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dified protein

검색결과 693건 처리시간 0.054초

신경세사 단백질의 산화적 손상에 엄나무 발효물이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rmented Kalopanax pictus on oxidative damage of neurofilament protein)

  • 강정훈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94-204
    • /
    • 2018
  • 본 연구는 신경퇴행성질환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neurofilament-L(NF-L)의 산화적 손상에 엄나무 발효물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용액 상에서 peroxyl radical을 생성하는 AAPH를 처리하여 NFL의 산화적 변형을 유도하고 엄나무 추출물(KP),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 추출물(HE), 엄나무 발효물(KP-HE)을 각각 처리하여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KP와 HE는 peroxyl radical에 의한 NF-L의 산화적 손상을 막지 못했으나 KP-HE는 NF-L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KP-HE는 peroxyl radical에 의한 NF-L 변형에서 나타나는 dityrosine 형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고 peroxyl radical 소거활성도 증가시켰다. 파킨슨병 환자에서 발견되는 신경독성물질인 tetrahydropapaveroline(THP)에 의한 NFL의 변형에 KP, HE, KP-HE가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KP-HE는 KP와 HE에 비해서 THP에 의한 NF-L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KP-HE는 THP에 의한 NF-L 변형에서 나타나는 dityrosine 형성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고 THP에 의해 유도되는 활성산소 생성도 현저히 감소시켰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KP-HE가 활성산소와 신경독성물질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세포를 보호해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그러므로 엄나무 발효물은 신경퇴행성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식품소재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비정형 가와사키병의 임상 양상 (Clinical Features of Atypical Kawasaki Disease)

  • 허미영;최수정;김혜순;손세정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3호
    • /
    • pp.376-382
    • /
    • 2002
  • 목 적 : 최근에 고전적인 진단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비정형 가와사키병에 대한 보고가 증가하고 있어 이의 조기 진단 및 치료를 위한 진단 기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방 법: 1998년 1월부터 2000년 6월까지 가와사키 병으로 진단 받은 환아 총 167명을 대상으로 비정형 가와사키병의 임상적 특징을 전형적 가와사키병과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1) 총 환아 167명 중 비정형 가와사키병은 28명(16.8%)이었고, 1세 미만 환아의 비율은 25.0%로 전형적 가와사키병에서의 16.5% 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P=NS). 2) 전형군과 비정형군 간에 임상 증상의 발생 빈도를 비교하면 구강 점막 변화를 제외하고 안구 결막의 충혈, 부정형 발진, 사지 말단의 변화, 경부 림프절 종대는 비정형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비정형군의 임상 증상 중에서 구강 점막 변화가 제일 흔하며(96.4%), 다음으로 안구 결막 충혈(57.1%), 부정형 발진(46.4%)의 순이었다. 급성기의 검사 소견은 대부분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적혈구 용적 <35%, ESR >30mm/hr, CRP >3.1 mg/dL의 빈도는 두 군에서 모두 높았다. 3) 관상동맥 병변은 비정형군에서는 28명 중 7명(25.0%), 전형군에서는 139명 중 20명(14.4%)에서 발생하여 비정형군에서 빈도가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P=NS). 4) 관상동맥 병변이 있는 환아 총 27명 중에서 7명(25.9%)이 비정형 가와사키병 환아였다. 5) 구강 점막 변화를 주기준, 안구 결막 충혈, 부정형 발진 및 적혈구 용적 <35%, ESR >30 mm/hr 또는 CRP >3.1 mg/dL을 부기준으로 할 때 발열과 주 기준 그리고 2개 이상의 부기준이 있을 때, 또는 발열과 4개의 부기준이 있을 때를 비정형 가와사키병의 진단 기준으로 정할 때 민감도는 89.3%였다. 결 론 : 비정형 가와사키병의 조기 진단을 위해 본 연구에서 제안한 진단 기준이 도움이 되리라고 생각된다.

