu, Feito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5권3호
    • /
    • pp.367-381
    • /
    • 2021
  • BACKGROUND/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a mother and child cohort in the Chinese population, and investigate human breastmilk (HBM) composition and its relationship with maternal body mass index (BMI) and infant growth during the first 3 mon of life. SUBJECTS/METHODS: A total of 101 Chinese mother and infant pairs were included in this prospective cohort. Alterations in the milk macronutrients of Chinese mothers at 1 mon (T1), 2 mon (T2), and 3 mon (T3) lactation were analyzed. HBM fatty acid (FA) profiles were measured by gas chromatography (GC), and HBM proteomic profiling was achieved by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ionization time-of-flight (MALDI-TOF) mass spectrometry (MS). RESULTS: During the first 3 mon of lactation (P < 0.05), significant decreases were determined in the levels of total energy, fat, protein, and osteopontin (OPN), as well as ratios of long-chain saturated FA (including C16:0, C22:0 and C24:0), monounsaturated FA (including C16:1), and n-6 poly unsaturated FA (PUFA) (including C20:3n-6 and C20:4n-6, and n-6/n-3). Conversely, butyrate, C6:0 and n-3 PUFA C18:3n-3 (α-linolenic acid, ALA)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the first 3 mon (P < 0.05). HBM proteomic analyses distinguished compositional protein differences over time (P = 0.001). Personalized motherinfant analyses demonstrated that HBM from high BMI mothers presented increased total energy, fat, protein and OPN, and increased content of n-6 PUFA (including C18:3n-6, C20:3n-6 and n-6/n-3 ratio) as compared with low BMI mothers (P < 0.05). Furthermore, BMI of the mother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head circumference (HC) of infants as well as the specific n-6 PUFA C20:3n-6 over the 3 time points examined. Infant HC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C18:0.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additional evidence to the Chinese HBM database, and further knowledge of FA function. It also helps to establish future maternal strategies that support the healthy growth and development of Chinese infants.

옥수수 주정박이 산란계의 생산성 및 경제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orn Distiller's Dried Grains with Solubles on Production Performance and Economics in Laying Hens)

  • 유한진;신명호;이학림;조철훈;이수기;이봉덕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5-21
    • /
    • 2009
  • 본 시험은 양질의 미국산 DDGS를 산란계 사료에 첨가하여 산란계의 생산성, 계란의 품질 및 난황 지질의 총지방 함량과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양적 가치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또한,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는 옥수수와 대두박을 대체할 원료 사료로써의 DDGS의 경제성을 검토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23주령의 Hy-line Brown 계통의 산란계 216수에 DDGS를 각각 0%, 10%, 20%를 첨가한 3가지의 동에너지 (TMEn 2,780 kcal/kg)-동단백질(17%) 사료를 10주간 급이하였다. 실험 설계는 3처리 6반복, 반복당 12수씩을 완전 임의배치하였다. 사료 섭취량, 산란율 및 난생산 사료 요구율 등의 산란 생산성은 모든 처리구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실험 사료 급여 후 5주째와 10주째에 측정한 난각색, 난백고 및 Haugh unit는 DDGS 첨가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았다. 난각 무게, 난각 두께, 난각 강도와 같은 난각질에서는 5주째에는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10주째에는 DDGS 20%구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난황색도의 경우 5주째와 10주째 공히 DDGS 0%구에 비해서 DDGS 20%구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난황 비율은 DDGS 20%구에서 DDGS 0%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난황의 총 지방 함량은 처리구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난황의 일가불포화 지방산 함량은 DDGS 첨가에 의하여 감소하였으며, 다가불포화 지방산 함량은 DDGS 20%구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DDGS 첨가는 난황 지방산의 불포화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처리구별 시험 사료의 kg당 단가는 DDGS 사용량이 증가할수록 저렴하게 나왔다. 계란 1 kg의 생산 비용도 DDGS 10%, DDGS 20%, DDGS 0% 순서로 저렴하게 나타나고 있어서, DDGS가 옥수수-대두박을 대체할 수 있는 경제성이 충분하다고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산란계 사료에서 DDGS를 20%까지 사용 할 경우 생산성의 큰 변화없이 경제성이 대조구보다는 우수하지만, DDGS를 10% 정도 첨가하여 사용하는 것이 더 경제적이라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