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lybdenite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4초

부유선별법에 의한 제련용 몰리브덴 정광의 회수 (Recovery of Roasting-Molybdenite Concentrate by Froth Flotation)

  • 박철현;전호석;김병곤;한오형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9권12호
    • /
    • pp.661-666
    • /
    • 2009
  • Froth flotation has been carried out in order to produce roasting-molybdenite concentrate from molybdenite ore in the Shin-yeomi mine. In our study, roasting-molybdenite (Mo 0.43%) from Shin-yeomi mine was recovered by varying the conditions of regrinding time, dosage of collector and alkalinity. Liberation and flotation efficiency more were effective at regrinding time of six minutes than at single grinding. Mo recovery curves increased considerably as dosage of kerosene increased, whereas Mo grade curves decreased gradually. The separation efficiency of molybdenite was effective when the dosage of collector (kerosene) was adjusted to 300 g/t. The molybdenite concentrate was agglomerated in the range of pH 5-7 and its separation efficiency increased to pH 9-10. The concentrate of 49.5% Mo grade ($MoS_2$, 82.6%) with 81.5% recovery from Shin-yeomi molybdenite ores was obtained under conditions of 20% pulp concentration, 300 g/t kerosene 325 g/t frother (AF65), 2.5 kg/t depressant ($Na_2SiO_3$), pH 9-10 and four cleaning times. In the future, a trial run that can separate up to 50% Mo grade from Shin-yeomi molybdenite ores will be performed.

저품위(底品位) 휘수연석(煇水鉛石) 정광(精鑛)의 산화배소(酸化焙燒) 특성(特性) (Characterization of the Oxidation Roasting of Low Grade Molybdenite Concentrate)

  • 김병수;이후인;최영윤;김상배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8권5호
    • /
    • pp.19-25
    • /
    • 2009
  • 몰리브덴 산업에서 가장 중요한 광물인 휘수연석($MoS_2$) 정광은 일련의 산화배소정제 공정을 통하여 공업용 산화몰리브덴(technical grade $MoO_3$)으로 제조되어 각종 몰리브덴 화합물의 중요한 원료로서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저품위 휘수연석 정광의 산화배소 특성을 조사하였다. 실험은 0.08 atm~0.21 atm의 산소분압과 793~823 K의 배소은도 범위에서 TGA 장비를 사용하여 수행하였으며, 사용한 휘수연석 정광의 입자크기는 평균 $67\;{\mu}m$ 이다. 실험 결과 산화배소 온도 823 K, 시간 60분에서 95% 이상의 휘수연석이 산화몰리브덴으로 전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Jander 식이 저품위 몽골산 휘수연석 정광의 산화배소 속도 데이터를 분석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산소 분압에 대해서는 0.11 차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몰리브덴광의 광물학적 특성 및 부선 기초연구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and Fundamental Study of Flotation for Molybdenum Ore)

  • 푸레브 오윤빌렉;김현수;박철현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31권6호
    • /
    • pp.73-80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국내 부존 몰리브덴광을 대상으로 광물학적 특성 및 부유선별 기초특성을 파악하였다. 몰리브덴의 근원광물은 휘수연석으로 확인되었으며 원광 내 주요 맥석광물은 규산염광물이었다. 구리, 납 및 아연 등은 극미량으로 나타났다. 부유선별 기초특성 결과, 휘수연석의 제타전위는 pH 전영역에서 음전하를 나타내었다. 휘수연석의 접촉각은 pH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고 최대값은 pH 9에서 74°을 나타내었다. 단위부선의 최적조건에서 정광의 품위와 회수율은 각각 MoS2 82.4%와 92.04%를 나타내었다. 정광내 불순물 조사결과, 정광의 품위를 저하시킬 수 있는 휘수연석과 유사한 특성을 보이는 황화광물, 그리고 휘수연석과 결합된 규산염광물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정광의 품위향상을 위해 재분쇄/단체분리 향상을 통한 규산염광물의 제어와 미립자광물 선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컬럼부선등이 요구된다.

