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deling dimension

검색결과 290건 처리시간 0.023초

A novel Neuro Fuzzy Modeling using Gaussian Mixture Models

  • Kim, Sung-Suk;Kwak, Keun-Chang;Kim, Sung-Soo;Chun, Myung-Geun;Ryu, Jeong-Woong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2년도 ICCAS
    • /
    • pp.110.1-110
    • /
    • 2002
  • We propose a novel neuro-fuzzy system based on an efficient clustering method. It is a very useful method that improves the performance of a fuzzy model with small number of fuzzy rules. The fuzzy clustering methods are studied in the wide range of fuzzy modeling. One of them, the grid partition method has problem of exponentially increasing number of rules when the dimension of input or number of membership function is linearly increased. On the other hand, the Expectation Maximization algorithm is an efficient estimation for unknown parameters of the Gaussian mixture model. Here it is noted that the parameters can be used for fuzzy clustering method. In a fuzzy modeling, it is desired that...

  • PDF

신경망을 이용한 반도체 공정 시뮬레이터 : 포토공정 오버레이 사례연구 (Neural network simulator for semiconductor manufacturing : Case study - photolithography process overlay parameters)

  • 박상훈;서상혁;김지현;김성식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55-68
    • /
    • 2005
  • The advancement in semiconductor technology is leading toward smaller critical dimension designs and larger wafer manufactures. Due to such phenomena, semiconductor industry is in need of an accurate control of the process. Photolithography is one of the key processes where the pattern of each layer is formed. In this process, precise superposition of the current layer to the previous layer is critical. Therefore overlay parameters of the semiconductor photolithography process is targeted for this research. The complex relationship among the input parameters and the output metrologies is difficult to understand and harder yet to model. Because of the superiority in modeling multi-nonlinear relationships, neural networks is used for the simulator modeling. For training the neural networks, conjugate gradient method is employed. An experiment is perform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among the proposed neural network simulator, stepwise regression model, and the currently practiced prediction model from the test site.

  • PDF

로터리킬른 반응기 설계를 위한 성능해석 모형 (Performance Analysis Modeling for Design of Rotary Kiln Reactors)

  • 엄민재;한택진;이후경;최상민
    • 한국연소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9-23
    • /
    • 2013
  • A rotary kiln furnace is one of the most widely used gas-solid reactors in the industrial field. Although the rotary kiln is a versatile system and has different size, approach to the reactor modeling can be generalized in terms of flow motion of the solid and gas phases, heat transfer, and chemical reactions on purpose. In this paper, starting from a zero-dimensional model and extending to higher dimension and comprehensive models, overall procedure of the design development of rotary kiln reactors and considerations are presented. The approaches to performance analysis of the reactors are introduced and examples of application cases are presented.

인터넷 상점에 대한 여성고객의 신뢰와 서비스 품질$\cdot$고객 충성도 간의 관계 (Female Customers' Trust on Internet Stores and its Relationships with Service Quality and Loyalty)

  • 민동권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14권2호
    • /
    • pp.293-317
    • /
    • 2005
  • Female customers form a major customer group for Internet shopping and their trust on Internet stores seems to be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ir transactions. This paper focuses on female customers' trust on Internet stores, hypothesizing that online service quality has a positive impact on trust and that trust, in turn, together with service quality has a positive effect on loyalty. We investigate trust from three dimensions(benevolence, integrity, and ability) and at the same time, unlike existing research, treat service quality to have five dimensions (intangibles, reliability, responsiveness, assurance, and empathy) as known in SERVQUAL(Parasuraman et al., 1988). Survey data is obtained from the female college student sample. Our research model is justified in terms of construct validity, internal consistency, and goodness of fit. Research hypotheses are tested using SEM(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surance and empathy dimensions of service quality have significant impacts on benevolence/integrity dimension of trust. Second, out of the five service quality dimensions, only assurance has a positive effect on ability dimension of trust. Third, assurance dimension of service quality and ability dimension of trust are positively related with customer loyalty.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female customers' loyalty are found to be assurance(service quality) and ability(trust). The significance of assurance is in line with findings from existing research. But its relationship with the trust dimensions is uncovered in this research, and the only dimension that impacts on ability is assurance. We find that female customers build trust about internet stores based on their ability rather than on their benevolence/integrity and that the female customers' perception on the internet stores' ability can be improved by higher service quality from the aspect of assurance. Importantly enough, these findings offer practical guidelines to Internet stores to boost female customers' loyalty.