12주 중재프로그램이 직장인의 심혈관질환 위험요인, 아디포사이토카인과 영양소 섭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12-Weeks Intensive Intervention Program on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dipocytokines and Nutrients Intakes in Industrial Male Workers)

  • 문기은;박일근;조연상;장윤균;백윤미;최태인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4권4호
    • /
    • pp.292-302
    • /
    • 2011
  • 본 연구는 직장인 남성 근로자를 대상으로 12주 심혈관질환예방 중재프로그램이 신체계측, 혈중지질 및 아디포사이토카인, 영양소 섭취상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성인 남성 157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중재프로그램 전과 후를 비교 분석한 결과, 체중감량, 혈중지질 농도 및 인슐린 저항성 개선과 아디포사이토카인의 농도가 개선 되는 등 심혈관질환 위험 인자에 바람직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디포넥틴은 HDL-콜레스테롤, HOMA-IR과 연관성을 보였고, 렙틴은 허리둘레, 레지스틴은 HDL-콜레스테롤, HbA1c, 열량섭취와 연관성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에서처럼 12주 심혈관질환 예방 중재프로그램 수행 후에, 신체계측, 혈중 지질 농도 및 아디포사이토카인 농도가 효과적으로 개선됨을 알 수 있었고, 심혈관질환 위험 인자와 아디포사이토카인과의 연관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향후에는 직장인 남성 근로자를 대상으로 심혈관질환 예방을 위한 전향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사람 치은섬유세포와 치주인대섬유모세포에서 Periostin과 S100A2-, S100A4-칼슘결합단백 mRNA의 발현 (Expression of Periostin and S100A2 - S100A4 - Calcium Binding Proteins mRNA in Human Gingival Fibroblasts and Periodontal Ligament Fibroblasts)

  • 김병옥;한경윤;최용선;김세훈;박병기;김흥중;박주철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1권1호
    • /
    • pp.109-122
    • /
    • 2001
  • Gingival fibroblasts(GF) and periodontal ligament fibroblasts(PDLF) are the major cellular components of periodontal soft connective tissues, but the precise molecular biological differences between these cells are not yet known.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expression of S100A4, S100A2 calcium-binding protein and osteoblast-specific factor 2(OSF-2, Periostin) mRNA in GF and PDLF in vitro through the process of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RT-PCR) and Northern blot analysis in each. Human GF and PDLF were isolated from the gingival connective tissue and the middle third of freshly extracted healthy third molars. They were cultured in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DMEM) containing 10% fetal bovine serum and cells in the third passage were used in the experiments. After extracting total RNA from cultured cells, RT-PCR and Norther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100A4-, S100A2- and Periostin-specific oligonucleotide primers and subcloned cDNA probes in each. In PT-PCR and Northern analysis, the expression of S100A4 and Periostin mRNA in GF was slightly detectable. Interestingly, the expression of S100A4 and periostin mRNA in PDLF was much higher than that in GF. On the other hand, S100A2 mPNA was highly expressed in both GF and PDLF. Since there was a marked difference of S100A4 and Periostin expression between GF and PDLF in vitro, these data suggest that S100A4 and periostin could be used as a useful marker for distinguishing cultured gingival fibroblasts and periodontal ligament cells.

  • PDF

Streptococcus pneumoniae가 생산하는 pneumolysin의 EGFP 융합으로 인한 용혈활성 변화 (C-terminal Fusion of EGFP to Pneumolysin from Streptococcus pneumoniae modified its Hemolytic Activity)

