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no-sodium glutamate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3초

배추김치의 숙성에 미치는 Mono Sodium Glutamate의 영향 (Effect of Mono Sodium Glutamate on the Fermentation of Korean Cabbage Kimchi)

  • 장경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42-348
    • /
    • 1990
  • Effects of various monosodium glutamate(MSG_ concentration (0-400mg%) on the quality of Korean cabbage kimchi during fermentation at 2$0^{\circ}C$ were investigated.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titratable acidity pH content of thiamine ascorbic acid $\beta$-carotene and sensory evaluation were observed in the presencve of MSG. Titratable acidity was increased in the kimchi contained MSG during the fermentation.l Wheeas the changes of pH in the kimchi contained MSG were similar to those in control, Maximum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was observed after 49 hour of fermentation in kimchi contained with 200mg MSG. The might be due to the fact that MSG was given optimum pH for acid bacteria growth because of its buffering action. Therefore the periods of kimchi fermentation were reduced by addition of MSG, MSG also affected on the stability of ascorbic acid thiamine and $\beta$-carotene. According of MSG. MSG also affected on the stability of ascorbic acid thiamine and $\beta$-carotene. According to sensory evaluation MSG reduced sour taste in kimchi which increased edible periods.

  • PDF

한국인의 글루타민산나트륨 섭취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take Level of Mono Sodium Glutamate in Korea)

  • Lee, Eun Hae;Lee, Dong Il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75-85
    • /
    • 1986
  • 1. 본 調査연구는 1,000가구를 한국의 4대도시인 서울, 부산, 대구, 광주 地域에서 3단계 標本抽出 방법으로 선택하여 이들의 1인1일 Mono Sodium Glutamate(MSG) 섭취량을 包含한 使用實態를 조사한 것이다. 2. 조사결과에 의하면 한국인 1인1일 平均 섭취량은 1.57g이었고, 섭취량의 分布는 1.57g 이하가 전체가구의 62.8%, 1.58~2.57g가 21.5%, 그리고 2.58~3.57g을 섭취하는 가구가 8.7%로 나타났다. 3. 지역별 평균 섭취량은 대구지방이 가장 높았고(2.06g), 이이서 광주(1.80g), 서울(1.55g)및 부산(148g)의 順序로서 전체적으로 지역간에 큰 差異는 없었다.

  • PDF

Mono Sodium Glutamate 발효로 얻은 GABA 코팅 쌀에 의한 수면유도 효과 (Sleep-Induction Effects of GABA Coated Rice from Fermentation of Mono Sodium Glutamate)

  • 김옥주;이정광;우영민;최승태;박미연;김안드레;하종명
    • 공업화학
    • /
    • 제24권6호
    • /
    • pp.605-610
    • /
    • 2013
  • GABA는 포유류의 신경전달물질의 분비를 억제하며, 신경안정 작용, 스트레스 해소, 우울증 완화, 불면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곡류식품에 존재하는 GABA 함량은 일반미 1~4 mg/100 g, 현미 4~8 mg/100 g으로 알려져 있지만, 그 함량이 낮아 자연 식품으로부터 섭취하는 양으로는 생리활성을 기대하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mono sodium glutamate (MSG)발효로 얻은 GABA 코팅 쌀이 신경안정제 뿐만 아니라 수면유도제로 쓰이는 melatonin과 serotonin의 생성 촉진 효과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melatonin의 경우 GABA (25 mg/mL) 투여군은 $3.515{\pm}0.149pg/mL$, 일반미 공급군의 경우 $2.632{\pm}0.188pg/mL$이며, GABA 코팅 쌀 공급군은 $3.578{\pm}0.158pg/mL$로 나타났다. Serotonin 함량을 측정한 결과 GABA (25 mg/mL), 일반미 공급군은 각각 $5.183{\pm}0.142ng/mL$, $4.784{\pm}0.108ng/mL$가 측정되었으며 GABA 코팅 쌀을 공급한 실험군은 $5.918{\pm}0.169ng/mL$의 serotonin이 생성되었다. GABA 코팅 쌀의 지속적인 섭취로 인해 melatonin과 serotonin은 유의적인 증가는 있었지만, 누적효과는 없었다. 기능성 식품으로 개발된 GABA 코팅 쌀을 지속적으로 섭취하면 일반미에서 섭취하여 얻을 수 있는 melatonin과 serotonin의 유도효과를 얻을 수 있고, GABA 25 mg/mL를 섭취하는 것과 비슷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고 사료된다.

