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nitoring the sea

검색결과 799건 처리시간 0.033초

관측치를 이용한 적응적 조위 예측 방법 (Adaptive Sea Level Prediction Method Using Measured Data)

  • 박상현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891-898
    • /
    • 2017
  • 기후변화 등으로 해안 침수 등의 피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해양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해수면의 변화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조위 센서에 적용할 수 있는 조위 예측 모델을 제안한다. 기존의 조위 예측 모델은 장기적인 예보를 위한 것으로 많은 데이터와 복잡한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반면,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조위 센서에 탑재되어 동작할 수 있는 간단하지만 정확한 알고리즘으로, 센서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시간 또는 두 시간의 비교적 짧은 시간 후의 조위를 예측한다. 실험 결과는 제안하는 알고리즘이 간단하지만 정확하게 조위를 예측하는 것을 보여준다.

선박용 중앙냉각시스템의 해수 펌프 용량조절에 따른 에너지 절감 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nergy Saving Method by controlling Capacity of Sea Water Pump in Central Cooling System for Vessel)

  • 이지영;유희한;김연형;오진석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1권5호
    • /
    • pp.592-598
    • /
    • 2007
  • The fuel charge is getting higher in navigation cost. Therefore, shipowners try to find the method for reducing oil consumption. ESS(Energy Saving System) is one of he method. ESS is the system consisted with two inverters, ESS control unit and monitoring system. Two inverters control two main sea water cooling pumps. In the ESS control Unit, the control algorithm finds optimized point to decrease a power consumption of main sea water cooling pumps. Monitoring system observes ESS not to work improperly. ESS is experimented in the laboratory with real condition and analyzed in every view. After experiment,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shows that the control algorithm works correctly and safely. ESS has a plan to be operated in the ship soon. In that case, additional devices are needed to connect ESS with cooling system of the vessel. So the development of addition device is needed and being studied.

황해의 해양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The Marine 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 in the Yellow Sea)

  • 허승;박종수;안경호;이윤;최옥인;임동현;황운기;이승민;김평중;방현우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07-312
    • /
    • 2010
  • 황해의 해양환경, 어업자원 및 증양식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을 담당하고 있는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에서 해양생태계 보전의 일환으로 황해의 해양환경에 대한 다양한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다. 현재 서해수산연구소가 황해에서 수행 중인 모니터링은 연안정지관측, 서해해양조사, 서해어장환경모니터링, 국가해양환경측정망, 유해적조모니터링, 한중황해환경모니터링조사 및 해파리모니터링 등이 있다. 이러한 모니터링 결과들은 중요 어족의 어장형성 해역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연근해 어업생산성을 제고하고, 기후변동에 따른 향후 수산자원 변동 예측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한반도 주변해역의 체계적인 해양과학자료를 제공하여 수산업, 해양환경보전, 해양레저 등 한반도 주변해역의 부가가치 창출에 기여하고 있으며, 연안어장의 지속적 생산을 유지하기 위한 어장환경 관리 및 보전정책 수립을 위한 국가 기본 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조화분석에 기반한 적응적 조위 예측 방법 (Adaptive Sea Level Prediction Method Based on Harmonic Analysis)

  • 박상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276-283
    • /
    • 2018
  • 기후변화 등으로 해안 침수 등의 피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해양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해수면의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위험한 상황을 경보하는 해양모니터링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조위 예측 모델을 제안한다. 기존의 조위 예측 모델은 장기적인 예보를 위한 것으로 많은 데이터와 복잡한 알고리즘이 필요하기 때문에 실시간 시스템에는 적절하지 않다. 반면,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조위 센서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조위를 예측하는 방법으로 간단하지만 정확하게 한 시간 또는 두 시간의 비교적 짧은 시간 후의 조위를 예측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조석의 조화분석을 위해 칼만필터 알고리즘을 사용하고 추가적인 오류 보정을 위해 이중 지수 평활법을 사용한다. 실험 결과는 제안하는 알고리즘이 간단하지만 정확하게 조위를 예측하는 것을 보여준다.

