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dern-oriented pattern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1초

현대 패션의 미래적 이미지에 관한 연구 (Study on Image of Future in Modern Fashion)

  • 김예형;조정미
    • 복식
    • /
    • 제53권1호
    • /
    • pp.35-48
    • /
    • 2003
  • The primary goal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future image of modern fashion. By review of many references, this study has examined predictable future in common, various researches on future, and futurism that appeared from art history. This study has also identified the trend of future image and the properties of the image in terms of fashion as wel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fined as future image of modern fashion. First of all. through a large literature, this study is to examine general future and the study of future, to investigate futurism appears from art history. and to identify the trend of future image and the properties of the image in terms of fashi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include : 1) General future means forthcoming sometime or a state of life at that time, and future is not drawing near naturally in accordance with the passage of time. The future is developed according as which the owners of time have independent meaning and what they select. 2) The futurism had started with the background based on Darwins and Einsteins scientific theories and Bergsons and Nietzsches philosophical thoughts, which was then established by Marinettis Futurism Statement and Dynamism Theory of Umberto Boccionio, Giaomo Balla, Luigi Russolo and Gino Severini. As the purpose of futurism is to represent the dynamism of machinery and the beauty of speed, it has been developed toward op art and kinetic art including video art, laser art, and holography. 3) Fashion style and trend of futurism from the beginning of 20th century up to now can be defined as follows : Firstly futurism fashion represented by loud colors and geometric pattern appeared from 1910s to 1930s in the first place. Secondly, or art fashion and kinetic fashion appeared in 1960s due to the influence of op art and kinetic art which were developmental arts of futurism paintings. Space Look and Cosmo Corps Look that were designed by Andre Courreges, Pierre Cardin, Rudi Gernreich and Paco Rabanne, were also the trend of future image fashion. Thirdly, various materials and techniques developed this future image fashion in 1980s, and Glitter Look and Collage Look were its representative style. Fourthly, in 1990s, human beings dreamed the freedom of mind by human-oriented thought. and created the ecology of new concept mixed with technology due to anxiety on environmental destruction. which influenced on the advent of Zen style.

남성복의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en's Wear in Korea)

  • 이순홍
    • 복식
    • /
    • 제29권
    • /
    • pp.5-22
    • /
    • 1996
  • the present thesis aims to contribute to the further development of the men's wear indus-try in Korea which now confronts the need to adjust itself more actively to the conditions of the coming age of internationalization and free trade. To achieve this this thesis suggests the trade should provide for the changing domestic needs on theone hand and refine its wares as high value-added products in compe-tition with those from the advanced countries in fashion industry on the other, The history of the 'suit' the standard men's attire dates back to 1850 when the 'Ditto suit' was introduced composed of coat waist coat vest and trousers to remain virtually unchanged till the end of the nineteenth cen-tury and the modern men's wear originated in Britain. In Korea since the introduction of western clothes from 1876 custom-made suits had been dominant until 1944 while western clothes earned popular currency between 1945 and 1964 and ready-made suits began to spread with their advantages recognized in terms of practicality convenience and functionality The next phase from 1965 to 1985 witnessed the establishment of a number of ready-made brands although custom-made suits stayed in their height of prosperity until 1975. The turn-ing point for the men's wear industry came in 1975 when high-calss ready-made brands be-gan to turn up with the arrival of large companies in the market matching the change in consumers' life style. The men's wear market went through further diversification and specialization dur-ing the years between 1985. and 1990. Around the year 1990 however the expansion of the business suit industry came to slow down ac-companied by an oversupplied market. The fashion of pragmatism in the 1990s called for the growth of the casual wear department and as consumers' life style became more and more individualized conscious dressing in accord ance with T.P.O established itself as an important branch of culture, Such casual boom is likely to aid in promoting Korea's men's wear indus-try to peer with that of advanced countries. Consumers' fashion sense is now ahead of the trade's as well as being shortcycled highly individualized stylized and diversified. To meet consumers' demands under such circum-stances each company is required to develop its unique soft Know How based on accurate information and strategically specialized plan-ning. The trade should convert its hithero producer-oriented strategy to a new consumer oriented one and actively lead the needs and purchasin g pattern of consumers by providing an efficient and reasonable price policy with optimum supply of merchandise and also by presenting 'our' trend suited to our circum-stances.

  • PDF

국가 상징물 이미지 통합연구 (Analystic study on Image Unification of National Symbols.)

  • 김영희;최수정
    • 디자인학연구
    • /
    • 제14권3호
    • /
    • pp.177-186
    • /
    • 2001
  • 현대는 이미지의 시대라 불리고 있다. 이는 우리사회의 비중이 유형적인 상품중심의 산업사회로부터 무형적인 문화중심의 사회로 옮겨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우리주변에서 형성되는 공간이나 물건, 사건(이벤트)등에는 어떤 이미지의, 어떤 컨셉의, 어떤 심리적 요인을 작용시키는 가 하는 점이 매우 중요해 지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일찍부터 선진외국에서는 국가의 대표이미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자국의 물건이나 장소 이벤트 등에 적용함으로써 국가의 긍정적 이미지를 부각시키고 이를 통해 자국민의 긍지를 높이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는 국가를 상징하는 기본이미지(국호, 국가, 국기, 국화)를 디자인 원리를 통해 일정수준 이상의 형태와 구성으로 표현 가능하도록 접근한 것이다. 각각의 개별이미지의 기본표현을 기준으로 다양한 응용모티브의 제공과 이를 활용한 상품의 사례 등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미지전개의 과정을 소개함으로써 향후 더 많은 변형과 발전의 계기를 제공하려 하였다. 이는 국가의 이미지를 국민이 자유롭게, 적극적으로 사용토록 함으로써 국가에 대한 자부심을 키우고, 국민 생활 속에서 친숙한 이미지로 자리잡을 수 있게 함으로써, 누구나 필요할 때 우리자신을 홍보할 수 있는 기본자료로 제공하려 한 것이다. 또한 외국인에게는 우리국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호감을 느끼게 함으로써 긍정적인 국가이미지를 형성하는데 기여코자 하였다.

