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del semantics

검색결과 187건 처리시간 0.031초

EMFG를 이용한 UML 활동 다이어그램의 수행가능성 평가 (The Performance-ability Evaluation of an UML Activity Diagram with the EMFG)

  • 여정모;이미순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3D권1호
    • /
    • pp.117-124
    • /
    • 2006
  • UML(Unified Modeling Language)은 객체지향 모델링을 위한 언어이다 UML에 포함되어 있는 AD(Activity Diagram; 활동 다이어그램)는 워크플로우 시스템의 모델링에 적합하지만 수행 과정의 평가가 수학적이지 못하므로 수행 과정을 직관적으로 파악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EMFG(Extended Mark Flow Graph)는 이산적인 시스템의 모델링에 적합할 뿐 아니라 수행 과정을 수학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EMFG를 사용하여 모델링된 AD의 수행 동작을 평가하려고 한다. 우선 AD를 EMFG로 변환하는 방법에 대하여 제안하고, 변환된 EMFG의 수행을 평가함으로써 모델링된 AD의 수행완료 가능성을 평가한다. 그리고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이를 입증한다. 제안한 알고리듬은 대규모 워크플로우 시스템을 모델링한 AD의 수행완료 가능성도 쉽게 평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단계 보안을 위한 확장 릴레이션의 운영 의미론 (The Operational Semantics of Extended Relations for Multilevel Security)

  • 조완수;배해영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87-94
    • /
    • 1996
  • 본 논문에서는 다단계 보안을 지원하는 관계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을 설계 하기 위하여 표준 관계 모델을 확장하고, 새로운 다단계 무결성 제약조건을 제시 하며, 이를 지원하는 다단계 릴레이션의 운영 의미를 제시한다. 확장된 관계 모델과 새로운 무결성 제약조건은 다단계 데이타베이스를 일관된 상태로 유지시키며, 다중사례를 지원하면서 이의 허용에 따른 엔티티 및 관계 표현의 모호성을 제거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확장된 다단계 릴레이션에 대한 다단계 갱신 연산은 서로 다른 보안 분류의 요소를 동시 에 처리할 수 있는 다단계 입력 및 갱신 트랜잭션을 지원하여 갱신 연산의 효율성을 증가시킨다. 또한 다단계 릴레이션의 분해를 위한 알고리즘 구현의 기초를 제시한다.

  • PDF

비디오 문서 관리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Video Documents Management System)

  • 권재길;배종민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7권8호
    • /
    • pp.2287-2297
    • /
    • 2000
  • 시청각 정보 및 의미적 정보 등을 포함하는 비디오 문서는 미디어들간에 복잡한 관계성을 가지며, 내용에 대한 주제별 검색과 문서에 나타나는 객체 정보를 이용한 특정 영역별 검색을 요구하는 등 사용자의 질의가 다양해지고 있으나, 기존의 정보 검색 설계 방법으로는 이러한 내용을 충분히 수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비디오 문서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다양한 검색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자동 혹은 수동으로 추출된 문서의 의미적 정보 및 구조적 정보 등을 활용한 구조적이고 체계적인 메타데이터 모델을 정립해야 한다. 본 논문은 비디오 문서가 가지는 특성들을 분석하여 다양한 질의를 수용할 수 있고, 다른 비디오 응용의 기반 구조로 제공될 수 있는 일반저인 메타데이터를 분류하고 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일반 통합 메타데이터 모델(GIMM)을 제안한다. 그리고 GIMM을 이용하여 비디오 문서 관리 시스템(VDMS)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 PDF

성능/교전 효과도의 상호 분석이 가능한 전투 개체 기반의 모델링 방법론 - 제2부 : 상세 모델 설계 및 모델 구현 (Combat Entity Based Modeling Methodology to Enable Joint Analysis of Performance/Engagement Effectiveness - Part 2 : Detailed Model Design & Model Implementation)

