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bile phone sensors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33초

스마트폰을 이용한 물체의 3차원 위치 추정 기법 (A Three Dimensional Object Localization Scheme using A Smartphone)

  • 권오흠;정명환;송하주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1200-1207
    • /
    • 2017
  • Sensors in a smartphone can be used to measure various physical quantitie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object localization scheme in a three dimenstional using a smart phone. The proposed scheme estimates the location of an object by observing it from several different points. The direction to the target object and the locations of the observation points are collected at each observation point using the location sensor and the orientation sensor in the smartphone. Based on these observations, the proposed scheme derives three dimensional line of sight vectors and estimates the location of the target object that minimizes the estimation error. We implemented the proposed scheme on an Android smartphone and tested its performance by estimating the height of a building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oposed approach.

Cell 방식 포장공정에서의 Missing Item 검사 및 관리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Missing Item Detection and Management System under Cell Type Packaging Processes)

  • 김현우;최현의;안호균;윤태성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9년도 정보 및 제어 심포지움 논문집
    • /
    • pp.344-346
    • /
    • 2009
  • Cell type packaging line is more suitable for the products with various models and small quantities like mobile phone or mp3 player than conveyor type packaging line. Cell type packaging line is applicable to package various product models, but it can cause wrong product compositions and missing of items. So, automatic missing item detection system is needed. We designed an missing item detection system with a bar code reader, infrared sensors, and s digital camera. and also developed the programs for sensor data acquisition, image data processing, GUI, and data management.

  • PDF

A Study on the Deriving Requirements of ARGO Operation System

  • Seo, Yoon-Kyung;Rew, Dong-Young;Lim, Hyung-Chul;Park, In-Kwan;Yim, Hong-Suh;Jo, Jung-Hyun;Park, Jong-Uk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6권4호
    • /
    • pp.643-650
    • /
    • 2009
  • Korea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stitute (KASI) has been developing one mobile and one stationary SLR system since 2008 named as ARGO-M and ARGO-F, respectively. KASI finished the step of deriving the system requirements of ARGO. The requirements include definitions and scopes of various software and hardware components which are necessary for developing the ARGO-M operation system. And the requirements define function, performance, and interface requirements. The operation system consisting of ARGO-M site, ARGO-F site, and Remote Operation Center (ROC) inside KASI is designed for remote access and the automatic tracking and control system which are the main operation concept of ARGO system. To accomplish remote operation, we are considering remote access to ARGO-F and ARGO-M from ROC. The mobile-phone service allows us to access the ARGO-F remotely and to control the system in an emergency. To implement fully automatic tracking and control function in ARGO-F, we have investigated and described the requirements about the automatic aircraft detection system and the various meteorological sensors. This paper addresses the requirements of ARGO Operation System.

실내 및 실외 위치 기반 사용자 상황인식과 시각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발 (User Context Recognition Based on Indoor and Outdoor Location and Development of User Interface for Visualization)

  • 노현용;오세원;이진형;박창현;황금성;조성배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9년도 학술대회
    • /
    • pp.84-89
    • /
    • 2009
  • 핸드폰, PMP, MP3 플레이어 등으로 대표되는 개인 모바일 장치는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이런 모바일 환경의 발전은 사용자의 일상을 이해하고자 하는 라이프로그 연구를 활성화하고 있다. 즉, 모바일 장치의 다양한 센서들을 활용하여 개인의 일상을 기록한 라이프로그는 복잡한 일상에 대한 기억 보조 도구로 사용가능하기에 현재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GPS에 의한 실외 위치뿐만 아니라 무선랜에 의한 실내 위치를 고려하여 상황을 추론하고 시각화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실내에서 GPS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더라도 무선랜을 기반으로 한 실내 위치 추정을 통해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황 인식 성능을 향상시켰다. 또한, 지도 인터페이스 및 블로그를 기반으로 하는 시각화 방법을 개발하였다. 실험에서는 모바일 장비를 가지고 실제 데이터를 수집한 뒤 제안하는 방법을 통해 상황을 인식하고 시각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성능을 평가하였다.