Whole-Body Microbiota of Sea Cucumber (Apostichopus japonicus) from South Korea for Improved Seafood Management

  • Kim, Tae-Yoon;Lee, Jin-Jae;Kim, Bong-Soo;Choi, Sang H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10호
    • /
    • pp.1753-1762
    • /
    • 2017
  • Sea cucumber (Apostichopus japonicus) is a popular seafood source in Asia, including South Korea, and its consumption has recently increased with recognition of its medicinal properties. However, because raw sea cucumber contains various microbes, its ingestion can cause foodborne illness. Therefore, analysis of the microbiota in the whole body of sea cucumber can extend our understanding of foodborne illness caused by microorganisms and help to better manage products. We collected 40 sea cucumbers from four different sites in August and November, which are known as the maximum production areas in Korea. The microbiota was analyzed by an Illumina MiSeq system, and bacterial amounts were quantified by real-time PCR. The diversity and bacterial amounts in sea cucumber were higher in August than in November. Alpha-, Beta-, and Gammaproteobacteria were common dominant classes in all samples. However, the microbiota composition differed according to sampling time and site. Staphylococcus warneri and Propionibacterium acnes were commonly detected potential pathogens in August and November samples, respectively. The effect of experimental Vibrio parahaemolyticus infection on the indigenous microbiota of sea cucumber was analyzed at different temperatures, revealing clear alterations of Psychrobacter and Moraxella; thus, these shifts can be used as indicators for monitoring infection of sea cucumber. Although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clarify and understand the virulence and mechanisms of the identified pathogens of sea cucumber, our study provides a valuable reference for determining the potential of foodborne illness caused by sea cucumber ingestion and to develop monitoring strategies of products using microbiota information.

황해 동부해역 표층퇴적물의 중금속 농도 분포 (Distribution of Heavy Metal Concentrations in Surface Sediments of the eastern Yellow Sea)

  • 선철인;박건우;박현실;박준건;김성길;최만식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3권4호
    • /
    • pp.179-191
    • /
    • 2018
  • 황해 동부해역 표층퇴적물의 중금속 분포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입도, 유기탄소(TOC)와 함께 중금속 원소들(Cu, Pb, Zn, Cd, Cr, Mn, As, Ni, Co, Li, Fe, Al)의 농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일부 정점에서 Pb, Mn, As를 제외하면 모든 중금속 농도의 분포는 입도 및 TOC의 분포와 유사하게 황해 중앙해역에서 상대적으로 높고, 한국 연안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입도와 중금속 농도간의 관계를 통하여 대부분의 금속은 입도가 세립할수록 농도가 높게 나타나는 일반적인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일부 정점에서 Pb은 조립질 퇴적물에서의 암석기원(feldspar) 영향, Mn은 생물기원($CaCO_3$) 영향, As는 중광물(pyrite) 특성에 따라 분포 양상이 다르게 나타났다. 과거에 조사한 자료(2000년)와 비교했을 때, 황해 동부해역에서 지난 15년 동안의 추가적인 중금속 농축은 없었고, 투기해역에 대한 저질환경은 과거에 비해 크게 개선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해역 내 모든 중금속의 농도는 한국과 중국에서 규정하고 있는 최소기준(TEL, MSQ-1)보다 낮았지만, 농축지수(enrichment factor; EF), 농집지수(geo-accumulation index; $I_{geo}$), 생태위해성지수(ecological risk index; ERI)는 Cu, Pb, Zn, Cr이 황해 중앙해역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SeaWiFS 밴드역에 의한 연안해역의 엽록소 밴드비율 알고리듬 검증 (The Validation of chlorophyll-a band ratio algorithm of coastal area using SeaWiFS wavelength)

  • 정종철;유신재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37-45
    • /
    • 2000
  • 해양관측위성으로 1997년에 발사된 SeaWiFS 센서는 해양의 엽록소 분포와 대기환경 등 다양한 지구관측 자료를 제공하고 있고, 현재까지 수신된 많은 자료는 해양뿐만 아니라 육상관측에도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SeaWIFS 센서는 1 km의 공간해상력으로 인해 연안해역의 관측이 어렵고, 연안역에서의 대기보정 문제가 아직 정립되지 않아 연안해역의 관측에는 아직 활발히 적용되지못하다. 특히, 서.남해 연안해역은 부유사 농도가 높고, 육상에서 비롯되는 용존유기물의 흡광으로 엽록소 분포를 분석하기에 적합한 알고리듬이 개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의 엽록소 농도분포를 분석하는데 활용되어온 경험적인 알고리듬을 바탕으로 연안해역의 엽록소 분포를 분석하기에 적합한 경험식을 도출하였으며, 이러한 경험식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연안해역의 엽록소 농도 관측을 위해서는 레드영역의 밴드 (665nm)가 활용되어야 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Application of Remote Sensing and GIS technology for monitoring coastal changes in estuary area of the Red river system, Vietnam

