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bile phone sensors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29초

모바일 폰을 이용한 아두이노 자동차 제어 시스템의 설계 (Design of Arduino Automobile Control System using Mobile Phone)

  • 박흥복;서정희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90-291
    • /
    • 2018
  • 본 논문은 모바일 폰을 이용한 자동차 제어를 위한 임베디드 시스템을 설계하고, 아두이노 자동차 모델의 제어에 적용한다. 아두이노 자동자 모델에 여러 가지 센서를 부착하여 실제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건들을 모의 실험하고, 자동차의 주변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장애물 감지와 자동차 간의 거리 측정을 통하여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자동 제어 알고리즘을 설계한다. 그리고 제안된 시스템의 타당성을 분석한다.

  • PDF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용 주행 모니터링 모듈 개발 (Development of Vehicle Motion Monitoring Module based on Smartphone)

  • 황재영;정신일;정연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1903-1909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텔레매틱스와 차량용 블랙박스를 융합 (BIM : Blackbox in Mobile) 하여 차량에서 발생하는 제반 정보를 수집하고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는 모듈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주행 로봇에 센서 및 카메라를 구현, 설치하여 하드웨어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하였으며, 주행 로봇에서 수집된 Data를 안드로이드 기반의 휴대용 디바이스를 통해 확인하였다. 기존의 BIM 연구는 주로 주행 중의 모니터링에 중점을 두어 자료를 저장하는 데에만 치중하여 개발되었으나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기반의 모니터링 모듈은 단순히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이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쉽게 모니터링을 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본 BIM 은 일반 주행 중에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할 뿐만 아니라, 주차 중에도 충격 감지를 통한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소프트웨어적 구현으로 개발되어 생산원가 절감을 통한 범용화가 용이하다.

무선인터넷 플랫폼을 이용한 지능형 홈서비스 로봇의 구현 (Implementation of Intelligent Home Service Robot Using Wireless Internet Platform)

  • 김진환;김동규;손기영;신동석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7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01-205
    • /
    • 2007
  • 본 논문은 휴대폰의 무선 인터넷 플랫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화재 및 가스누출 등 각종 위험을 통보해 주는 지능형 홈서비스 로봇을 구현하였다. 지능형 홈서비스 로봇은 세 가지 구성요소(로봇부, 미들웨어부, 모바일부)로 이루어진다. 로봇부는 가스센서, 불꽃 감지센서, 연기 센서, 초음파 센서, 모터, 카메라, 블루투스 모듈로 구성되며, 각종 위급 상항을 감지한다. 미들웨어부는 미들웨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로봇부와 모바일부를 연결하고, 로봇을 모니터링하며 SMS모듈을 이용하여 응급상황을 통지한다. 모바일부는 TCP/I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미들웨어부와 통신하며 로봇에 각종 명령을 내려주고 행동을 제어한다. 제안된 방식은 Atmega128 프로세서를 통하여 로봇부의 각종 센서를 제어하며, 모바일부는 WIPI 플랫폼 기반으로 개발하였다. 로봇부와 미들웨어부는 가정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모바일부를 통하여 제어된다.

  • PDF

An Implementation of DAQ and Monitoring System for a Smart Fish Farm Using Circulation Filtration System

  • Jeon, Joo Hyeon;Lee, Na Eun;Lee, Yoon Ho;Jang, Jea Moon;Joo, Moon Gab;Yoo, Byung Hwa;Yu, Jae Do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7권6호
    • /
    • pp.1179-1190
    • /
    • 2021
  • A data acquisition and monitoring system was developed for an automated system of a smart fish farm. The fish farm is located in Jang Hang, South Korea, and was designed as circulation filtration system. Information of every aquaculture pool was automatically measured by pH sensors, dissolved oxygen sensors, and water temperature sensors and the data were stored in the database in a remoted server. Modbus protocol was used for gathering the data which were further used to optimize the pool water quality to predict the rate of growth and death of fish, and to deliver food automatically as planned by the fish farmer. By using JSON protocol, the collected data was delivered to the user's PC and mobile phone for analysis and easy monitoring. The developed monitoring system allowed the fish farmers to improve fish productivity and maximize profits.

스케줄과 상황 인식을 결합한 모바일 폰의 프로파일 모드 자동 설정 기법 (A profile Mode Automation Technique for the Mobile Phone using Combination of Schedule and Context-awareness)

  • 서정희;박흥복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1364-1370
    • /
    • 2017
  • 본 논문은 사용자의 핸드셋 처리를 최소화하기 위해 스마트 폰에 내장된 GPS 센서 및 가속도계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외부 상황을 수집하고 사용자 스케줄의 데이터와 상호작용하여 스케줄 컨텍스트 기반의 모바일 폰의 프로파일 모드를 자동 설정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그러나 모바일 폰에서 실시간의 데이터 수집은 배터리 소모로 인하여 장치에 에너지 부족 현상을 나타낸다. 즉, GPS 및 기타 센서와 같은 측정 장치에 액세스하면 휴대용 장치의 전력 소모가 커질 수 있으므로 자원 소모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서비스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따라서 주별 스케줄과 스마트 폰 모드 제어를 위한 상황인식의 효과적인 데이터 공유가 이루어져 데이터 수집을 위한 센싱에 대한 에너지 효율적면에서도 향상되었고, 최종 사용자의 로컬 컨텍스트와 스마트 폰 강제 제어와 같은 다양한 상황에 대한 환경 적응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컨텍스트의 이용에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실험동물용 가시광선/근적외선 생체 이미징 소형 장비의 개발 (Development of Small System for Mobile-Based Visible/NIR Animal Imaging)

  • 엄년식;박희준;정진용;한정현;김형경;장은윤;이석재;강병호;강신원
    • 센서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70-275
    • /
    • 2012
  • In this study, we have developed a mobile-based visible/NIR(Near InfraRed) imaging equipment for the animal testing. This equipment can provide visible, NIR and merged image through the viewer program. Especially, merged image help researcher to understand visual messages at animal in-vivo test. Also, it is available to send real-time images through the smart phone. Researcher can communicate with another researcher who is a long distance away. Also, the equipment was made with portable small size to enable it to commercialize.

