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ngolian gerbil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31초

Loss of infectivity of Neospora caninum oocysts maintained for a prolonged time

  • Uzeda, Rosangela Soares;Costa, Kattyanne De Souza;Santos, Sara Lima;Pinheiro, Alexandre Moraes;Almeida, Maria Angela Ornelas De;McAllister, Milton M.;Gondim, Luis Fernando Pita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5권4호
    • /
    • pp.295-299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sporulated Neospora caninum oocysts, which had been stored for 46 mo in a 2% sulfuric acid solution at $4^{\circ}C$, remain morphologically viable and infective to gerbils (Meriones unguiculatus). Six gerbils were orally inoculated with doses of 400 or 1,200 oocysts. Two mo after inoculation, the animals did not show any clinical signs, had no histological lesions, and were seronegative for N. caninum at 1:50 in an immunofluorescent antibody test. PCR using the brain from each gerbil did not reveal N. caninum specific DNA. We conclude that oocysts preserved for 46 mo are not infective, despite being morphologically intact.

Helicobacter pylori의 in vivo 연구를 위한 ethanol-pretreating animal model의 개발 (Establishment of ethanol-pretreating animal model to study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 이진욱;김승희;박탄우;김옥진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27-335
    • /
    • 2006
  • A stable and reliable Helicobacter pylori (H. pylori) infection animal model would be necessary for evaluating vaccine efficacy and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pathological mechanism of the organism.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thanol treatment prior to H. pylori inoculation on associated gastric mucosal injury and to establish ethanol-pretreating animal model to study H. pylori infection. Male Mongolian gerbils were used for the study. H. pylori was orally inoculated after 12 h fasting. 3 h prior to H. pylori inoculation, a group of gerbils was orally treated with absolute ethanol, 60% and 40% ethanol respectively. Another group of animals was treated either with H. pylori culture media alone or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ethanol plus culture media. Gerbils were killed 4 or 8 weeks after H. pylori inoculation. The colonization of H. pylori was confirmed by both histological examination and rapid urease test. Mucosal damage was evaluated grossly and histologically according to the criteria. The colonization of H. pylori and pathological changes in gastric mucosa of the animals were also observed. Although no significant change to the gastric mucose was observed in the animals treated either with H. pylori culture media alone or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ethanol plus culture media, persistent H. pylori infection was seen in the mucosa and mucosal leucocyte infiltration and severe epithelial damage was observed in the Helicobacter and ethanol + Helicobacter groups after 4 weeks. The gross and histological scores were higher in the ethanol + Helicobacter than in the Helicobacter alone group. As the results, ethanol-pretreatment with 60% concentration induced severe pathogenic changes by H. pylori infection in 5 weeks-old Mongolian gerbil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ethanol-pretreatment before H. pylori inoculation could increase the severity of gastric mucosal inflammation and enhance the colonization of H. pylori. The established ethanol-pretreating animal model would contribute to screen new drugs against H. pylori and be used as an useful tool for various animal experiments with H. pylori strains.

뇌허혈 손상에 있어서 해마-세포외액내 Glutamate와 Polyamine 농도의 변동에 관한 연구 (Changes of Glutamate and Polyamine Levels of Hippocampal Microdialysates in Response to Occlusion of Both Carotid Arteries in Mongolian Gerbils)

