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bile router

검색결과 188건 처리시간 0.031초

6LoWPAN 기반 MANEMO 환경에서 경로 최적화 기법 (A Scheme for Route Optimization in 6LoWPAN based MANEMO Environments)

  • 김진호;홍충선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271-1273
    • /
    • 2009
  • 6LoWPAN 단위의 네트워크 이동성을 지원하는 6LoWPAN Mobile Router 들이 중첩된 네트워크를 형성하였을 때, 6LoWPAN 노드와 CN 간의 통신을 할 경우 패킷 전달을 위한 경로 최적화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특히 NEMO 프로토콜이 적용된 6LoWPAN 네트워크의 중첩된 레벨이 증가하는 경우 패킷 전달을 위한 루트가 더욱 복잡해지고 오버헤드가 커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MANEMO 기술을 6LoWPAN 환경에 맞게 적용하여 중첩된 6LoWPAN 네트워크를 형성하지 않고 6LoWPAN Mobile Router 간에 Ad-hoc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직접적인 통신이 가능하도록 네트워크를 구성함으로써 NEMO 환경에서의 터널링 오버 헤드 문제를 줄이고 통신 경로를 최적화하여 패킷 전송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동 통신망 환경에서 멀티캐스트를 제공하기 위한 계층적 Xcast++ 기법 (A hierarchical Xcast++ mechanism for multicast services in mobile communication environment)

  • 김태수;이광휘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55-70
    • /
    • 2005
  • 이동 통신망 환경에서 이동 호스트에게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Xcast++를 계층적 구조를 갖도록 화장한 HXcast++를 제안하였다. 이동 호스트들을 대신하여 DH(Designated Router)이 그룹에 가입하도록 함으로써 이동 호스트의 위치와 상관없이 최적화된 경로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였으며, 계층적 개념을 도입하여 빈번한 핸드오프로 인한 유지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 핸드오프 시 IGMP Membership Query를 기다림 없이 즉각 그룹에 가입할 수 있는 GMA(Group Management Agent)기반 그룹 관리 메커니즘을 제안하였고, 핸드오프 시 발생하는 다량의 패킷손실을 줄이기 위해 Layer 2 Mobile Trigger를 이용하는 fast handoff 기법을 적용하였다. 그룹 가입 지연 동안 발생할 수 있는 패킷 손실은 buffering&forwarding 기법을 이용하여 손실을 줄였다.

  • PDF

중첩된 이동 네트워크 환경에서 지역적 정보를 이용한 경로 최적화 방안 (Regional Information-based Route Optimization Scheme in Nested Mobile Network)

  • 김준우;박희동;이강원;최영수;조유제;조봉관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0권4B호
    • /
    • pp.178-185
    • /
    • 2005
  • 네트워크 단위의 이동성을 지원하는 network mobility (MEMO) 기술에서는 중첩된 네트워크 환경 (nested NEMO)에서 전달 지연 시간을 줄이는 경로를 최적화에 관현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대표적인 경로 최적화 방안으로는 확장 헤드를 이용하여 경로 정보를 모두 기록하는 RRH (Reverse Routing Header)와 최상위 MR에서 하부에 위치한 MR의 상태 정보를 관리하는 BHT (Bi-directional tunnel between Home agent and Top level mobile route)이 제안되어 있다. 하지만 기존의 방안들은 중첩 깊이가 증가할수록 패킷 전달을 위한 오버헤드가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중첩된 이동 네트워크 환경에서 지역적 정보를 이용한 경로 최적화 방안 (RIRO; Regional Information-based Route Optimization)을 제안하고자 한다. RIRO 방안에서는 모든 MR들은 자신의 하부에 위치한 MR들의 위치 정보를 관리하고 라우팅 헤더를 이용하여 패킷 전달 경로를 최적화하는 방안으로 중첩된 환경에서도 패킷이 전달을 위한 오버헤더가 증가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계층적 Mobile IPv6에서 고속 핸드오버(Fast Handover) 개선에 관한 연구 (A Modification for Fast Handover in Hierarchical Mobile IPv6)

