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derator effect

검색결과 308건 처리시간 0.027초

이행적 인과 경로를 통한 원인 효과에 대한 해명: 구조 방정식에 토대한 인과 모형의 원인 효과 개념에 대한 평가와 대안 (Causal Effects Along Transitive Causal Routes: Reconsidering Two Concepts of Effects Founded on Structural Equation Model)

  • 김준성
    • 논리연구
    • /
    • 제18권1호
    • /
    • pp.83-133
    • /
    • 2015
  • 이 글에서는 상반된 이중 원인 효과를 해명하는 데 히치콕(Hitchcock 2001a)이 제시한 두 가지 원인 효과를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그 비판을 상쇄할 대안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다섯 가지를 논의한다. 첫째, 상반된 이중 원인 효과에 관한 사례를 소개하고 이에 대한 오테(Otte 1985)와 엘스(Eells 1987)의 논쟁을 검토한다. 이 검토는 이중 원인 효과에 대한 이해와 그와 관련해 논의할 히치콕, 카트라이트(Cartwright 1979, 1989, 1995), 엘스(Eells 1991, 1995)의 이론들을 비교, 평가하는 준비가 된다. 둘째, 구조 방정식 모형에서 두 원인 효과에 착안하여, 히치콕이 제시한 원인 효과의 두 개념, 망 효과와 요소 효과를 소개한다. 셋째, 이중 원인 효과를 해명하는 데 카트라이트와 엘스의 논쟁을 논의하면서, 동질적 부분 집단의 역할, 인과 상호 작용의 중요성에 주목한다. 넷째, 이중 원인 효과를 해명하는 데 히치콕이 적용한 두 원인 효과 개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엘스의 이론에 대한 히치콕의 비판을 다시 비판한다. 다섯째, 구조 방정식 모형의 조절 효과 개념을 인과에 대한 확률 이론에 응용하여, 이중 원인 효과에서 초래된 인과 상호 작용을 선언(disjunctive) 관계와 반 사실적 요인으로 형식화하여 보여준다. 조절 효과에 대한 논의는 최근에 많은 주목을 받은 구조 방정식 모형에 토대한 인과 모형 이론들이 인과의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선언 관계, 반 사실적 조건을 이용한 인과 상호 작용에 대한 논의는 통계적 방법론으로서 구조 방정식 모형을 제고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 PDF

고객만족과 고객충성도의 관계에서 소비자 관여도의 조절효과 : 서비스 카테고리를 중심으로 (The Moderation Effect of Consumer Involv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 Focused on the Service Category)

  • 박상준;이영란
    • 경영과학
    • /
    • 제34권3호
    • /
    • pp.61-77
    • /
    • 2017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consumer involv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which is measured as consumers' repurchase and WOM intentions). Previous research has presented inconsistent implications on the role of consumer involvement in the relationship. Some researchers have presented the empirical results showing that consumer involvement moderates the relationship, whereas others have done the empirical results implying that the consumer involvement does not moderates. In sum, the previous empirical studies have provided the inconsistent empirical results that consumer involvement may be a moderator or a non-moder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Thus, we start this research with two research questions: "Does consumer involvement has a moder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across various service industries?" and "Can the moderation effect of consumer involvement be detec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to probe the moderation effect?"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in the context of four service categories: eight service firms for fast food, four firms for family restaurant, four firms for movie theater and four firms for Baker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moderated regression analyses) and chi-square difference tests were used to identify the role of consumer involv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re does not exist the difference in the moderation effects of consumer involvement identified by the two statistical methods (i.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vs. chi-square difference tests), however, that there exists the difference in the identified moderation effects of consumer across service categories. In the final section, we summarize the implications and re-interpret the empirical results provided in the previous studies.