  • 신경호;김형건;최상현;조소현;천연숙;전보권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73-289
    • /
    • 1994
  • 뇌-허혈후 나타나는 신경세포의 손상에 glutamate의 과다한 유리와 그의 N-methyl-D-aspartate (NMDA) 수용체: calcium 통로 활성작용 및 polyamine중 putrescine의 증가로 인한 신경세포내 $[Ca^{2+}]$의 상승과 관련 있다는 보고들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Mongolian gerbil에서 5분간 경동맥을 차단하여 뇌-허혈을 가한후 재관류시 해마의 세포외액내 polyamine, glutamate, acetylcholine농도, 해마의 $[^3H]MK-801$ 결합능의 변동 및 해마조직소견의 변동에 미치는 비가역성 ornithine decarboxylase (ODC) 억제제인 difluoromethylornithine (DFMO), diamine oxidase (DAO) 억제제인 aminoguanidine (AG), NMDA 수용체 길항제인 MK-801 및 calcium 통로 차단제인 nimodipine (NM)의 효과를 비교-검색하였다. 해마 세포외액내 polyamine, glutamate 및 acetylcholine은 microdialysis probe를 해마의 CA1부위에 위치시킨 후 나온 분취액을 HPLC와 lumin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해마조직에서 신경세포의 손상은 cresyl-violet 염색법으로 관찰하였다. 허혈후 해마 세포외액내 putrescine농도는 5분이내에 급속히 증가하여 뇌-허혈후 96시간까지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AG과 MK-801 처치시 saline 처치군에 비하여 증가정도가 상승되었으나 NM과 DFMO 처치로 putrescine의 증가는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해마 세포외액내 glutamate의 농도는 허혈후 5분 이내에 9배이상 유의하게 증가한 후 급격히 감소되어 25분후에는 정상치로 회복되었으나, 이같은 변동은 AG, DFMO 및 MK-801 처치로 영향을 받지 않았고 NM 처치로는 glutamate의 증가가 둔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해마 세포외액내 acetylcholine 농도는 허혈에 의하여 큰변동이 없었으나 허혈전 acetylcholine농도는 DFMO나 MK-801처치로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해마-synaptosome막의 $[^3H]MK-801$ 결합능은 saline 처치군에 비하여 AG과 MK-801 처치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해마의 조직소견상 AG과 NM은 허혈후의 신경세포손상을 억제하고, MK-801은 손상의 예방에 별 영향을 주지 못하였으나 DFMO는 허혈에 의한 신경세포의 손상을 더욱 악화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NM과 다른기전으로 AG은 해마신경세포의 손상을 NMDA-수용체: calcium 통로의 활성화를 조절하여 허혈성 뇌손상을 억제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

일시적 대뇌허혈에 의한 gerbil 해마의 피라밋층에 조직학적 변화 (Histological changes on pyramidal layer of hippocampus following transient cerebral ischemia in gerbils)

  • 양제훈;고필옥;곽수동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67-475
    • /
    • 2001
  • Cardiac arrest, hypoxia, shock or seizure has been known to induce cerebral ischemia.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schemia on hippocampal pyramidal layer induced by transient bilateral occlusion of the common carotid arteries. Mature Mongolian gerbils were sacrificed at days 2, 4, and 7 after carotid occlusion for 10 minutes. Sham-operated gerbils of control group were subjected to the same protocol except for carotid occlusion. During operation for ischemia, body temperature was maintained $37{\pm}0.5^{\circ}C$ in all gerbils. Paraffin-embedded brain tissue blocks were cut into coronal slices and stained with H-E stain or immunostain by TUNEL method. Neurons with the oval and prominent nucleus and without the eosinophilic cytoplasm in the subfield of hippocamapal pyramidal layer were calculated as to be viable neurons. Their chromatins were condensed or clumped. Their nuclei appeared multiangular or irregularly shrinked. The width of the pyramidal layer was reduced due to the loss of nuclei. At day 2 after reperfusion, some neurons in the CA1 subfield were slightly eosinophilic. But most neurons in the CA2 subfield were strongly eosinophilic. At day 4 day, most neurons in the CA1 subfield were severely damaged and at day 7 day, only a few survived neurons were observed. Survived neurons per longitudinal 1mm sector in the CA1, CA2, CA3, and CA4 subfields of pyramidal layer were investigated. At day 2, the mean numbers of pyramidal neurons in CA1, CA2, CA3, and CA4 subfiedls were 104.5/mm (54.3%), 51.0/mm (33.8%), 105.5/mm (85.6%), and 124.3/mm (93.5%) compared to the nonischemic control group, respectively. At day 4, the mean numbers of pyramidal neurons in CA1, CA2, CA3, and CA4 subfields were 3.2/mm (1.7%), 51.5/mm(34.2%), 95.3/mm (77.4%), and 112.5/mm (84.6%), respectively. At day 7, the mean numbers of pyramidal neurons in CA1, CA2, CA3, and CA4 subfiedls were 0.8/mm (0.4%), 5.7/mm(3.8%), 9.8/mm (8.0%), and 5.0/mm (3.7%), respectively. The mean numbers of apoptotic positive neurons in the CA1 subfield at day 2, 4, and 7 after reperfusion were 67.8/mm, 153.2/mm and 123.7/mm,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ransient cerebral ischemia cause severe damages in most neurons at day 7 and that the prosminent apoptotic positive neurons in hippocampal pyramidal layer are the delayed neuronal death induced by ischemia.