  • PDF

3차원 모델링을 이용한 디지털 디자인의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Digital Design by Three Dimensional Modeling)

  • 한상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0호
    • /
    • pp.447-456
    • /
    • 2012
  • 공간과 형태 디자인에 있어서 스터디모델은 완성될 공간이나 형태가 디자인되는 공간과 형태에 구체적인 시각적 매개체를 제공하며, 보다 근본적으로 디자인도면에 대한 상호 보완적 수단으로서 이용된다. 즉 스터디모델은 2차원적인 속성을 지니는 디자인 도면에 3차원적인 이해 수단을 추가적으로 부여한다. 따라서 디자인이 진행되는 동안 구체적인 공간의 형태와 공간구성을 디지털스터디모델을 이용하여 자유로운 각도에서 시각적으로 감지하며 공간과 형태를 분석하게 해준다. 일반적으로 유형적인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되는 스터디모델은 디자인 과정에서 디자인 내용의 변경과 스터디모델의 용도에 따라서 여러 번 제작되어야 하며, 디자인도면과 모델의 관계는 공간의 지각과 이해를 통해서만 이루어진다. 이것은 디자인도면과 스터디모델 매체사이의 상호보완성이 동시에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제안된 3차원 디지털 디자인 프로세스를 이용하면, 즉각적인 시각적 표현과 더불어 디자인 단계에서 다양한 분석과 디지털 디자인모델 결과물들을 얻어낼 수 있게 된다. 결국 디자인계획과 디자인 구체화 단계에서 디지털디자인 프로세스를 활용할 경우 입체적 표현을 실시간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3차원 디지털모델을 시각화하여 최종 디자인을 위한 공간과 형태의 다양한 분석이 가능하게 된다.

원격탐사 영상의 3D 시각화와 데이터베이스의 활용 (Utilization of Database in 3D Visualization of Remotely Sensed Data)

  • 정명희;윤의중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5권3호
    • /
    • pp.40-46
    • /
    • 2008
  • 원격탐사 영상과 고도자료를 사용하여 지구환경을 3차원으로 시각화할 수 있는데, 이것은 지구과학분야에서 정보를 3차원 공간에서 탐색하고 분석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해준다. 지구환경을 보다 현실감 있게 시각화하고 이를 통해 공간적 특징이나 객체 지형들 간의 관계를 분석할 수 있도록 하려면 3D 공간 표현의 지원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2D, 3D 공간자료와 관련 벡터 자료가 통합되어야 하고, 또한 지질이나 지표 객체들 간의 상대적 위치와 위상학적 관계가 통합되어 함께 다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지구과학 및 지구환경 문제의 3차원 시각화에서는 3차원 모델링과 위상 분석, 데이터베이스가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지구과학 및 지구환경 분야에서 3차원적 특성을 포함한 동적모형 개발과 시뮬레이션 환경 기반을 제공하도록 원격탐사 자료를 이용하여 시각화하는 방법과 자료추출 및 관리, 3차원 가상공간에서 동적 모형화를 활용하는 방법론에 관하여 연구되었다.

전산화단층영상을 이용한 그물형 손목 부목의 3D 프린팅 (3-Dimensional Printing for Mesh Types of Short Arm Cast by Using Computed Tomography)

  • 성열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308-315
    • /
    • 2015
  • 본 연구는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통풍이 원활하고 위생적이며 선명한 방사선영상을 구할 수 있는 그물형 손목 부목을 제작하고자 하였다. 스캐너는 의료용 다중단층영상장치(MDCT)를 이용했으며, 3D 프린터 기기는 용융 적층 조형술(fused deposition modeling, FDM)의 프린팅 방식을 이용했다. 소재는 분해성 플라스틱 (poly lactic acid, PLA)을 사용하였다. 손목의 3 차원 볼륨렌더링은 MDCT에서 획득된 단층영상으로 구현하였다. 구현된 손목 3 차원 영상을 바탕으로 가상의 그물형 부목 모형을 디자인하고 출력하였다. 그 결과 3D 프린터로 출력된 부목이 기존 부목보다도 우수한 방사선 손목영상을 획득할 수 있었으며 가려움증 및 비위생적인 단점을 개선하고 부목 해체 작업이 용이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모델링된 3D 부목 모형은 향후 3D 프린팅 부목 제작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환자들의 실생활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철의장 설계 전산 개발/적용