Characterization of γ-Aminobutyric acid(GABA) produced by a lactic acid bacterium from button mushroom bed

  • Lee, Yun-Seok;Song, Tae-Young;Kong, Won-Sik;Yoon, Min-Ho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81-186
    • /
    • 2013
  • ${\gamma}$-Aminobutyric acid(GABA) is a four carbon non-protein amino acid that has several well-known physiological functions, such as a postsynaptic inhibitory neurotransmitter in the brain and induction of hypotensive and tranquilizer effects. A lactic acid bacterium was isolated from button mushroom bed, which is showing high GABA productivity by TLC or HPLC analysis. The strain was identified as Lactobacillus hilgardii by analysis of 16S rDNA gene sequence. When the maximum production of GABA by L. hilgardii was investig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 of monosodium glutamate, the yield of GABA reached to be 53.65 mM at 1% mono sodium glutamate (MSG) in flask cultivation. A Glutamate decarboxylase (GAD) enzyme, which was known to convert MSG to GABA, was purified from a cell-free extract of L. hilgardii and the molecular weights of purified GAD was estimated to 60,000 by SDS-PAGE. The optimum pH and temperature of GAD were at pH4.6 and at $37^{\circ}C$, respectively. The GAD activity was increased by the addition of sulfate ions such as ammonium sulfate, sodium sulfate and magnesium sulfate, indicating that the increase of hydrophobic interaction causes the increase of GAD activity.

조미료(調味料)가 ${\alpha}-amylase$활성(活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Condiments upon ${\alpha}-Amylase$ activity)

  • 서명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9권1호
    • /
    • pp.104-109
    • /
    • 1976
  • 0.2% ${\alpha}-amylase$용액(溶液)에 파, 생강, 마늘, 고추, 후추 mono sodium glutamate. 설탕, 고초냉이, 겨자, 산초등(等) 각종(各種) 조미료(調味料)를 Homogenizer로 마쇄(摩碎) 하여 0.2% ${\alpha}-amylase$용액에 0%, 1%, 5%, 10%씩 첨가(添加)한다음 일정시간(一定時間)마다 Wohlgemuth 법(法)에 의(依)하여 ${\alpha}-amylase$의 활성(活性)을 측정(測定)하여 조미료(調味料)가 ${\alpha}-amylase$의 활성(活性)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실험(實驗)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파 0.2% ${\alpha}-amylase$ 용액(溶液)에 파를 1%, 5%, 10% 첨가(添加) 하였을때의 ${\alpha}-amylase$ 활성(活性)은 대조구(對照區)에 비(比)하여 계속 50% 억제 되었다. 2)마 늘 마늘 1%, 5%, 10% 첨가구(添加區)는 대조구(對照區)에 비(比)하여 약(約) 50% 억제 되었다. 3)생 강 생강 첨가구(添加區)는 대조구(對照區)에 비(比)하여 전반적(全般的)으로 7일(日)까지는 50% 억제되었으나 5%, 10% 첨가구(添加區)는 10일(日)에 와서 더욱 억제 되였다. 4)후 추 후추 첨가구(添加區)는 모두 저장(貯臧) 3일(日)까지는 대조구(對照區)에 비(比)하여 50% 억제되었으나 3일(日) 이후(以後)부터는 약(約) 75%의 억제 현상을 나타냈다. 5)고 추 1% 첨가구(添加區)는 대조구(對調區)에 비(比)하여 50% 억제 하였으며 5%, 10% 첨가구(添加區)는 시일경과(時日經過)함에 따라 75%까지 억제하였다. 6)산 초 산초 1%, 5% 첨가구(添加區)는 저장시일(貯臧時日)과 관계(關係)없이 50% 억제하였고 10% 첨가구(添加區)는 3일이후(日以後)부터 계속 억제하여 75%까지 억제 하였다. 7)겨 자 겨자 1%, 5% 첨가구(添加區) 대조구(對照區)에 비(比)하여 ${\alpha}-amylase$ 활성(活性)을 50% 억제 하였으나 10% 첨가구(添加區)는 시일경과(時日經過)에 따라 62.5%의 억제 현상을 보였다. 8) 고초냉이 고초냉이 1%, 5% 첨가구(添加區)는 ${\alpha}-amylase$ 활성(活性)을 50% 억제 하였으나 10% 첨가구(添加區)는 87.5%까지 억제하였다. 9) Mono sodium glutamate Mono sodium glutamate 1% 첨가구(添加區)는 5일(日)까지는 ${\alpha}-amylase$ 활성(活性)을 억제하지 않았으나 그후(後)부터 50% 억제하였고 5%, 10%, 첨가구(添加區)는 시일(時日)이 경과(經過)함에따라 50%에서 82.5%로 억제되었다. 10)설 탕 설탕 1%, 5% 첨가구(添加區)는 저장(貯臧) 3일(日)까지는 50%로, 그 이후(以後)는 75% 억제되었고 설탕 10% 첨가구(添加區)는 계속 75% 억제 하였다.