  • PDF

Enterotoxigenic Bacteroides fragilis에 의한 질환과 검출 (Enterotoxigenic Bacteroides fragilis-Associated Diseases and Detection)

  • 권선영;장인호;이기종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161-167
    • /
    • 2015
  • 정상인에서 장내세균은 숙주의 면역이나 영양 흡수를 돕지만, 때로는 기회감염균으로서 그들을 위협하기도 한다. 그 중 절대 혐기성 세균인 Bacteroides fragilis는 분비되는 장독소(enterotoxin)인 Bacteroides fragilis toxin (BFT)의 유무에 따라 non-enterotoxigenic B. fragilis (NTBF)와 enterotoxigenic B. fragilis (ETBF)로 나뉜다. ETBF는 가축 및 사람에서 설사 질환 및 대장 질환을 유발한다 그러나 때때로 ETBF를 가지고 있으나 증상이 없는 사람도 존재한다. ETBF는 염증성 설사 질환, 여행자 설사 환자의 대변에서 검출되어 주목 받고 있다. 또한, 몇몇 연구를 통해 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나 대장염 및 대장암 환자에서 ETBF가 증가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일반 C57BL/6 마우스 및 germ-free 마우스, multiple intestinal neoplasia (Min) 마우스, 토끼, Mongolian gerbil 등 여러 동물 모델에서 ETBF가 IBD나 대장염, 대장암을 유발 또는 촉진한다는 것이 발표되었다. ETBF의 유일한 병원성 인자인 BFT는 E-cadherin의 분절을 유도하여 장상피 세포의 투과성을 높인다. 이어서 ${\beta}$-catenin 신호전달계가 활성화하여 장상피세포의 증식이 증가한다. 또한 ETBF의 감염은 일반 마우스에서 급성이나 만성의 대장염을 일으키고 Min 마우스에서 종양 형성을 촉진한다. 이는 Stat3에 의존한 $T_H17$ 면역반응의 활성화를 통해 일어난다. 현재 ETBF의 검출 방법에는 크게 BFT toxin assay와 몇 가지 PCR 방법이 있다. 최근 real-time PCR과 같은 분자진단학적 기법의 발달로 일반적인 PCR보다 더 정확한 ETBF의 검출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것을 이용하여 앞으로 실제 임상에서 ETBF와 대장염 및 대장암의 발달 관계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가 이뤄질 것으로 본다.

Mongolian gerbil의 뇌허혈에 대한 현삼의 신경보호효과 (Neuroprotective Effects of Scrophulariae Radix on Cerebral Ischemia in Mongolian Gerbils)

  • 이준환;송미연;이종수;김성수;신현대;정석희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11
    • /
    • 2008
  • 목적 : 뇌허혈은 일시적 혹은, 영구적 뇌동맥 폐색에 의한 뇌혈류의 감소로 유발되며, 허혈 부위에서는 복잡한 병태 생리적 과정을 통하여 신경 세포사가 초래되어 비가역적인 신경학적 손상을 일으킨다. 본 연구에서는 모래쥐를 대상으로 일시적인 전뇌허혈을 유발 시킨 후 해마 치상회에서 허혈로 인한 세포사멸을 관찰하고, 현삼(玄蔘)의 투여가 허혈로 유발된 해마 치상회에서 세포사멸에 미치는 영향과 단기 기억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실험하였다. 연구방법 : 세포사멸은 DNA 분절을 나타내는 terminal deoxynucleotidyl transferase-mediated dUTP nick end labeling (TUNEL) 염색법과 단백분해 과정의 마지막 단계에 발현되는 caspase-3에 대한 면역조직화학법을 이용하였고, 단기기억은 step-down avoidance task를 실시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 본 실험의 결과 일시적인 전뇌허혈은 해마 치상회의 세포사멸을 유의하게 증가시켰으며 단기기억을 감소시켰다. 현삼의 투여는 허혈로 증가된 해마 치상회의 세포사멸을 유의하게 억제하였고, 허혈로 인한 단기 기억의 감소를 유의하게 억제시켰다. 결론 : 본 실험을 통하여 현삼은 뇌허혈로 증가된 세포사멸을 억제하고 단기 기억을 향상시킴을 알 수 있었고, 따라서 현삼은 뇌허혈로 인한 뇌손상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음을 제시하는 바이다.