카메라 기반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을 위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앱 개발 (Development of Android Smartphone App for Camera-based Remote Monitoring System)

  • 이성규;김진수;김영섭;최철웅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9권5호
    • /
    • pp.87-96
    • /
    • 2011
  • 최근 모바일 사용자들은 언제 어디서나 스마트폰을 이용한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고, 이를 통한 정보 검색 및 공유가 가능하다. 또한, MEMS(micro-electro mechanical systems) 기술의 발달과 함께 첨단 기능을 가진 센서들이 초소형화, 저가격화 되면서 스마트폰의 활용도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스마트폰은 고해상도 카메라, GPS, 자이로스코프, 자기 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센서를 탑재하고 있어 카메라를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 연구에 적합한 시스템 구성을 지닌다.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은 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와 영상 전송을 위한 인터넷 망이 필요하고, 이로 인해 모니터링 장소에 많은 영향을 받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 기술을 이용하여 원격 모니터링이 가능한 모니터링 앱을 설계하고 개발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안드로이드 SDK 2.3을 기반으로 자바와 C를 이용하여 모니터링 앱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니터링 앱은 정해진 시간에 ROI(region of interest)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은 자동으로 서버로 전송되도록 구현되었다. 개발된 앱은 SMS(short message service)를 이용한 원격제어도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모니터링은 스마트폰에 내장된 CMOS 카메라를 이용하여 고해상도 영상 촬영이 가능하며, 3G와 Wi-Fi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촬영된 영상과 정보를 서버에 자동으로 전송 가능하다.

스마트폰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강건한 사용자 행위 인지 방법 (Robust User Activity Recognition using Smartphone Accelerometer Sensors)

  • 전명중;박영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2권9호
    • /
    • pp.629-642
    • /
    • 2013
  • 최근 몇 년 동안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현대인들의 생활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스마트폰의 센서 정보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상황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응용프로그램들이 많이 등장하고 있다. 스마트폰의 센서 정보는 사용자의 습관이나 행동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상황을 인지하기에 좋은 데이터이다. 현재 모바일 센서 중 GPS 센서는 사용자의 기본적인 행위인지에 많이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GPS 센서는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수신이 불가능할 수도 있으며 수신된 데이터 역시 부정확할 수 있기 때문에 활용도가 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에 탑재된 가속도 센서 데이터를 중심으로 한 사용자 행위 인지 방법을 제안한다. 가속도 센서는 데이터 수신이 안정적이며, 사용자의 행위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행위인지에 적합하다. 마지막으로 상태 전이도를 활용하여 합리적인 행위변화의 흐름을 적용함으로써 행위인지의 정확도를 높인다.

영상 및 인체 감지 센서를 활용한 어린이 통학 차량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Child-to-school Vehicle Safety Accident Prevention System Utilizing Video and PIR Sensor)

  • 박상수;박현규;박성철;전문표;이붕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1019-1024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영상 및 인체 감지 센서를 활용한 새로운 슬리핑 차일드 체크 시스템을 설계 및 제작 할 계획이다. 그에 따라 아두이노 기반의 주 제어 장치로 인체감지 센서 및 온도 센서의 데이터 수집을 통해 차량 내부에 사람 유무와 특정한 온도에 따라 발생 할 수 있는 차량 내 사고에 대해서 방지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할 계획이다. 또한 센서들의 값을 블루투스 통신이나 와이파이 통신 방식과 연동하여 휴대폰에 정보 전송을 하여 어플 화면에 센서값을 텍스트로 출력 할 수 있다. 또한 라즈베리파이와 카메라 모듈을 활용하여 차량 내부에 상황을 디스플레이와 스마트폰 스트리밍 서비스를 구축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본 논문에서 실험과 연구를 통해 정량적 목표인 인체감지 센서로 차량 내부를 100% 인식하게 함으로써 통학 차량 내 안전사고를 방지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표이다.

스마트폰 기반 산소 결핍 모니터링 장치 (Smartphone-based O2 Deficiency Monitoring Device)

  • 노병국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17-121
    • /
    • 2015
  • $O_2$-deficiency related accidents occur every year and the most effective way to prevent them is to measure $O_2$ concentration in air with a properly-calibrated $O_2$ monitoring device before entering low-$O_2$ areas. An electro-chemical sensor, Texas Instrument gas platform, and iPhone are used to construct a smartphone-based $O_2$ monitoring device. The smartphone based $O_2$ measuring approach offers advantages of small size, accessibility, internet-connectivity, and programmability in comparison to conventional $O_2$ measuring devices. Multiple gas sensors can be conveniently interfaced to single smartphone, allowing for creating a network of gas sensors distributed across workplaces and remote monitoring via exist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check proper function of the $O_2$ monitoring device the sensor was exposed to shallow and deep human breaths. The readings decreased immediately after being exposed to exhalation and recovered during inhalation to a calibrated level of 20.9%. When readings decreased below a preset warning value of 19.5%, a low $O_2$ warning was successfully activated on the smartph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