  • 뇐반한;노승환;홍익표;유정관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3권5A호
    • /
    • pp.509-516
    • /
    • 2008
  • 계층적 모바일 IPv6구조를 갖는 이동망에서 고속 핸드오버(F-HMIPv6) 방식은 효율적으로 서비스의 중단이 없는(seamless) 핸드오버방식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핸드오버과정에서 이동단말(MN : Mobile Node)은 갑작스런 링크의 신호감쇄로 인해 기존의 엑세스 라우터(PAR : Previous Access Router)와 연결이 끊길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이동단말은 고속의 핸드오버 도중에 많은 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이 없으며, 특히 고속으로 이동 중에는 핸드오버를 위한 충분한 시간적 여유가 없다. 본 논문에서는 F-HMIPv6의 핸드오버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으며, 성능평가 결과 고속 핸드오버과정에 메시지를 교환하는 시간을 감소시켜 F-HMIPv6가 predictive 모드에서 핸드오버가 수행될 수 있는 확률을 높였다.

망의 이동성을 지원하는 효율적인 라우팅 구조 (An Architecture Supporting Efficient Routing in Mobile Networks)

  • 이재걸;홍충선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2 (3)
    • /
    • pp.106-108
    • /
    • 2002
  • 기존의 단말에서는 외부노드와 최초의 통신 시에 자신이 속해있는 HA(home Agent) 하나만을 거쳐간다. 그러나 이동망에서는 MR(Mobile Router) network의 하단에 다른 HA에 속해있는 이동 서브넷이 방문했을 때의 시나리오가 추가로 고려되어야 한다. 그런데 CN(Correspondance Node)과 방문한 네트워크의 노드와의 통신에서 전송된 패킷이 인터넷으로 연결하는 가장 상단의 이동망으로부터 자신이 속해있는 망까지 경로 상에 위치한 각각의 해당 HA를 모두 방문하여 우회하는 경로가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 문제의 해결을 위해 라우팅을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MTA(Mobile Transmission Agent)를 제안한다.

  • PDF

Subspace projection과 SCORE algorithm을 이용한 두 가지 전파방해 대응기술의 성능비교 (Implementation of Improved Functional Router Using Embedded Linux System)

  • 한상윤;신정환;허준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6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 /
    • pp.79-80
    • /
    • 2006
  • In this paper, we compare two different anti-jamming schemes, Subspace projection and SCORE algorithm. For multipath cancelation, nulling technique is applied to both anti-jamming schemes. It is noted that SCORE algorithm is more robust to the multipath interference. It is also noted that Subspace projection scheme requires nulling technique for multipath mitigation.

  • PDF

OpenWRT기반의 유무선 공유기를 활용한 다기능 웹 서버 구축 (Using OpenWRT-based Router to Build a Multi-function Web Server)

  • 반태학;하승업;민준기;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833-838
    • /
    • 2014
  • 최근 사용되는 유무선 공유기는 하나의 IP를 여러 대의 컴퓨터가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을 한다. 또한 웹 서버나 프린트 서버, 웹 하드, P2P의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PC나 서버에서 별도의 설정 또는 구축 작업을 통해서만 가능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OpenWRT를 지원하는 공유기를 활용하여 네트워크 설정과 방화벽 및 다양한 서비스 설정을 기반으로 한 다기능의 웹 서버를 구축 및 연구한다. 구축된 웹 서버는 보안이 강화된 서버를 통해 안정적이며 안전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및 인터넷 전화를 제공할 수 있다. OpenWRT기반의 웹 서버 공유기는 모바일 APP 및 PC프로그램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동 MPLS VPN에서의 QoS 지원 방안 (QoS Support Mechanisms in Mobile MPLS VPN)