Neuroprotective Effect of Citri Pericarpium On Transient Global Ischemia in Gerbils

  • Kim Jiae;Jung Hyuk-Sang;Won Ran;Park Ji-Ho;Kang Chul hun;Sohn Nak-Won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594-601
    • /
    • 2002
  • The current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neuroprotective effects of Citri Pericarpium after transient global ischemia in gerbils. Male Mongolian gerbils weighing 60-80g were anesthetized with 2% isoflurane mixed with 30% oxygen and 70 % nitrogen. Bilateral common carotid arteries were occluded for 5 minute with microaneurysm dips. On 3 or 7 days after ischemic surgery, the gerbils were sacrificed. The brain were removed, embedded in paraffin and sectioned at 8㎛-thickness. Gerbils that received ischemic insult for 5 min showed extensive neuronal damage in the hippocampal CA1 region, and the number of viable neuronal cell was 51.0±2.5/mm, 32.2% of normal group at 7 days after ischemic surgery. In animals that underwent the extract of Citri Pericarpium treatment, the number of viable neuronal cell were significantly better preserved at 110.58±3.58/mm, 72.0% of normal group than those of ischemic group (P<0.01). In the immunohistochemistry of Bax and Bcl-2, the Citri Pericarpium treated group down-regulated the expression of Bax protein at 72hr after transient global ischemia. In contrast, Bcl-2 protein level was not changed. The appearance in TUNEL assay is similar to the pattern of Bax protein. The water extract of Citri Pericarpium significantly reduced the number of TUNEL-positive CA1 pyramidal neurons at 72hr. The results suggest that Citri Pericarpium has potential neuroprotective effects in the transient global ischemia and the increase in the ratio of Bcl-2 to Bax may contribute to the anti-apoptotic effect of Citri Pericarpium.

Ginsenoside Rb2 suppresses the glutamate-mediated oxidative stress and neuronal cell death in HT22 cells

  • Kim, Dong Hoi;Kim, Dae Won;Jung, Bo Hyun;Lee, Jong Hun;Lee, Heesu;Hwang, Gwi Seo;Kang, Ki Sung;Lee, Jae Wook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3권2호
    • /
    • pp.326-334
    • /
    • 2019
  • Background: The objective of our study was to analyze the neuroprotective effects of ginsenoside derivatives Rb1, Rb2, Rc, Rd, Rg1, and Rg3 against glutamate-mediated neurotoxicity in HT22 hippocampal mouse neuron cells. Methods: The neuroprotective effect of ginsenosides were evaluated by measuring cell viability. Protein expressions of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Bcl2, Bax, and apoptosis-inducing factor (AIF) were determined by Western blot analysis. The occurrence of apoptotic and death cells was determined by flow cytometry. Cellular level of $Ca^{2+}$ an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levels were evaluated by image analysis using the fluorescent probes Fluor-3 and 2',7'-dichlorodihydrofluorescein diacetate, respectively. In vivo efficacy of neuroprotection was evaluated using the Mongolian gerbil of ischemic brain injury model. Result: Reduction of cell viability by glutamate (5 mM) was significantly suppressed by treatment with ginsenoside Rb2. Phosphorylation of MAPKs, Bax, and nuclear AIF was gradually increased by treatment with 5 mM of glutamate and decreased by co-treatment with Rb2. The occurrence of apoptotic cells was decreased by treatment with Rb2 ($25.7{\mu}M$). Cellular $Ca^{2+}$ and ROS levels were decreased in the presence of Rb2, and in vivo data indicated that Rb2 treatment (10 mg/kg) significantly diminished the number of degenerated neurons.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Rb2 possesses neuroprotective properties that suppress glutamate-induced neurotoxicity. The molecular mechanism of Rb2 is by suppressing the MAPKs activity and AIF translocation.