  • 정경태;이재헌;조혜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99-104
    • /
    • 2018
  • Streptococcus pneumoniae는 pneumolysin과 같은 병원성 인자를 가지고 있으며, 지역사회에서 전파되는 심각한 병원성균에 포함된다. Pneumolysin (PLY)은 콜레스테롤 의존적으로 세포막에 구멍을 형성하는 세포독소로서 백신의 주요한 표적 항원이다. PLY의 연구를 위하여 Streptococcus pneumoniae D39 균주에서 추출한 genomic DNA를 주형으로 하여 PCR을 시행하였다. 합성된 PLY 유전자 DNA를 pQE-30 vector에 삽입하고, E. coli M15에 형질전환 시킨 후 LB 배지에 IPTG를 첨가하여 PLY 단백질을 생산하였다. 재조합 단백질은 $Ni^{2+}$-agarose column을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또한, EGFP를 PLY C-말단에 부착한 융합단백질도 동일한 방법으로 클로닝하여 재조합 단백질을 생산하였다. 500 ng/ml 농도의 재조합 PLY는 1.0% 적혈구 현탁액을 100% 용혈시켰으며, 240 ng/ml 농도는 50% 용혈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재조합 PLY-EGFP는 용혈 활성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으나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하였을 때 적혈구 막에 결합되어 있었다. 즉, EGFP의 PLY C-말단 부착은 PLY의 세포막 결합능은 유지시켰으나 용혈기능은 방해하였다. PLY C-말단은 용혈기능에 아주 중요한 영역이며, 세포막 결합은 PLY의 다른 영역이 보다 중요하게 작용할 것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육안으로 관찰이 가능한 결합능은 가졌으나 용혈 기능이 결여된 PLY-EGFP를 대조군으로 활용함으로써 두 재조합 단백질은 폐렴 유발에 있어서 PLY 작용 연구에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duction of Angiogenesis by Matrigel Coating of VEGF-Loaded PEG/PCL-Based Hydrogel Scaffolds for hBMSC Transplantation

  • Jung, Yeon Joo;Kim, Kyung-Chul;Heo, Jun-Young;Jing, Kaipeng;Lee, Kyung Eun;Hwang, Jun Seok;Lim, Kyu;Jo, Deog-Yeon;Ahn, Jae Pyoung;Kim, Jin-Man;Huh, Kang Moo;Park, Jong-Il
    • Molecules and Cells
    • /
    • 제38권7호
    • /
    • pp.663-668
    • /
    • 2015
  • hBMSCs are multipotent cells that are useful for tissue regeneration to treat degenerative diseases and others for their differentiation ability into chondrocytes, osteoblasts, adipocytes, hepatocytes and neuronal cells. In this study, biodegradable elastic hydrogels consisting of hydrophilic poly(ethylene glycol) (PEG) and hydrophobic poly(${\varepsilon}$-caprolactone) (PCL) scaffolds were evaluated for tissue engineering because of its biocompatibility and the ability to control the release of bioactive peptides. The primary cultured cells from human bone marrow are confirmed as hBMSC by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Mesenchymal stem cell markers (collagen type I, fibronectin, CD54, $integrin1{\beta}$, and Hu protein) were shown to be positive, while hematopoietic stem cell markers (CD14 and CD45) were shown to be negative. Three different hydrogel scaffolds with different block compositions (PEG:PCL=6:14 and 14:6 by weight) were fabricated using the salt leaching method. The hBMSCs were expanded, seeded on the scaffolds, and cultured up to 8 days under static conditions in Iscove's Modified Dulbecco's Media (IMDM). The growth of MSCs cultured on the hydrogel with PEG/PCL= 6/14 was faster than that of the others. In addition, the morphology of MSCs seemed to be normal and no cytotoxicity was found. The coating of the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containing scaffold with Matrigel slowed down the release of VEGF in vitro and promoted the angiogenesis when transplanted into BALB/c nude mi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hBMSCs can be supported by a biode gradable hydrogel scaffold for effective cell growth, and enhance the angiogenesis by Matrigel coating.

MC3T3-E1세포의 ALP activity에 대한 IGF-I의 영향 (The Effect of IGF-1 on ALP Activity of MC3T3-E1 Cell)

