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dified atmosphere

검색결과 358건 처리시간 0.022초

환경가스조절 저장방법을 이용한 느타리버섯과 표고버섯의 유통기간 연장 (Modified Atmosphere Storage for Extending Shelf Life of Oyster Mushroom and Shiitake)

  • 한대석;안병학;신현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76-381
    • /
    • 1992
  • 버섯의 유통기간을 연장하기 위한 방법으로 환경가스조절(modified atmosphere, MA) 저장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표고버섯과 느타리버섯을 두께가 $50\;{\mu}m$인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포장한 후 $0.5^{\circ}C$에서 저장하였다. 재래식 골판지 상자에 4kg씩 포장된 대조구 버섯은 수분증발, 외관수축, 변색 및 균사발생으로 인하여 유통기간이 $5{\sim}6$일에 불과하였다. MA 저장구의 버섯은 저장 4주 후에도 중량감소가 $1.6{\sim}1.7%$로 낮아 갓 안쪽 주름의 변형이 없었고 갓이 퍼지지도 않았으며 변색도 거의 없었는데 이는 포장내 습도가 포화상태로 유지되고 포장내 산소가 $1.0{\sim}1.3%$, 이산화탄소가 10% 이상으로 유지되어 버섯의 호흡이 억제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MA 저장 느타리버섯은 조직연화가 품질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었으며 이를 기준으로 판단한 유통기간은 15일 정도였으며 MA 저장 표고버섯은 갓의 황변이 품질저하의 가장 중요한 요인이었으며 이를 기준으로 판단한 동고의 유통기간은 15일, 화고의 유통기간은 30일 이상이었다.

  • PDF

공기 조절 포장과 전자선 조사의 병용이 분쇄돈육의 저장 중 산화와 미생물적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Combination Effect of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and Electron Beam Irradiation on the Oxidative and Microbiological Stability of Ground Pork during Storage)

  • Whang, Key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22-329
    • /
    • 2002
  • 분쇄 돈육을 $N_2$$CO_2$ 가스로 공기 조절 포장한 후 전자선으로 조사하여(0, 1.5, 3.0 kGy) 돈육을 저장하면서 미생물의 변화와 함께 공기 조절 포장이 전자선 처리에 의한 지방 산화를 억제하는지 관찰하였다. 분쇄 돈육은 공기 조절 포장과 전자선 처리(1.5와 3.0 kGy)후 4$^{\circ}C$에서 6일간 그리고 -15$^{\circ}C$ 에서 3달 동안 저장하면서 주기적으로 미생물 검사와 지방의 산패치를 측정하였다. 일반세균과 중온균의 경우 1.5와 3.0 kGy의 전자선 조사량으로 처리하였을 경우 대조구에 비해 그 증식이 현저히 억제되었음을 관찰하였다. 질소와 이산화탄소를 주입한 포장은 그 자체로도 대조구와 비교하였을 때 저장 중 지방의 산화를 억제하는 데에 큰 효과가 있었으며 또한 공기 조절 포장과 전자선 처리의 병용은 저장 중 분쇄 돈육의 미생물 증식과 지방의 산화를 억제하는데 효과적이었다.

2006년 광릉 활엽수림에서 순 생태계 탄소 교환량의 모의에 대한 modified Soil-Plant-Atmosphere (mSPA) 모델의 평가 (Evaluation of Modified Soil-Plant-Atmosphere Model (mSPA) to Simulate Net Ecosystem Carbon Exchange Over a Deciduous Forest at Gwangneung in 2006)