  • Lan, Pham Thi;Son, Tong Si;Gunasekara, Kavinda;Nhan, Nguyen Thi;Hien, La Phu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1권6_2호
    • /
    • pp.529-538
    • /
    • 2013
  • Coastline is the most dynamic part of seascape since its shape is affected by various factors. Coastal zone is an area with immense geological, geomorphological and ecological interest. Monitoring coastal change is very important for safe navigation, coastal resource management. This paper shows a result of monitoring coastal morphological changes using Remote Sensing and G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tain intensity of erosion, deposition and sand bar movement in the Red River Delta. Satellite images of ALOS/AVNIR-2 and Landsat were used for the monitoring of coastal morphological changes over the period of 1975 to 2009. Band rationing and threshold technique was used for the coastline extraction. Tidal levels at the time of image acquisition varied from -0.89m to 2.87m. Therefore, coastline from another image at a different tidal level in the same year was considered to get the corrected coastline by interpolation technique. A series of points were generated along the coastal line from 1975 image and were established as reference points to see the change in later periods. The changes were measured in Euclidean distances from these reference points. Positive values represented deposition to the sea and negative values are erosion. The result showed that the Red river delta area expanded to the sea 3500m in Red river mouth, and 2873m in Thai Binh river mouth from 1975 to 2009. The erosion process occurred continuously from 1975 up to now with the average magnitude 23.77m/year from 1975 to 1989 and 7.85m/year from 2001 to 2009 in Giao Thuy area. From 1975 to 2009, total 1095.2ha of settlement area was eroded by sea. On the other hand, land expanded to the sea in 4786.24ha of mangrove and 1673.98ha of aquaculture.

연근해 가두리 양식장 모니터링을 위한 센서네트워크 시스템 (Sensor Network System for Littoral Sea Cage Culture Monitoring)

  • 신동현;김창화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5권9호
    • /
    • pp.247-260
    • /
    • 2016
  • 센서네트워크는 스마트홈, 스마트 팩토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센서 데이터 기반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센서네트워크는 그 활용 분야에 따라 시스템 아키텍처, 요구사항, 설계 등이 달라지게 된다. 현재 해양 환경은 지상 환경에 비해 접근하기가 굉장히 어렵고 높은 파고, 안개, 염분 등의 열악한 조건을 가지고 있어 센서네트워크의 응용분야가 굉장히 적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연근해 가두리 양식장 모니터링을 위한 센서네트워크 시스템의 요구사항 분석과 아키텍처를 제안하고 이를 기반으로 연근해 가두리 양식장 모니터링을 위한 시스템을 설계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 설계한 시스템에 대해 실제 개발을 통해 운용하면서 얻은 결과를 제시한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개발한 시스템은 연근해 가두리 양식을 위해 수집한 수중 데이터를 중심으로 양식에 필요한 각종 연관성 분석을 통해 가두리 양식에 적합한 수중 환경조건을 도출하고, 모니터링 및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천리안 위성영상을 이용한 경상남도 남해안해역 적조이동 패턴 분석 (Analysis of Red Tide Movement in the South Sea of Gyeongnam Province Using the GOCI Images of COMS)

  • 김동규;김미송;유환희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65-71
    • /
    • 2015
  • 여름철이 되면 매년 남해안에서 발생되고 있는 적조현상은 양식장을 운영하는 어민들에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으며 이를 방재하기 위한 노력이 다각도로 진행되고 있다. 특히 위성영상을 이용한 적조 모니터링은 발생해역 전반에 걸친 적조발생자료를 취득할 수 있어서 방재 계획수립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천리안 GOCI영상을 이용하여 하루 중 적조의 확산과 감소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결과를 제시하기 위하여 경상남도 남해안 지역을 선정하고 2013년(8월 12일), 2014년(9월 11일) GOCI영상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남해안 해역의 적조발생 패턴은 오전에 거제도 남부해역에서 출현하여 점점 더 확산되다가 오후 1시에 최대가 되고 그 후 서서히 감소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또한 하루 중 적조의 중심 이동은 거제시 남부해역에서 적조가 시작하여 서쪽으로 이동하다가 정오를 기하여 다시 동쪽으로 이동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향후 적조 생물의 특성과 해수유동, 태양 일조량, 그리고 해수온도 등 많은 요인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지만, GOCI 영상을 이용한 적조이동 모니터링은 적조의 확산과 이동을 예측하여 방재하고 관리하는데 매우 중요한 정보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