  • 이후정;이재목;최병주;유현모;서조영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7권4호
    • /
    • pp.669-684
    • /
    • 1997
  • Polypeptide growth factors belong to a class of potent biologic mediators which regulate cell differentiation, proliferation, migration and metabolism. IGF-I is polypeptides secreted by skeletal cells and is considered as regulators of bone form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IGF-I on bone nodule formation and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of MC3T3-E1 cells. MC3T3-E1 cells were seeded at $1{\times}10^4$ cells/well, $1{\times}10^5$ cells/well in alpha-modified Eagle medium containing 10% fetal bovine serum, 10 mM ${\beta}-glycerophosphate$ and $5O{\mu}g/ml$ of ascorbic acid. Before 48 hours of indicated time, medium were changed with serum free medium. After 24 hours, 0.1, 1, 10 ng/ml IGF-I were added to the cells and cultured for 3, 7, 14, 21, 28 days. And histochemical analysis was done and ALP activity was measured and was expressed as nmol/min/mg of protein. The bone nodule formation in MC3T3-E1 cells of IGF-I was seen at 21, 28 days, but there were no difference between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s. The ALP activity decreased when it is compare to control 2 group except for 1 ng/ml, 10 ng/ml IGF-I of 21-day-groups and 1 ng/ml IGF-I of 28-day-groups. Dose response effects of IGF-I of ALP activity in MC3T3-E1 cells were seen the highest ALP activity at 1ng/ml until 21days and the highest ALP activity at 10 ng/ml of 28 daygroups. The peak times were seen at 7-day group, 14-day group on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respectively, and 1 ng/ml group was the highest ALP activity, From the above results, IGF-I was not seen notable effect on bone nodule formation and decreased ALP activity of MC3T3-E1 cells but the use of IGF-I to mediate biological stimulation of MC3T3-E1 cells shows promise for future therapeutic application.

  • PDF

대장균에서 증식속도 조절에 의한 수용성 재조합 인간 과립구 콜로니 촉진인자의 생산 (Production of Soluble Recombinant Human Granulocyte Colony Stimulating Factor in E. coli by Control of Growth Rate.)

  • 박세철;고인영;강희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35-141
    • /
    • 2004
  • 인간 과립구 성장인자(hG-CSF)는 골수에서 생산되는 단백질로 호중구의 분화 및 생성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현재 재조합 hG-CSF는 암화학요법에 의한 호중구감소증, 골수이식시 호중구 감소증, 재생불량성 빈혈에 수반되는 호중구 감소증 등으로 적응증이 확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OmpA signal sequence를 삽입하여 인간 과립구 성장인자(hG-CSF)가 분비발현되도록 고안된 T7 promoter 에 의하여 발현되는 pYRCl 발현백터를 제조하였다. E. coli BL2l (pYRCl) 발현시 $37^{\circ}C$에서 배양하는 경우 많은 양의 봉입체(aggregates)를 형성한다. 이에 비하여 $10\mu$M ucose를 포함하는 변형된 MBL배지에서 10 g/$\ell$IPTG를 유도물질로 7시간동안 $25^{\circ}C$에서 배양하였을 때 전체 periplasm단백질의 15%가 soluble rhG-CSF이었다. 또한, 유가식 배양방법을 사용하여 E. coli BL2l(pYRCl)에서 soluble rhG-CSF의 생산조건을 조사하였다. 유가식 배양에서 rhG-CSF의 발현량이 비증식속도를 $0.43 h^{-1}$ 에서 0.14 $h^{-1}$ 으로, 유도 배양시간을 최적화함으로써 rhG-CSF의 발현량이 4.4mg/$\ell$에서 24mg/$\ell$ 로 증가하였다.

Bacillus sp.유래 ${\beta}-mannanase$에 의한 $Gal^3Man_4(6^3-mono-{\alpha}-D-galacto-pyranosyl-{\beta}-mannotetraose)$ 조제 및 장내세균에 대한 생육활성 (Preparation of $Gal^3Man_4(6^3-mono-{\alpha}-D-galacto-pyranosyl-{\beta}-mannotetraose)$ by Bacillus sp. ${\beta}-mannanase$ and Growth Activity to Intestinal Bacteria)