  • PDF

만경강유역의 개간과정과 취락형성발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ultivation Processes and Settlement Developments on the Mangyoung River Valley)

  • 남궁봉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37-87
    • /
    • 1997
  • 만경강유역을 하나의 연장선상에 놓고 연구한 결과, 그 공간상에서 역사와 더불어 형성발달해온 시공연속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만경강상류에서 하류 하구연안에 이르는 면장공간상에서의 개간과정은 여말에서 부터 시작되어 오늘에 이른 것으로 볼 수 있다. [기원지-지향지] 지향가설에서 본 개간과정에서 개간의 기원지는 만경강상류 산간계곡의 지류곡지 개간을 효시로 하여 기원지가 이루어지고, 조선조 중기까지는 수방대책의 발달과 더불어 하천 중류까지 진출하고, 하천 본류에 대한 하류지역의 계간은 하천의 규모와 유수량의 증가로 인한 하안의 홍수와 범람을 극복할 수 있는 인공제방을 축조할 수 있는 기술수준에 이른 1920년대에 들어서야 본격화되고, 그후 연이어 하구연안의 간석지 개간도 시행되어 개간의 개척첨단이 이들 지향지인 해안간석지일대에 형성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시간의 흐름과 더불어 각 시기마다 공간의 변화도 수반되어 시공연속체가 발달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취락의 경우 개간과정에 따라 산간계곡 산록일대에서는 주변입지적 집촌, 하천중류와 하류에서는 중앙입지적 집촌, 하천하구 간석지에서는 중앙입지적 열촌형태가 우세하게 나타났다.

  • PDF

양평 벽계리에 설정된 곡중경(曲中景)의 지향성과 화서(華西) 이항로(李恒老)의 벽원(蘗園) 경영 (Studies on the Directivity of Gokjungkyeong(Kyung Overlapped with Gok) which was specified in Byeokgye-ri, Yangpyeong-gun and the Hwaseo Lee, Hang-ro's Management in Byeokwon Garden)

  • 정우진;노재현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78-97
    • /
    • 2016
  • 본 연구는 문헌 및 현장조사를 바탕으로 양평군 서종면 벽계천에 형성된 수회구곡과 벽계구곡 그리고 노산팔경의 설정 경위를 검토하고, 화서 당대에 향유되고 경영된 명승 벽계의 경관실체를 구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화서 이항로 이후에 설정된 벽계구곡과 노산팔경은 화서의 행적과 관련된 주요 경처를 모은 '현대기(現代期)'의 집경으로 판명되었다. 벽계구곡이 수회구곡의 집경요소와 많은 부분 중복되는 점이나, 수회구곡의 종점부터 노산팔경의 영역이 시작되는 작위적 구성은 수입리 벽계와 노문리 벽계 사이의 장소대립 및 장소패권의 양상을 엿보게 한다. 이는 화서 이전 벽계 향유집단의 오랜 역사성과 화서의 이미지로 밀착된 영역성이 상충되어 나타난 결과로 판단된다. 둘째, 벽계구곡은 노산팔경의 영역을 확대함과 동시에 수입리의 경승을 선별해 재구성한 2차적 공간체계였다. 벽계구곡의 설정 이후 벽계천 전체 권역에 대한 장소 정체성이 효과적으로 확보되었는데, '청서구장(淸西舊莊)'과 '수회구곡(水回九曲)' 바위글씨 등 화서 이전의 명소가 철저히 배제되는 등 '화서 지향적' 공간 성격을 갖고 있었다. 그 결과 노문리뿐만 아니라 수입리에 이르는 벽계천 전체 영역은 화서의 문화경관으로 재편되었다. 셋째, '주자-율곡-우암-화서'로 이어지는 도통 강화의 일환으로 설정된 화서학파의 구곡 설정은 벽계구곡 탄생의 계기이자 외적 동인이 되었다. 즉, 벽계구곡과 노산팔경은 화서학의 중심이 옥계동으로 건너간 것에 대한 반동, 무이구곡 고산구곡과 옥계구곡의 사이의 결손된 도체공간의 창출 그리고 후손과 지역민에 의한 화서 선양작업 등 일련의 전략적 지향성과 흐름을 같이 한다. 넷째, 화서의 주리론적 관점에서 살펴보면, 그가 경영한 벽원(蘗園)의 모든 경역은 '실제로 존재하는 산수경치의 물상[氣]'을 통해 리(理)의 내재함과 심미적 자아의 허령(虛靈)한 경계를 체험하는 공간작법으로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점은 벽계구곡이나 노산팔경을 화서와 연관된 영역으로 조명하기 이전에, 벽원 고유의 경관성을 규정짓고 나아가 어떤 방식으로 접근하고 향유해야 하는지를 일깨워 준다. 다섯째, 노산팔경은 벽계구곡 중 노문리 벽계 일원 중에서도, 화서가 강학하고 소요하던 여덟 곳의 경승을 담는 곡중경(曲中景)의 문화경관으로 구성되었으나 화서가 남긴 바위글씨와 시문에 의존해 집경됨으로써 벽계구곡에 비해 내적 충일성은 확보되지만 집경에 따른 개념적 타당성에는 다소의 의문이 남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