  • 이영희;임희정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87-99
    • /
    • 2009
  • 2006년 광릉 활엽수림지역에서 관측된 자료를 활용하여 수정된 토양-식생-대기 모델을 보정하고 연간 순생태 교환량의 계절변동성에 대한 모델의 모의 능력을 평가하고 탄소교환을 조절하는 주요 인자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수정된 토양-식생-대기 모델(mSPA model)을 1000 LST부터 1400 LST까지 관측된 낮 시간의 평균 순 생태 교환량(Net ecosystem exchange)을 모의하도록 보정한 후 총 일차 생산량(Gross primary productivity)을 계산하는데 사용하였고 생태 호흡량(Ecosystem respiration)은 관측지에서 개발된 경험식을 사용하여 추정하였다. 모델 결과는 여름철에 낮 시간의 평균 기공 전도도는 일사량과 매우 높은 상관성이 있음을 나타내었고 수증기 포차는 기공전도도의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음을 보였다. 모델은 성장기간에 두 개의 극대값을 갖는 관측된 순 생태교환량의 계절 변동성을 모의하였다. 모델에서 계산된 연간 총 생산량과 생태호흡량, 그리고 순 생태 교환량은 각각 $964gC\;m^{-2}\;yr^{-1}$, $733gC\;m^{-2}\;yr^{-1}$ 그리고 $-231gCm\;^{-2}\;yr^{-1}$이었다. 관측값에 기반하여 산정된 연구결과와 비교할 때 모델 추정값이 약 $140gC\;m^{-2}\;yr^{-1}$ 더 많은 탄소 흡수를 보였다. 복잡한 지형에서 연간 생태 교환량 추정의 불확실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PA와 LLDPE 필름을 이용한 딸기 저장용 Modified Atmosphere Pallet Packaging 연구 (Effect of Pallet Size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Using Polyamide Film and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Film on the Shelf Life of Strawberries)

  • 김진세;정현경;남소영;손재용;박석호;최동수;김용훈;이수장;박천완
    • 산업식품공학
    • /
    • 제23권1호
    • /
    • pp.55-61
    • /
    • 2019
  • 딸기에 대해 pallet 상부와 하부는 PA 필름으로, 측면은 LLDPE 필름으로 MAP 처리를 할 경우 포장 내부의 온습도 편차를 줄이며, 산소 농도 3-6%, 이산화탄소 농도 15-25%로 안정화하여 감모율이 향상되고, 곰팡이 발생률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경도향상과 이취를 고려하였을 때 적정 이산화탄소 농도는 15-20%이며, 이러한 높은 이산화탄소 농도는 경도를 21-40% 수준으로 높이는데 영향을 준것으로 판단된다. 대조구의 경우 60% 숙도 딸기의 경도가 80% 숙도에 비해 높았으나, MAP 처리구의 경우 12일차를 제외하고 60%와 80% 숙도의 경도는 통계적인 차이 없이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MAP 처리 시 80% 숙도는 60% 숙도에 비해 감모율, 곰팡이 및 경도 차이 없이 0.7-2.4 °Brix 높은 당도가 유지되었다. 따라서, pallet MAP를 사용할 경우 동남아시아 국가로 선박 수출하기 위한 14일 동안의 선도유지가 가능하고, 80% 이상의 높은 숙도로 딸기를 수출하여 품질 경쟁력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식품, 신선편이 농산물용 저장기간 연장 포장 소재 특성 및 평가 (Characterization of Shelf Life Extension Packaging Material for Food and Fresh Cut Agricultural Product: A Review)

  • 이진규;유지예;김미경;유영선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19-125
    • /
    • 2016
  • 신선편이 농산물은 소비자에게 편이성을 제공하면서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나 가공과정 중 절단, 박피 등의 물리적인 변화로 인하여 쉽게 품질이 변하거나 미생물 증식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신선편이 농산물의 저장성 및 안정성 향상을 목적으로 필름이나 용기 형태의 기능성 포장재를 개발하고자 하는 노력이 지속되고 있으며, 아울러 저장기간 연장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저장기간에 영향을 주는 항균, 원적외선, 통기성, 방담, 미약전류, 에틸렌가스 흡착 또는 분해, MA (Modified Atmosphere) 또는 CA (Controlled Atmosphere)와 같은 기체 조성 변화 등을 통해 저장기간을 연장시키는 방법이 주목받고 있는데, 한 가지에 의해서가 아니라 여러 가지 복합적인 요인들이 작용하여 저장기간을 연장시키는 방법이 효과적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보다 효과적으로 신선편이 농산물, 식품 등의 저장기간을 연장시키기 위해 발표된 문헌자료를 토대로 저장기간 연장 포장법, 저장기간 연장 포장소재, 종합적인 평가 방법 등을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신선 농산물의 마스터 포장 시스템 (Master Packaging System of Fresh Produce)