한국 관광객의 중국 길거리 음식에 대한 식품위험지각이 시식의도에 미치는 영향: 푸드네오포비아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Effect of Perceived Risk on Chinese Street Foods of Korean Tourists on Eating Intention: Focusing on Moderator Effect of Food Neophobia)

  • 하헌수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253-266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관광객의 중국 길거리음식에 대한 식품위험지각이 중국 길거리음식 시식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그 관계에서 푸드 네오포비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식품위험지각 중 위생위험지각이 가장 높게 나왔고, 그 다음으로 신체위험지각, 사회심리적 위험지각이 순으로 나왔다. 둘째, 신체위험지각과 사회심리적 위험지각은 중국 길거리음식 시식의도에 유의적인 부(-)의 영향력이 있었지만, 위생위험지각은 유의적인 영향력이 없었다. 즉, 신체위험지각과 사회심리적 위험지각이 상승하면 시식의도는 유의적으로 낮아졌다. 셋째, 푸드 네오포비아는 위생위험지각과 중국 길거리 음식 시식의도간에 유의적인 부(-)의 조절효과가 있었지만 신체위험지각과 사회심리적 위험지각은 유의적인 조절효과가 없었다. 즉, 푸드 네오포비아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위생위험지각이 시식의도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력이 높게 나왔다.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부모와의 의사소통 수준이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교사의 적극적인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조절효과 검증 (Examination of the Moderator Effect of Active Stress Coping on the Influence of Parent-Childcare Teacher Communication on Teacher's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 이민아;임선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53-67
    • /
    • 2018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rent- teacher communication on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This study also examined if the level of active stress coping used functions as a moderator in relationships among parent-teacher communication,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their turnover intention. Methods: To achieve this, this study used data from 223 surveys from childcare teachers and analyzed the data with SEM and multi-group SEM analysis methods. Results: First, parent-childcare teacher communication influenced the teacher's turover intention through job stress. Second, the effect of parent-childcare teacher communication on job stress was not found in the higher-level of the active stress coping group. This was different from the significant effect in the lower-level of the active stress coping group. Also, parent-childcare teacher communication influenced teacher's turnover intention through job stress in the lower-level of the active stress coping group. In contrast, the mediation effect was not shown in the higher group.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e effect of parent-childcare teacher communication on teacher's job stress and their turnover intention. Also, this study shows that the level of active stress coping could moderate the relationship among parent-childcare teacher communication, teacher's job stress, and their turnover intention.

비행 스트레스가 직무 만족도와 안전문화에 미치는 영향 : 항공사 및 직급별 조절된 매개효과 (The Effect of Flight Stress on Job Satisfaction and Safety Culture: Moderator Effect by Airlines and Rank)

  • 유병선;고강민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8권1호
    • /
    • pp.44-50
    • /
    • 2024
  • 본 연구는 국내 민간 항공사 조종사 193명을 대상으로 비행 스트레스가 직무 만족도 및 안전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비행 스트레스는 직무 만족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직무 만족도가 낮은 조종사는 안전문화 인식도 낮게 나타났다. 특히, 항공사와 조종사의 직급에 따라 비행 스트레스가 직무 만족도와 안전문화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를 보였다. 이는 항공사와 조종사 직급별로 맞춤형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연구는 항공 산업의 안전 문화 강화를 위해 조종사의 스트레스 관리와 직무 만족도 향상이 중요함을 강조한다. 또한, 항공사는 조종사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직무 만족도를 높여 안전문화를 강화하는 전략을 개발해야 한다. 본 연구 결과는 항공산업에서 조종사들의 스트레스 관리와 안전문화 강화를 위한 방안 모색에 유용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정신장애인의 회복관련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A Meta-analysis on the Variables related with Recovery among Persons with Mental Illness)

  • 박정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535-546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정신장애인의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통합적으로 검토하기 위하여 메타분석을 시행하였다. 메타분석을 시행하기 위해서, 1999년부터 2018년까지 국내에서 정신장애인의 회복과 관련된 학술연구 및 학위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검토하였으며, 총 24편을 선정하였다. Comprehensive Meta Analysis(CMA) 3.0 소프트웨어방법을 활용하여, 정신장애인의 회복과 관련된 변인들의 평균효과크기와 조절변수들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장애인의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은 총 16개 변인들로 나타났다. 둘째, 정신장애인의 회복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변인으로는 사회적지지 (r=.575), 임파워먼트(r=.555), 자기효능감(r=.544), 사회기술(r=.500), 전문가와 관계(r=.482), 낙인 (r=-.446), 가족지지(r=.418)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간정도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변인으로는 대인관계능력 (r=.391), 기관서비스만족도(r=.366), 병식 (r=.373), 증상(r=-.239)으로 나타났다. 넷째, 낮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변인은 직업경험유무(r=.188)이었다. 다섯째, 조절변수분석은 조사대상자의 거주상태(지역사회 혹은 정신병원)를 중심으로 실시하였다. 조절효과는 사회적 지지와 가족지지 변인에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국내 정신장애인의 회복과 관련된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지체장애인의 사회적 지지와 지역사회참여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 능력의 매개효과 검증 - 개인요인과 환경요인의 융복합적 관점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the Community Participation with Moderating Effect of Stress Coping Behaviors for the Physically Disabled Persons - Focused on the convergence view of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factors)