  • 김상우;박귀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7권4호
    • /
    • pp.379-383
    • /
    • 2004
  • Bacillus sp. 유래 ${\beta}-mannanase$의 brown copra meal에 대한 기질 특이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정제효소 150 ml를 0.5% 기질에 $50^{\circ}C$, 24 hrs 가수분해후 TLC, FACE로 비교 검토한 결과 2종류의 galactosyl mannooligosaccharide로 구성되어 1차 activated carbon column chromatography을 이용해 250 ml/hr 유속으로 tube당 50ml씩 ethanol $0{\sim}30%$ linear gradient로 당을 분리하였다. Activated carbon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한 당용액 0.2 ml와 5% phenol 0.2 ml를 가하여 혼합 후 $Conc.H_2SO_4$ 1 ml를 가하여 혼합한 후 20분간 방치하여 490 nm로 흡광도를 측정하여 TLC로 pattern을 검토한 후 $Gal^3Man_4$ 및 DP 7의 galactosyl manooligosaccharide의 fraction을 회수하여 2차 activated carbon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해 1차와 동일한 조전에서 분리 회수하여 중합도 5는 $Gal^3Man_4(63-mono-{\alpha}-D-galactopyranosyl-{\beta}-mannotetraose)$로 동정되었고, 중합도 7은 현재 동정중에 있다. Bifidobacterium속 균주(B. longum, B. bifidum)에 대한 생육활성을 비교 검토하기 위하여 MRS media에서 탄소원을 dextrose대신에 조제된 $Gal^3Man_4$를 첨가후 측정한 결과 $Gal^3Man_4$이 첨가되지 않은 MRS broth에 비해 생육촉진 활성을 보였다. 특히 B. longum에 대해서는 $Gal^3Man_4$를 dextrose대체 탄소원으로 처리시 10배의 생육활성이 증가하였다.

Cloning of Farm Animals in Japan; The Present and the Future

  • Shioya, Yasuo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1년도 발생공학 국제심포지움 및 학술대회 발표자료집
    • /
    • pp.37-43
    • /
    • 2001
  • 1. About fifty thousand of cattle embryos were transferred and 16000 ET-calves were born in 1999. Eighty percents of embryos were collected from Japanese Black beef donors and transferred to dairy Holstein heifers and cows. Since 1985, we have achieved in bovine in vitro fertilization using immature oocytes Collected from ovaries of slaughterhouse. Now over 8000 embryos fertilized by Japanese Black bull, as Kitaguni 7 -8 or Mitsufuku, famousbulls as high marbling score of progeny tests were sold to dairy farmers and transferred to their dairy cattle every year. 2. Embryo splitting for identical twins is demonstrated an useful tool to supply a bull for semen collection and a steer for beef performance test. According to the data of Dr.Hashiyada (2001), 296 pairs of split-half-embryos were transferred to recipients and 98 gave births of 112 calves (23 pairs of identical twins and 66 singletons). 3. A blastomere-nuclear-transferred cloned calf was born in 1990 by a joint research with Drs.Tsunoda,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Industry (NIAI) and Ushijima, Chiba Prefectural Farm Animal Center. The fruits of this technology were applied to the production of a calf from a cell of long-term-cultured inner cell mass (1998, Itoh et al, ZEN-NOH Central Research Institute for Feed and Livestock) and a cloned calf from three-successive-cloning (1997, Tsunoda et al.). According to the survey of MAFF of Japan, over 500 calves were born until this year and a half of them were already brought to the market for beef. 4. After the report of "Dolly", in February 1997, the first somatic cell clone female calves were born in July 1998 as the fruits of the joint research organized by Dr. Tsunoda in Kinki University (Kato et al, 2000). The male calves were born in August and September 1998 by the collaboration with NIAI and Kagoshima Prefecture. Then 244 calves, four pigs and a kid of goat were now born in 36 institutes of Japan. 5. Somatic cell cloning in farm animal production will bring us an effective reproductive method of elite-dairy- cows, super-cows and excellent bulls. The effect of making copy farm animal is also related to the reservation of genetic resources and re-creation of a male bull from a castrated steer of excellent marbling beef. Cloning of genetically modified animals is most promising to making pig organs transplant to people and providing protein drugs in milk of pig, goat and cattl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