  • 이동선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6
    • /
    • 2014
  • 신선 농산물의 필름포장은 적정의 저온저장 시에는 적정 변형기체조건 유지로 품질유지가 양호하나,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판매유통단계에서는 적정조건의 유지가 어려워 품질손실이 발생한다. 저온저장과 판매유통단계에서 농산물 주위에 적정 변형기체(modified atmosphere, MA)조성을 유지하는 개별(1차)포장/2차 포장의 결합 및 해체 개념을 설계한 마스터 포장 시스템이 최근에 제안되고, 단감, 큰느타리 버섯, 밤, 딸기에 대해서 적용된 바 있다. 온도에 따라 다른 농산물의 호흡과 포장의 기체이동 현상의 상호관계를 이용한 마스터 포장 시스템의 개념을 체계화하고, 적정 MA 유지를 위한 설계변수의 조합을 살펴보았다. 바람직한 포장기체조성을 형성 유지할 수 있는 마스터 포장 시스템의 설계를 위한 수학적 모델이 제시되었다. 아울러 마스터 포장 시스템의 이점과 함께 적용을 위한 한계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마스터 포장 시스템의 적용 확대를 위한 미래의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MA 포장기법에 의한 참외의 신선도 유지 (Extending shelf-life of Oriental Melon(Cucumis melo L.) by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 박종대;홍석인;박형우;김동만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481-490
    • /
    • 2000
  • 여름철에 생산되는 '금싸라기' 품종 참외의 기존 유통조건을 고려하여 $20^{\circ}C$에 저장하면서 기능성 MA 포장기법의 적용효과를 확인하였다. 필름 포장내의 $O_2$$CO_2$ 함량은 포장 후 1일 후까지 급격히 변하였고, 에틸렌 함량도 밀봉 직후 급격히 증가하여 $40{\mu}m$ 두께의 LDPE 필름 포장구(40LD)가 65.5ppm까지 증가하였다. 저장 중 품질변화 측정에서 대조구의 중량손실은 저장 10일 후 7.68%였으나 포장구는 $20{\mu}m$ 두께의 기능성 소재처리 포장구(20CK)를 제외하고 1.0%이하의 수준이었다. 가용성고형분, pH, 산도 등에서는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경도는 저장 3일 후 $40{\mu}m$ 두께의 기능성 소재처리 포장구(40CK)와 $40{\mu}m$ 두께의 에틸렌흡착제 첨가 포장구(40LP)가 높게 유지되었다. 저장 중 과피색 변화는 대조구가 저장초기부터 급격하였으며, 40CK가 가장 완만한 색변화를 보였다. 혐기호흡으로 생성되는 아세트알데히드와 에탄올은 $40{\mu}m$ 필름 처리구에서 높았으며, 20CK는 필름의 높은 투과율로 인하여 낮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외관 및 관능적 품질에서 대조구과 포장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었으며, 특히 40CK는 전반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아서 상품성 유지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볼때 여름철 참외의 유통을 위한 포장처리구중 40CK 포장구가 상품성이 높게 유지되어 단기간 상온유통용 포장방법으로 적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되었다.

  • PDF

Modified PZT계 초전형 적외선 센서개발 (Modified PZT System for Pyroelectric IR Sensor)

  • 황학인;박준식;오근호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3권8호
    • /
    • pp.863-870
    • /
    • 1996
  • Fabricated modified PZT system for pyroelectric IR sensor were analyzed and characterized for dielectric piezoelectric and pyroelectric properties. Particle size and distribution of source powders were controlled by attrition milling process. 0.05PSS+yPT+(0.95-y)PZ+0.4 wt%MnO2 system was fabricated and investigated sintering density crystal structure and micro-structure through sintering conditions sintering temperature and sintering atmosphere. The poled sintered system of y=0.11 showed the lowest dielectric constant. The dielectric constants w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y-mole ratio. The pyroelectric properties of modified PZT systems which were assembled to TO-5 package were measured by IR measurement system average out-voltage of 0.05PSS+0.1PT+0.84PZ+ wt%MnO2 was 3V.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