  • PDF

우육과 돈육의 냉동저장 중 품질변화에 대한 냉동변성 방지제의 첨가효과 (The Effect of Cryoprotectants on the Quality Changes of Pork and Beef during Frozen Storage)

  • 양승용;김영호;이무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64-369
    • /
    • 1989
  • 본 실험은 냉동저장 중에 법동변성 방지제의 첨가가 우육과 돈육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것으로 냉동변성 방지제 종류는 sorbitol, mono sodium glutamate와 sodium tripolyphosphate를 혼합하여 사용한 CP-A, sorbitol, sucrose와 sodium tripolyphosphate를 섞은 CP-B 그리고 sorbitol, sucrose, sodium citrate와 sodium tripolyphosphate를 사용한 CP-C세 종류이었고 시료는 $-20^{\circ}C$에서 12주간 저장되었으며 분석항목으로는 pH변화, TBA가, 유리지방산 함량의 변화, 수용성 및 염용성 단백질의 추출성이었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냉동변성 방지제 첨가구의 pH는 무첨가구의 pH보다 0.2-0.5unit 정도의 상승효과를 보였으며 TBA가 및 유리지방산 함량은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무첨가구에 비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2. 수용성 단백질의 추출성은 냉동변성 방지제를 처리할 때 돈육이 우육에 비해 높은 추출율을 보였는데 특히 돈육의 CP-B 처리구에서 무첨가구에 비해 우수하였다. 3. 염용성 단백질의 추출성에 대한 냉동변성 방지제의 효과는 우육의 CP-A 처리구와 돈육의 CP-B 처리구에서 무첨가구에 비해 약 10-25%의 높은 추출성 향상을 나타내었다.

  • PDF

Gamma-Aminobutyric Acid Production from a Novel Enterococcus avium JS-N6B4 Strain Isolated from Edible Insects

  • Jo, Min-Ho;Hong, Seong-Jin;Lee, Ha-Nul;Ju, Jung-Hyun;Park, Bo-Ram;Lee, Jun-ho;Kim, Sun-Am;Eun, Jong-Bang;Wee, Young-Jung;Kim, Young-Mi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9권6호
    • /
    • pp.933-943
    • /
    • 2019
  • Gamma-aminobutyric acid (GABA)-producing strains were isolated from four edible insects and subjected to 16S rRNA sequence analysis. Among the four GABA-producing bacteria, Enterococcus avium JS-N6B4 exhibited the highest GABA-production, while cultivation temperature, initial pH, aerobic condition, and mono-sodium glutamate (MSG) feeding were found to be the key factors affecting GABA production rate. The culture condition was optimized in terms of glucose, yeast extract, and MSG concentrations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GABA production up to 16.64 g/l was obtained under the conditions of 7 g/l glucose, 45 g/l yeast extract, and 62 g/l MSG through the optimization of medium composition by RSM. Experimental GABA production was 13.68 g/l, which was close to the predicted value (16.64 g/l) calculated from the analysis of variance, and 2.79-fold higher than the production achieved with basic medium. Therefore, GABA-producing strains may help improve the GABA production in edible insects, and provide a new approach to the use of edible insects as effective food biomaterials.

한국전통주인 막걸리로부터 분리한 Lactobacillus plantarum subsp. plantarum B-134의 gamma-aminobutyric acid (GABA)의 생산 (Production of gamma-Aminobutyric Acid (GABA) by Lactobacillus plantarum subsp. plantarum B-134 Isolated from Makgeolli, Traditional Korean Rice Wine)