  • 박해긍;배은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2호
    • /
    • pp.615-623
    • /
    • 2016
  • 본 연구는 지체장애인의 지역사회참여를 결정할 수 있는 요인으로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 대처 능력을 선정하고, 사회적 지지가 스트레스 대처 능력을 매개하여 지역사회참여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지체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의 시각, 뇌병변, 발달 장애인 복지관을 제외한 장애인복지관 11개를 전수조사하여, 총 292부의 설문지를 회수․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지체장애인의 사회적 지지는 지역사회참여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밝혀졌다. 둘째, 사회적지지는 스트레스 대처 능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스트레스 대처 능력은 지역사회참여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사회적지지는 스트레스 대처능력에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사회참여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지체장애인의 지역사회참여를 위해 제언을 시도하였다.

영재 청소년의 학업소진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탄력성의 매개 및 조절 효과 (Mediator and Moderator Effects of Academic Resilience in Relation with Academic Burnout and School Adaptation in Gifted Youth)

  • 김홍희;한기순
    • 영재교육연구
    • /
    • 제25권3호
    • /
    • pp.421-43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학업소진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영재 청소년의 학업탄력성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천, 경기, 서울, 창원, 사천 울산 지역의 영재교육원 및 지역영재학급 학생 444명을 대상으로, 학업소진, 학교적응, 영재 청소년의 학업탄력성을 측정하였고, SPSS/WIN 21.0과 AMO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 청소년의 학업소진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영재 청소년의 학업탄력성이 완전매개(full mediation)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영재 청소년의 학업소진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영재 청소년의 학업탄력성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특히, 영재 청소년의 학업탄력성이 높은 집단은 학업소진의 저고에 따른 변화가 거의 없지만, 학업탄력성이 낮은 집단은 학업소진이 커짐에 따라 학교적응이 떨어지는 부적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영재 청소년의 학업탄력성의 역할에 대한 현장에서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및 조직건강의 조절효과 :어린이집과 유치원 교사의 비교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the Turnover Intention and Moderator Effect of Organizational Health)

  • 전병주;윤경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260-271
    • /
    • 2014
  • 본 연구는 충남 북, 대전 지역의 어린이집과 유치원에서 근무하는 332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조직건강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PASW Statistics 18.0을 이용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는 어린이집 교사가 유치원 교사보다 유의미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건강은 유치원 교사가 어린이집 교사보다 유의미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서 살펴본 결과, 어린이집 교사는 조직건강의 원장 지도성, 직무스트레스, 건강상태, 학력 순으로 나타났고, 유치원 교사는 직무스트레스, 조직건강의 조직구조 및 교사능력, 건강상태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스트레스와 조직건강 하위요인의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본 결과, 어린이집 교사는 원장 지도성, 유치원 교사는 조직구조 및 교사능력 등의 영역이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여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어린이집과 유치원 통합이 논의되고 있는 시점에서, 직무스트레스 등의 주요 요인에 대한 각 집단별 비교를 통하여 그 수준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방안을 제시하여 유보통합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Effects of Product Innovation, Process Innovation and Government Policy on SMEs Performance: Evidence from Indonesia

  • ISMANU, Sidik;KUSMINTARTI, Anik;RIWAJANTI, Nur Indah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12호
    • /
    • pp.305-311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analyze product innovation and process innovation as an indicator of innovation that affects the performance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SMEs). Government policy as a moderator of the effect of innovation on performanc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population in this study are SMEs that produce clothes and t-shirts in Indonesia. Data collection is done through questionnaires and direct interviews. Online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the managers and business owners. The sampling technique used is purposive sampling based on certain conditions of the research object, and in this study 100 business units were selected. The result of loading factor correlation between indicator and latent construct is significant. Hypothesis which explored the 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truct variables was test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re i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on and business performance, and government policies have an important role as a full moderator in this relationship. The study findings concluded that the government policies are an important instrument in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SMEs by innovating product and process innov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