  • 이영석;양해권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65-73
    • /
    • 2006
  • MPLS(Multiprotocol Label Switching)를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 VPN(Virtual Private Network)은 PE(Provider Edge router) 기반 MPLS VPN으로도 불리우며, 고수익을 원하는 사업자와 저비용을 요구하는 고객 모두에게 인트라넷(Intranet)과 익스트라넷(Extranet)을 위한 해결 방안으로서 도입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BGP-E(BGP multiprotocol Extension)를 이용한 PE 기반 MPLS VPN을 대상으로, VPN 사이트 내에 속한 단말이 다른 사이트로 이동하더라도 계속 VPN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하는 MPLS VPN 구성 방안과 QoS를 지 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MPLS VPN 서비스와 Mobile IP에 의한 이동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백본 네트워크 내의 PE(Provider Edge) 라우터 상에 설계한다. VPN 사이트 내에 속하는 어떤 노드가 기존의 통신을 유지한 상태로 다른 사이트로 이동할 때, 이동 노드와 통신하고자 하는 대응 노드가 속한 VPN 사이트와 연결된 PE 라우터는 이동을 통보 받고 단말이 이동한 곳으로 새로운 MPLS 경로를 설정한다. PE 라우터 에 Mobile IP 프로토콜과 연동하는 VPN 관리 방식 및 라우터 제어 기능의 성능 분석을 위해 COVER 도구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결과를 분석한다.

MRT 에이전트를 통한 Mobile IP 라우팅 최적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bile IP Routing Optimization through the MRT Agent)

  • 김보균;홍충선;이대영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8권9A호
    • /
    • pp.728-735
    • /
    • 2003
  • IP 네트워크에서 이동시스템에 대한 원활한 이동성 제공은 무선인터넷의 주요한 이슈이다. IETF에 의해 표준화된 IP 이동성 지원은 홈 에이전트로부터 방문 에이전트까지 IP 패킷의 터널링을 지원하며, 방문에이전트에서 홈에 이전트로 역방향 터널링을 지원한다. 이 논문에서 진입필터링 라우터 환경에서 IP 단말의 이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패킷의 트라이앵글 라우팅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핸드오프 지연으로 인한 패킷손실 발생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각 경계 라우터에 모바일 라우팅 테이블을 유지한 라우팅 에이전트의 동작을 통해, 핸드오프 발생시 각 노드의 처리 메시지의 부하를 줄이고, MN에서 CN으로의 역방향 메시지 전송에 대하여 FA에서 HA를 경유하여 메시지를 전달하지 않고 직접 CN의 라우터로 전달하는 직접 라우팅을 통해 메시지 전달 경로를 줄였으며, 이를 통해 패킷 손실을 줄이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표준 MIP, 라우팅 최적화 MIP, Wu의 방법과 제안 알고리즘의 비교를 통해 실험 결과를 제시하였으며 마지막으로 결론을 제시하였다.

모바일 중심 미래 인터넷: OpenFlow 기반 구현 및 KOREN 테스트베드 실험 (Mobile Oriented Future Internet (MOFI): OpenFlow-based Implementation and Testbed Experimentation over KOREN)

  • 김지인;정희영;고석주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41권4호
    • /
    • pp.167-176
    • /
    • 2014
  • 본 논문은 이동 환경 위주의 미래 인터넷 환경을 위해 제안된 Mobile Oriented Future Internet (MOFI) 구조에 대하여 OpenFlow 기반 구현 이슈와 KOREN 실험망을 이용한 성능 분석을 논의한다. MOFI 구조는 호스트 식별자(host identifier)와 지역 위치자(local locator) 사용, 데이터 전달을 위한 Query 우선의 데이터 전달(Query-First Data Delivery), 식별자와 위치자간 분산형 매핑 시스템(Distributed Mapping System)을 특징으로 한다. 기존 MOFI 연구에서는 intra-domain 이동성 지원을 위해 6-to-4 터널링 기법 및 리눅스 플랫폼을 활용한 구현 방식을 제안하고 실험실 테스트베드에서 성능분석을 수행하였다. 한편, 본 논문에서는 inter-domain 이동성 지원을 위한 세부 절차를 논의하고 Click Modular Router와 OpenFlow 플랫폼을 활용한 MOFI 구현 방식을 제안한다. 나아가, 실제 KOREN 실험망을 활용한 성능 실험을 통해 MOFI 구조와 기존 이동성 제어 방식인 Proxy Mobile IP (PMIP) 기법을 비교한다. 실험 결과, 이동성 제어를 위한 시그널링 지연 시간 및 처리되는 메시지 수 측면에서 MOFI 구조가 기존 PMIP 이동성 제어 기법에 비하여 더 좋은 성능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