상동(上東) 광상(鑛床) 몰리브덴의 산출(産出) 상태(狀態)에 대(對)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Molybdenum in Scheelite of Sangdong tungsten ore bodies)

  • 문건주;이항재
    • 자원환경지질
    • /
    • 제13권2호
    • /
    • pp.117-127
    • /
    • 1980
  • Molybdenum as by-products of Sangdong tungsten mine occurrs in the form of molybdenite in quartz vein. The molybdenum contents of scheelite in Sangdong ore bodies ranges from trace to 8%, therefore the scheelites show variable fluorescence colores under ultra-violet lamp (short wave). The fluorescence color are in order high content of molybdenum, yellow, white and blue. The yellow fluorescing scheelite is dominant in upper ore vein, otherwise the blue fluorescent variety is dominant in lower ore vein. The fluorescence color of scheelite in the main ore vein show zonal distribution becoming progressively more blue outerwards, contrary more yellow innerwards, and even in single scheelite crystal, simillar zonal pattern is observed, too. Molybdenite occurrs as flakes or elongated blades at the margins of the quartz vein only molybdenite bearing quartz veins but also other sulfides mineral bearing quartz veins have mainly blue flourescing scheelites. We suggest that the molybdenum contents of the early stage ore solution are progressively decreased by a subsequent crystallization of the yellow fluorescing scheelites.

  • PDF

충돌확률 모델에 의한 미립 몰리브덴광의 부유선별 효율 향상 연구 (Investigation on the Enhancement of the Flotation Performance in Fine Molybdenum Particles Based on the Probability of Collision Model)

  • 양지수;유경근;서주범;한성수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33권3호
    • /
    • pp.38-47
    • /
    • 2024
  • 몰리브데나이트는 몰리브덴의 주요 광물자원으로 고유의 소수성 표면으로 인해 부유선별을 통해 회수된다. 한편, 채광되는 몰리브데나이트의 결정크기 및 품위가 낮아지고 있다. 이로 인해, 단체분리에 요구되는 광물 크기가 작아짐으로써, 부유선별에 투입되는 원광 크기 또한 미립화되고 있다. 미립자는 기포와의 충돌확률이 낮아, 부유선별할 때 효율 감소를 유발시킨다. 이에 따라, 몰리브덴 확보를 위해서는 미립 몰리브데나이트에 대한 부유선별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5-30 ㎛의 미립 몰리브데나이트의 부유선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기포크기 축소와 입자응집을 통한 효율 증진으로 접근하였다. 기포-입자 충돌확률을 시뮬레이션과 부유선별 실험을 통해, 미립자의 부유선별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기포크기 및 입자응집체 크기에 대한 범위를 정량적으로 결정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공한 미립 몰리브덴광 부유선별 조건은 향후 몰리브덴 선광 플랜트의 부유선별 공정을 향상시키는 데 활용될 예정이다.

몰리브덴 반암광상: 문헌해설 (Porphyry Molybdenum Deposits: A Literature Review)

  • 박원춘
    • 자원환경지질
    • /
    • 제14권1호
    • /
    • pp.1-25
    • /
    • 1981
  • 본논문은 다음과 같은 사실에 대하여 문헌적으로 검토해본 것이다. (1) 함동 반암계와 함몰리브덴 반암계의 상호관계 ; (2) 몰리브데나이트 침전의 열수환경 ; (3) 몰리브데나이트의 다형의 성인적 중요성 ; (4) 탐사지시자로서 유용한 몰리브데나이트 내의 미량원소의 양상. 함몰리브덴 반암계 (예 : Climax) 와 함동반암계 (예 : Blingham) 사이에는 지질학적인 유사성이 있으며, 두 유형의 광상탐사에도 비슷한 기술이 적용된다. 몇가지 특징은 중석과 주석도 반암계와 유사 한 시스템(즉, 저품위, 대량)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지시해 준다. 지구물리학적으로 뚜렷이 구별되는 저반지역에서의 일련의 반암계가 잘 설명되고 있으며, 이들은 예비탐사를 위한 중요한 목표지점이다. 지화학적 연구로 우라늄은 퇴적환경에서 뿐만 아니라 화성환경에서 종종 몰리브덴 광석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산출된다는 것을 제시해 준다.

  • PDF

몰리브덴 선광광미 응집여과액 재활용을 위한 부유선별 특성 (Flotation for Recycling of a Waste Water Filtered from Molybdenite Tailings)