  • 임대청;이종범
    • 대한조선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44-52
    • /
    • 1993
  • 선박에 있어서 철의장품은 종류와 수량이 다양하고 형상이 불규칙하여 대부분의 사업장에서 설계 전산화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의장설계실에서는 이를 전산화하기 위하여 먼저 철의장품의 표준을 제정 및 극대화하고 설계작업절차와 물량의 흐름을 전산과 연계하여 체계화 및 표준화하였다. 또한 선박의 전구역에 설치되는 철의장품들을 관련 양식과 함께 국제표준을 근거로 BASICA CADDS, SURFACE DESING, SDDP(structural Design & Detailing Package) SOFTWARE를 이용하여 2차원(2-dimension) 및 3차원(3-dimension) 데이터베이스(database)화 하였으며 이를 POP-UP MENU를 이용, 쉽게 선택함으로써 모델링(modeling) 작업시수를 대폭 감소 시켰으며, 그래픽(graphic)에서 추출한 의장품의 데이터(data)를 의장품의 표준정보 FILE과 연계하여 라벨(LABEL) 및 치수(DIMENSION)를 기입하여 배치도를 추출하고 의장품의 제작, 설치, 계산 및 관리에 소요되는 설치도, 제작도 및 관련 보고서인 BOM(bill of material), PML(pallet material list), 의장제작품 LIST, COG(center of gravity), 관리점 등을 자동추출 및 관리전산망(PC-lan)과 연계할 수 있는 DECOM(철의장 전산설계 전용 package)을 89년에 개 발하여 의장설계에 적용하여 왔으며 ORACLE사의 RDBMS(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를 도입하여 이를 보완하므로써 정보의 일관화 및 공유화가 가능하게 되었다. 그 결과 설계 M/H절감, 생산성 향상, 자재 및 관련 정보 전달에 혁신적인 변화 향상을 가져오게 되었다.

  • PDF

실내도면 작성과 물량산출을 위한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del Development for Production of Interior Drawings and estimation of Quantities)

  • 정례화;이승우;추승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호
    • /
    • pp.30-37
    • /
    • 1999
  • This study presents a methods on the construction of integrated system for the purpose of automation of design plans, calculation of quantity of materials and estimation by abstracting information on building materials which is produced on the course of three dimension modeling by using computer. Therefore, an object oriented methodology is introduced to compose design informations in three dimension, space for unifying building informations, and expressing properties of building factors and materials, and to construct a database for computers to recognize architecture informations. An object indicates a conceptual individual existing in real world or existence of individual and necessity in composing a building could be called as objects such as column, wall, beam, slab, door and window and these contain materiality and immateriality. It is systemized to which properties of these building's objects are installed by the user of computer and by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chosen informations automatically converse to each unit work such as design plan structure plan, calculation of amount of materials, etc.

  • PDF

The Role of Brand Page Experiences on Consumer Engagement in Social Media

  • Park, Jee-Sun;Ha, Sejin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499-515
    • /
    • 2020
  • This study develops and empirically tests a comprehensive model of consumers' brand page experiences that illuminates dynamics among perceived values (practical value, stimulation, enjoyment, and social identification), brand page engagement dimensions (cognitive engagement, affective engagement, and behavioral engagement) and brand loyalty. An online survey was employed for data collection. We collected 358 usable responses for data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show that three dimensions of perceived values (practical value, perceived enjoyment, and social identification) positively affect brand engagement dimensions, while perceived stimulation affects affective engagement only. As for the roles of brand page engagement, affective and behavioral engagement positively influence brand loyalty. This study demonstrates how consumers' perceived values of brand page experience influence each dimension of brand page engagement and how each dimension has a different impact on brand loyalty.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substantive contributions to the consumers' brand page experience and engagement literature and brand page management on social media for developing brand loyal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