모래쥐에서 뇌의 허혈/재관류에 의한 산화성 스트레스 형성과 HSP70의 발현 (Oxidative Stress and HSP70 Expression Upon Cerebral Isehemia-Reperfusion in Mongolian Gerbil)

  • 박영미;김철훈;도윤정;최은미;안영수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35-345
    • /
    • 1996
  • 허혈/재관류 뇌손상에서 활성산소류의 역할이 중요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모래쥐의 총경동맥을 묶었다 풀어줌으로써 실험적 허혈/재관류 손상을 유도하고 산화성 스트레스 발생 유무와 이러한 산화성 스트레스가 세포손상으로 연결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해마는 뇌조직 중에서도 특히 산화성 스트레스에 취약한 부분이므로 해마에서 얻은 조직을 대뇌피질에서 얻은 조직과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이들 부위에서 heat shock protein 70(HSP70)의 발현이 허혈/재관류 손상에 미치는 영향도 검색하고자 하였다. 허혈/재관류에 의한 산화성 스트레스의 지표로써 글루타치온 산화정도, GSSG/(GSH+2xGSSG)를 측정하였을 때 주로 해마에서 산화지표가 상승됨을 관찰하였다. 한편 산화성 스트레스가 세포손상으로 연결되는지를 알아보고자 지질과산화물을 측정하였다. 두 부위 모두에서 지질과산화물 형성의 증가가 있었으며 대뇌피질에서보다 해마에서 더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지질과산화물 형성의 정도나 시간적 변화양상이 글루타치온 산화의 그것들과 유사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허혈/재관류에 의해 산화성 스트레스가 형성되며 동시에 이러한 산화성 스트레스가 세포 손상을 초래함을 보여준다. 또한 산화성 스트레스 및 산화성 세포손상 정도가 대뇌피질보다는 해마에서 더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피질과 해마에서 HSP70의 기초발현(basal level) 정도는 차이가 없었다. 이는 해마의 취약성이 HSP70 발현 결핍에 기인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반면 허혈/재관류에 의한 HSP70의 발현유도는 해마조직에서 제대로 이주어지지 않았고 northern blot결과 이는 전사단계에서의 부친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로 볼 때 허혈/재관류에 의한 뇌손상에서 HSP70 유도정도를 측정하는 것이 세포의 취약성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해삼의 항위염, 항위궤양 및 항헬리코박터 효과 (The Effects of Sea Cucumber as an Anti-gastritis, Anti-gastric Ulcer, and Anti-Helicobater)

  • 오홍근;문대인;김정훈;강영례;박정우;서민영;박상훈;강양규;최충현;박인선;김주;유강렬;설으뜸;김옥진;이학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605-611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SD rat과 Mongolian gerbil에서 실험적으로 HCl-ethanol(150 mM HCl+60% ethanol)을 투여하여 급성 위염을 유발하고, $H.$ $pylori$ 감염시켜 만성 위염, 위궤양을 유발한 후, 건해삼을 투여하여 건해삼에 의한 항위염, 항위궤양 효과 및 $H.$ $pylori$ 감염 경향성 및 치료율을 검토하였던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7주령 SD rats와 $H.$ $pylori$에 감염시킨 7주령 Mogolian gerbils를 정상군(Nor, n=6)과 대조군(Con, 60% HCl-ethanol+증류수(vehicle), n=6)에 비하여 실험군 I(DSD I, 60% HCl-ethanol+건해삼 30 mg/kg, n=6), 실험군 II(DSD II, 60% HCl-ethanol+건해삼 100 mg/kg, n=6), 실험군 III(DSD III, 60% HCl-ethanol+건 해삼 300 mg/kg, n=6)에서는 건해삼 투여 용량에 따른 항위염, 항위궤양 및 항헬리코박터 효과를 육안적 소견, CLO test 및 병리조직학적 검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건해삼이 새로운 위염 및 위손상 치료제와 기능성식품의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