  • 이현주;손재영;이상재;이한승;이배진;최인순;손재학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67-574
    • /
    • 2017
  • 본 연구는 막걸리로부터 ${\gamma}$-amino butyric acid (GABA) 생성 유산균을 분리 및 동정하고 최적 GABA 생산조건을 확립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막걸리로부터 64균주의 유산균은 MRS 배지에서 성장된 집락의 색과 모양의 특성에 따라 분리하였다. 분리균주의 GABA 생산은 1% MSG가 첨가된 MRS 액체배지에서 배양하여 TLC와 HPLC 방법에 의해 평가되었다. B-134 균주는 GABA생성을 위한 우수균주로 선발하였다. 16S rRNA 유전자 및 glutamate decarboxylase B (gadB) 유전자의 염기서열분석을 통하여, B-134 균주는 Lactobacillus plantarum subsp. plantarum B-134 균주로 명명하였다. GABA 생성을 위한 온도, pH, NaCl 및 MSG 농도를 달리하여 최적배양조건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B-134 균주의 최적배양 조건은 온도 $37^{\circ}C$, pH 5.7, NaCl 농도 0% (w/v), 그리고 MSG 농도 3% (w/v)로 결정되었으며 본 조건에서 48시간 배양시 25 mM의 GABA를 생산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B-134 균주는 GABA함유 건강기능식품개발을 위한 유용한 균주로 판단된다.

반응 표면 분석법을 사용한 Rhodobacter sphaeroides PS-24 유래 carotenoid 생산 배지 최적화 (Optimization of Medium for the Carotenoid Production by Rhodobacter sphaeroides PS-24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봉기문;김공민;서민경;한지희;박인철;이철원;김평일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35-148
    • /
    • 2017
  • 본 연구를 통해 논, 시설재배 밭 토양, 쓰레기장, 하천 및 호수의 퇴적 토양 등 22개소에서 분리한 총 6종의 광합성세균 중 호기 암 배양이 가능한 Rhodobacter sphaeroides PS-24를 분리하였다. 형태학적 특징으로는 그람음성의 막대모양으로, 운동성이 있었다. 분리균주의 16S rRNA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Rhodobacter sphaeroides ATH2.4.1과 99%의 상동성을 나타내었으며, 본 연구에서 Rhodobacter spharoides PS-24로 명명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선별균주를 modifed Van niel's yeast 배지에서 배양 후 생성된 carotenoid를 추출한 결과 $12.03{\pm}0.15mg/L$의 함량이 측정되었으며, 반응표면분석법 중 Plackett burman 분석방법과 Box-Behnken 분석방법을 통해 carotenoid 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농도를 최적화하였다. 분석결과 각각의 독립변수 yeast extract -0.4144 (1.23 g/L), $Na_2CO_3$ 0.8541 (3.71 g/L)와 $MgSO_4$ 1.00 (1.00 g/L)의 농도를 선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배지 조성을 최적화한 결과 yeast extract 1.23 g, sodium acetate 1 g, $NH_4Cl$ 1.75 g, NaCl 2.5 g, $K_2HPO_4$ 2 g, $MgSO_4$ 1.0 g, mono-sodium glutamate 7.5 g, $Na_2CO_3$ 3.71 g, $NH_4Cl$ 3.5 g, $CaCl_2$ 0.01 g/ liter로 선정하였다. 최적배지를 대상으로 5 L, 50 L, 500 L scale-up을 진행한 결과 최종 carotenoid는 각각 17.98 mg/L, 18.03 mg/L, 18.11 mg/L로 조사되었다. 최적배지의 경우 modified Van niel's yeast 배지보다 약 1.5배 많은 carotenoid를 생산하였으며, 대량배양을 통한 scale-up 과정 시 carotenoid의 생산량은 크게 변화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산업적으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carotenoid를 생산하는 광합성세균 Rhodobacter spharoides PS-24를 개발하였으며, 본 연구를 바탕으로 유기농축산에 사용이 가능한 기능성 미생물제제를 개발하고자 한다.

축산계 천연 조미료의 현황과 가공식품에의 이용

  • 박우문
    • 식품기술
    • /
    • 제7권1호
    • /
    • pp.10-21
    • /
    • 1994
  • 최근 국민소득의 급격한 증가와 더불어 식생활 패턴에도 커다란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식생활에 있어서 기호의 다양화, 생활의 고도화 그리고 식품가공기술의 발단과 더불어 편의 식품등 가공식품의 보급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가공식품 산업의 역할은 보존성, 기호성 및 편리성의 향상이며 이중에서 특히 기호성의 향상은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역할이라 할 수 있다. 기호성의 향상에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이 조미료이며 식생활의 다양화, 고급화에 따라서 조미료의 사용에 있어서도 종전의 글루타민산 나트륨(mono-sodium glutamate)으로부터 동식물 엑기스 등의 천연 조미료를 이용하려는 변화가 오래전부터 일고 있다. 천연 조미료가 소재가 될수있는 소재는 동식물성 식품중 여러가지 종류가 있으나 그중 축육류는 풍부한 영양성과 더불어 소비자의 기호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독특한 향미성이 있어 각종 조리 및 라면스프, 육제품등 가공식품의 조미 소재로서 이용도가 날로 증대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