  • 박철현;전호석;한오형;김병곤;백상호;김학순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35-242
    • /
    • 2010
  • 동원 NMC 선광장의 부유선별 프로세스를 유지하면서 광미여과액을 순환수로 활용하기 위한 pH 조절 연구를 수행하였다. 휘수연석(molybdenite)과 석영의 등전점(IEP)은 각각 pH 3 이하와 pH 2.7이었으며 안정화(분산)된 영역은 pH 5~10이었다. 순환수 현탁액의 경우, 잔류응집제의 의해 휘수연석의 제타전위는 pH 4 이상에서 -10 mV 이하로 감소하였다. pH 조절에 의한 부유선별 결과, 알칼리 영역에서 폴리머 사슬의 신장 및 확장, 칼슘 양이온($Ca^{2+}$)의 가교(ion bridge), 그리고 일부 무극성 폴리머/소수성 입자의 상호작용에 의한 응집 현상으로 부선효율이 급격히 저하되었다. 반면 약산성 영역(pH 5.5~6)은 수소이온에 의해 음이온성 폴리머가 중화되고 고분자 사슬의 기능이 약화됨에 따라 부선효율이 향상되었다. 조선부선 이후 정선부선의 최적조건인 pH 5.5, 포수제(kerosene) 20 g/t, 기포제(AF65) 50 g/t, 억제제($Na_2SiO_3$) 300 g/t, 정선횟수 2회에서 Mo 품위와 회수율이 각각 52.7%와 90.1%인 최종 정광을 얻어 광미여과액을 분쇄-조선-정선 공정에 지속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고품위 몰리브덴 회수를 위한 컬럼부선 요인설계 (Experimental Design of Column Flotation for Recovery of High Grade Molybdenite)

  • 김현수;푸레브 오윤빌렉;박철현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32권6호
    • /
    • pp.34-44
    • /
    • 2023
  • 본 연구에서 고품위 몰리브데나이트 정광회수를 위해 요인설계를 이용한 컬럼부유선별을 수행하였다. 먼저 삼양 마이닝 플랜트의 부유선별 정광의 단체분리 향상을 위해 평균 입도 165, 116, 46.7 및 38.4 ㎛로 각각 재분쇄하였다. 컬럼부선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수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MoS2 품위와 회수율이 각각 98.3 %와 95.28 %인 정광을 얻었다. 또한, 고품위에 영향을 미치는 입도 크기, 세척수 속도 및 억제제에 관한 요인설계 및 실험 데이터를 확보하고 통계분석(SPSS 25) 프로그램을 이용해 회귀분석하였다. 결과로부터, 컬럼부선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와 품위(MG) 및 회수율(MR)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식을 도출하였다. 억제제 농도+세척수 속도 및 입도 크기+억제제 농도+세척수 속도의 요인들은 유의수준(0.05)보다 작아 종속변수인 품위에 뚜렷한 영향을 주고 있으며 회수율 모형의 경우, 입도 크기와 세척수의 요인만이 종속변수인 회수율에 영향을 주었다.

휘수연석(輝水鉛石)의 배소(焙燒) 중 발생한 분경(粉慶)으로부터 NaOH에 의한 Rhenium과 Molybdenum의 침출(浸出) (Leaching behavior of rhenium and molybdenum from molybdenite roasting dust in NaOH solutions)

  • 김영욱;강진구;손정수;조봉규;신선명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8권5호
    • /
    • pp.37-43
    • /
    • 2009
  • 휘수연석으로부터 몰리브덴을 생산하는 과정 중 부산물로서 산출되는 레늄은 고강도, 고효을 부품을 만들기 위한 원료로 사용되며, 최근 첨단 산업에서 레늄의 수요가 급격히 상승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휘수연석 정광을 배소할 때 발생된 분진을 대상으로, NaOH 농도, 침출온도, 반응시간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여 레늄 및 몰리브덴의 침출거동을 조사하였다. NaOH $4\;mol{\cdot}L^{-1}$, 고액비 $100\;g{\cdot}L^{-1}$, 온도 $80^{\circ}C$, 교반속도 250 rpm, 반응시간 2시간의 침출조건에서 레늄 및 몰리브덴의 침출율은 각각 86.1%, 88.6%였다.

NaClO3를 함유한 염산용액으로 몰리브데나이트광의 침출 (Leaching of Molybdenite by Hydrochloric Acid Solution Containing Sodium Chlorate)

  • ;;이만승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31권5호
    • /
    • pp.26-33
    • /
    • 2022
  • 몰리브덴은 소재로 널리 사용되므로 광석 또는 2차자원으로부터 회수가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몰리브데나이트광으로부터 산화제로 NaClO3를 함유한 염산용액에 의한 몰리브데나이트광의 침출에 대해 조사했다. 염산 및 NaClO3의 농도, 반응 온도 및 시간과 광액밀도가 광석의 침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산화력이 센 강산용액에서 황화광은 황산이온으로 산화되면서 용해되어 칼슘이온과 gypsum을 형성하여 몰리브덴(VI)의 침출률을 감소시켰다. 최적조건(2.0 M HCl, 0.5 M NaClO3, 광액밀도 5 g/L, 90, 60분)에서 몰리브덴, 철, 칼슘 및 실리케이트의 침출률은 각각 90, 38, 29 및 67%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