  • 서경민;최창범;김탁곤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35-247
    • /
    • 2014
  • Based on two dimensional model partition method proposed in Part 1, Part 2 provides detailed model specification and implementation. To mathematically delineate a model's behaviors and interactions among them, we extend the DEVS (Discrete Event Systems Specification) formalism and newly propose CE-DEVS (Combat Entity-DEVS) for an upper abstraction sub-model of a combat entity model. The proposed CE-DEVS additionally define two sets and one function to reflect essential semantics for the model's behaviors explicitly. These definitions enable us to understand and represent the model's behaviors easily since they eliminate differences of meaning between real-world expressions and model specifications. For model implementation, upper abstraction sub-models are implemented with DEVSim++, while the lower sub-models are realized using the C++ language. With the use of overall modeling techniques proposed in Part 1 and 2, we can conduct constructive simulation and assess factors about combat logics as well as battle field functions of the next-generation combat entity, minimizing additional modeling efforts. From the anti-torpedo warfare experiment, we can gain interesting experimental results regarding engagement situations employing developing weapons and their tactics. Finally, we expect that this work will serve an immediate application for various engagement warfare.

시공간 데이터 모델에서 시공간 연산자의 관계 수식적 정형의미 (Formal Semantics of Relational Algebra/Calculus for Spatiotemporal Operator in Spatiotemporal Data Model)

  • 조영소;김동호;류근호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11-20
    • /
    • 1999
  • 기존의 공간 데이터베이스는 오직 현재 시점에서 유효한 정보만을 대상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과거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시간의 흐름에 따른 이력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현실 세계에 존재하는 객체에 대하여 효율적인 공간 관리뿐만 아니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해온 이력 정보를 제공하라는 시공간 데이터베이스 연구가 시작되고 있다. 이러한 시공간 데이터베이스는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용된다. 데이터베이스엣 정형의미는 데이터 구조와 연산에 대한 명확한 결과를 표현하고 이를 수학적으로 검증하기 위한 도구로서 사용된다. 아울러 시공간 정형의미는 시공간 데이터베이스와 시공간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시공간 영역과 객체 및 자료 구조는 물론 시공간 기하 연산자와 위상 연산자를 제안한다. 또한 이들을 포함하는 시공간 모델에 대한 정형의미를 통해서 관계 수식을 정립하고 그 연산식을 실제적인 예로서 보인다.

  • PDF

온톨로지와 군집분석을 이용한 지하공간 정보모델 개발 (Development of Subsurface Spatial Information Model with Cluster Analysis and Ontology Model)

  • 이상훈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70-180
    • /
    • 2010
  • 지하공간 개발의 증가에 따라 지층단면도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는 지하공간 정보모델의 신뢰성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지반은 근본적으로 불확실하며, 이를 표현하는 정보모델도 자료부족, 해석표준 부재 등의 비통계적 요인과 외부환경 변수라는 통계적 요인으로 불확실성을 가진다. 따라서, 현재의 모델 생성은 고도로 훈련된 전문가에 의해 이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지반공학 전문가의 경험과 지식에서 시맨틱을 추출하고, 이를 온톨로지 모델과 정보량으로 정량화하였다. 정량화한 온톨로지 모델은 군집분석의 클러스터간 거리계산에 적용하여 시맨틱을 고려한 군집분석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본 제안 방법을 실험지역에 적용한 결과 기존 K-Means 방법에 비해 전문가의 해석과 유사한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수작업으로는 어려운 대용량 데이터를 손쉽게 처리하고 3차원 GIS로 가시화가 가능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지반공학 전문가의 도움 없이도, 그 경험을 고려하면서 대량의 지반정보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처리하여 신뢰성 있는 지하공간 정보모델을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모바일 환경에서 의미 기반 이미지 어노테이션 및 검색 (Semantic Image Annotation and Retrieval in Mobile Environments)