  • PDF

ECG와 호흡 측정이 가능한 모바일 헬스케어 의류 시스템 (The Mobile Health-Care Garment System for Measurement of Cardiorespiratory Signal)

  • 김정도;김갑진;정기수;이정환;안진호;이상국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7A권3호
    • /
    • pp.145-152
    • /
    • 2010
  • 대부분의 모바일 웨어러블 헬스케어 모니터링 의류 시스템은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와 데이터 취득과 무선 통신 및 제어를 담당하는 회로부, 이들을 내장하는 의복으로 구성된다. 기존의 의복형 헬스케어 시스템은 센서를 의복에 장시간 내장하기가 어렵고, 피부 접촉 시 시간에 따라 저항 값이 변화하기 때문에 장기적인 생체 신호 모니터링이 쉽지 않으며, 센서 전극과 회로 사이에 존재하는 신호선의 물리적 장애 요인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PVDF에 PEDOT 재료를 코팅하여 만든 패브릭 나노웹 ECG 전극과 PVDF 필름을 사용한 호흡 센서를 $10\;{\mu}m$ 두께의 디지털 실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의류와 일체화하였다. 탈부착이 가능한 무선 블루투스(Bluetooth) 내장 스테이션과 디지털실로 기존 의류와 일체화한 생체 신호 측정용 의류 제작을 통해, 휴대폰에서 손쉽게 심전도(ECG)와 맥박신호를 표시 할 수 있었다.

u-Home 환경에서 멀티센서 기반 u-Care System 구현 (Implementation of u-Care System Based on Multi-Sensor in u-Home Environment)

  • 이희정;강신재;장형근;정창원;주수종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135-147
    • /
    • 2011
  • 최근 독거노인의 수가 점차 증가함에 따라, 독거노인들의 안전을 위한 시스템이 요구되며, 현재 일부 관련 서비스가 시범운영중이다. 이러한 시스템은 다양한 센서를 이용한 실내위치추적기술을 기반으로 독거노인의 행위에 대한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시스템들이 고가의 인프라가 요구되는 독거노인에게 부착된 태그나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한 홈 환경의 저가의 센서들로 부터 수집된 이벤트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시스템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시스템의 주요 특징으로 서비스 수행 결과를 웹 브라우저를 통해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관련 상황정보를 휴대폰 문자메시지를 통해 보호자 및 헬스케어 관련자에게 제공한다.

Gesture based Input Device: An All Inertial Approach

  • Chang Wook;Bang Won-Chul;Choi Eun-Seok;Yang Jing;Cho Sung-Jung;Cho Joon-Kee;Oh Jong-Koo;Kim Dong-Yoon
    • International Journal of Fuzzy Logic and Intelligent Systems
    • /
    • 제5권3호
    • /
    • pp.230-245
    • /
    • 2005
  • In this paper, we develop a gesture-based input device equipped with accelerometers and gyroscopes. The sensors measure the inertial measurements, i.e., accelerations and angular velocities produced by the movement of the system when a user is inputting gestures on a plane surface or in a 3D space. The gyroscope measurements are integrated to give orientation of the device and consequently used to compensate the accelerations. The compensated accelerations are doubly integrated to yield the position of the device. With this approach, a user's gesture input trajectories can be recovered without any external sensors. Three versions of motion tracking algorithms are provided to cope with wide spectrum of applications. Then, a Bayesian network based recognition system processes the recovered trajectories to identify the gesture class. Experimental results convincingly show the fea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gesture input device. In order to show practical use of the proposed input method, we implemented a prototype system, which is a gesture-based remote controller (Magic Wand).

가상 건축물 시뮬레이션을 위한 클라이언트 중심의 모바일 증강현실 시스템 (Client-Centered Mobile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Virtual Building Simulation)

  • 김은미;임순범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228-236
    • /
    • 2008
  • 최근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시공 전의 건축물이나 복원 중인 문화재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기존의 연구들은 특수 장비를 사용하거나 실외의 장거리에서 사용이 어려운 마커를 사용하였으며, 매번 서버에서 가상 객체의 변환을 계산하므로 서버 부하가 우려되기도 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모바일 증강현실 시스템은 휴대폰의 GPS와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마커 없이도 사용자의 위치 및 방향을 판단하며, 최대한 서버의 부하가 적도록 설계하였다. 서버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얻은 GPS의 위치정보와 카메라의 영상정보를 미리 정의되어 있는 3D 객체와 비교를 하여 위치와 방향을 판단한다. 그리고 계산된 위치와 방향의 가상 건축물 정보와 정합정보를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면 이를 받아 카메라 영상 위에 정합한다. 이후에는 서버와 추가적인 접속 없이 클라이언트 내에서 가속도 센서로 감지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가상 건축물의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 PDF

저 전력 휴대용 디스플레이를 위한 패널 일체형 광 센서 시스템 (Monolithic Ambient-Light Sensor System on a Display Panel for Low Power Mobile Display)

  • 우두형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3권11호
    • /
    • pp.48-55
    • /
    • 2016
  • 노트북, 테블릿 PC 및 스마트폰 등의 휴대 기기를 위한 디스플레이의 전력소모를 낮추기 위해, 주변 밝기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의 밝기를 조정할 수 있는 광 센서 시스템을 연구하였다. 또한, 휴대 기기의 복잡도와 비용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도록, 광 센서 시스템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일체형으로 구현하고자 했으며, 이를 위해서 저온 다결정 실리콘 박막트렌지스터를 이용하여 패널에 광 센서와 신호취득 회로를 집적하고자 했다. 주변 밝기를 감지하는 광 센서의 패널 간 편차를 별도의 공정 설비없이 신뢰성 있게 보정할 수 있도록, 새로운 보정 방식을 제안하였다. 이와 더불어 최종 데이터를 디지털화하기 위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포함한 신호취득 회로를 제안하고 검증하였다. 제안하는 회로는 집적하기에 적합하도록 간단한 구동 신호로 동작되며, 인식 가능한 입력 밝기는 10에서 10,000 lux까지이다. 제안하는 신호취득 회로의 신호취득 주파수는 100Hz이며, 20개의 출력 레벨에 대한 최대 차등 불균일 오차는 0.5 LSB 이하이다.

무선센서네트워크 기반의 모바일 유비쿼터스 헬스케어시스템 (Mobile Ubiquitous Healthcare System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

  • 신광식;치우리안 야우;정완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2107-2112
    • /
    • 2006
  • 노년층의 인구비율이 늘어나면서 IT 기술을 활용한 상시 건강관리 시스템에 관한 관심과 연구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형 저 전력 센서 노드와 핸드폰을 이용한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은 소형 저전력 센서노드간의 네트워크가 가능하며 핸드폰과의 인터페이스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자신의 현재 건강상태를 확인해 볼 수 있다. WIPI기반으로 만들어진 휴대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간단한 건강상태 확인이 가능하고 또한 웹과의 연동을 통해 의료서비스 서버에서 자신의 생체신호에 대한 좀 더 자세하고 정확하게 분석 된 결과를 받아볼 수 있도록 하며 검사된 생체신호 데이터는 DB에 저장이 가능하도록 하여 전문의료진을 통해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IEEE 802.11b/g 방식과 IEEE 802.15.4 방식을 선택사용 할 수 있는 센서 노드 및 베이스 스테이션을 제안하였으며 또한 휴대폰을 통한 데이터통신 및 모니터링을 위한 WIPI기반의 휴대폰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하였다. 또한 웹서버에서의 생체신호 분석 및 모니터링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관리 프로그램이 구동되어 핸드폰과 연동되어 동작하는 전체 서비스모델을 구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