  • 노현덕;서광원;임동혁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1498-1504
    • /
    • 2016
  • The progress of mobile computing technology is bringing a large amount of multimedia contents such as image. Thus, we need an image retrieval system which searches semantically relevant image. In this paper, we propose a semantic image annotation and retrieval in mobile environments. Previous mobile-based annotation approaches cannot fully express the semantics of image due to the limitation of current form (i.e., keyword tagging). Our approach allows mobile devices to annotate the image automatically using the context-aware information such as temporal and spatial data. In addition, since we annotate the image using RDF(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 model, we are able to query SPARQL for semantic image retrieval. Our system implemented in android environment shows that it can more fully represent the semantics of image and retrieve the images semantically comparing with other image annotation systems.

Workflow Modeling based on State Chart

  • Oh, Myeong-Eun;Han, Sang-Yong
    • 한국전자거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자거래학회 2004년도 e-Biz World Conference
    • /
    • pp.350-354
    • /
    • 2004
  • □ Many specification language has been developed for workflow modeling, but their emphasis on the process semantics make it difficult for use on the business process modeling. □ Also their lack of understanding of global view of Business process adds another problem to model workflow in a seamless and accurate and timely fashion(omitted)

  • PDF

XPOS: 효율적인 질의 처리를 위한 XPath 기반의 OWL 저장 모델 (XPOS: XPath-based OWL Storage Model for Effective Query Processing)

  • 김진형;정동원;백두권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5권3호
    • /
    • pp.243-256
    • /
    • 2008
  • 최근 인터넷의 급속한 발달로 인해 웹 상의 정보 양이 엄청나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웹 상의 정보들은 사람이 읽고 해석하기에만 편리하게 설계되어 원하는 정보에 대한 정확한 검색이 어려워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시맨틱 웹이 제안되었으며, 이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데이타에 의미를 부여하는 온톨로지 언어를 사용해야 한다. 대표적인 은톨로지 언어는 RDF, RDF-S, OWL 등이 있다. 이러한 언어들 중 OWL은 W3C에서 권고안으로 채택한 언어로써 다른 온톨로지 언어에 비해 풍부한 표현력과 형식적인 의미론을 지닌다. 또한 OWL 데이타는 클래스/프로퍼티들 간의 계층 구조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시맨틱 웹 상에서 데이타의 효율적인 검색을 위해서는 계층적 구조를 고려한 효율적인 OWL 저장 모델이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OWL 데이타의 클래스/프로퍼티들 간 계층 정보를 XPath 형태로 포함하며, 직관적이고 효율적인 질의 처리가 가능한 저장 모델(XPOS Model) 및 시스템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 모델, Sesame, XML 저장소 기반 저장 시스템을 질의 처리 측면에서 성능에 대한 비교 평가 결과를 보인다.

시맨틱 텍스트 마이닝을 위한 온톨로지 활용 방안 (Using Ontologies for Semantic Text Mining)

  • 유은지;김정철;이춘열;김남규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1권3호
    • /
    • pp.137-161
    • /
    • 2012
  • The increasing interest in big data analysis using various data mining techniques indicates that many commercial data mining tools now need to be equipped with fundamental text analysis modules. The most essential prerequisite for accurate analysis of text documents is an understanding of the exact semantics of each term in a document. The main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the exact semantics of terms are mainly attributable to homonym and synonym problems, which is a traditional problem in the natural language processing field. Some major text mining tools provide a thesaurus to solve these problems, but a thesaurus cannot be used to resolve complex synonym problems. Furthermore, the use of a thesaurus is irrelevant to the issue of homonym problems and hence cannot solve them. In this paper, we propose a semantic text mining methodology that uses ontologies to improve the quality of text mining results by resolving the semantic ambiguity caused by homonym and synonym problems. We evaluate the practical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methodology by performing a classification analysis to predict customer churn using real transactional data and Q&A articles from the "S" online shopping mall in Korea. The experiments revealed that the prediction model produced by our proposed semantic text mining method outperformed the model produced by traditional text mining in terms of prediction accuracy such as the response, captured response, and lif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