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xture phenomena

검색결과 225건 처리시간 0.037초

가열살균한 Lactobacillus rhamnosus와 Lactobacillus plantarum의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 (Hypocholesterolemic Effect of Lyophilized, Heat-Killed Lactobacillus rhamnosus and Lactobacillus plantarum)

  • 김대원;양대혁;김선영;김광수;정명준;강상모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69-74
    • /
    • 2009
  • 유산균은 사람의 장 기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우리는 배지에서 콜레스테롤 농도를 낮추는 균주 Lactobacillus rhamnosus CBT 1702 and Lactobacillus plantarum CBT 1209를 screening하였다. 이 균주들을 이용하여 콜레스테롤 저하효과를 보았다. 콜레스테롤과 담즙산이 함유된 MRS배지에서 콜레스테롤을 동화, 담즙산을 탈결합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렛트에게 이들 균주를 혼합식이하여 콜레스테롤 제거능 정도를 보았다. 실험은 대조군, 고콜레스테롤군(HCD군), 고콜레스테롤에 생균첨가군(LLAB 군)과 고콜레스테롤에 가열살균 균 첨가군(HKLAB)으로 하였다. 그 결과 LLAB군과 HKLAB군이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를 HCD군에 비하여 각각 35%, 40%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그리고 특히 HKLAB군은 HCD군 및 LLAB군과 비교하여 HDL-C를 약 20%씩 유의적으로 증가시키고 LDL-C를 각각 60%, 20%정도 씩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동맥 경화지수인 AI와 심장위험인자 CRF를 비교하였을 때 LLAB 군과 HKLAB군은 HCD군 대비 각각 1.5배, 2배 유의적으로 낮았다. 또한 HKLAB군은 LLAB군에 비해 AI는 30% 유의적으로 낮고 CRF도 24% 유의적으로 낮았다. 결론적으로 본 유산균 Lactobacillus rhamno년 CBT 1702와 Lactobacillus plantarum CBT 1209는 고지혈 랫트의 AI와 CRF값을 감소시켜 동맥경화와 심장질환의 가능성을 감소시켰으며 이의 가열살균 균체는 이에 더욱 효과적이었으며 이러한 증상을 개선시키는 유용한 기능성 원료로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식품(食品) 착색제(着色劑)의 흡착(吸着)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Adsorption of Coloring Food Additives)

  • 박홍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0권3호
    • /
    • pp.201-209
    • /
    • 1987
  • 흡착제에 대한 식용색소의 흡착특성을 구명하기 위해 6종 색소의 여러 용액을 흡착제와 작용시켜 흡착특성과 영향요소를 조사하였다. Kaolin은 적색(赤色)2호(號)의 증류수(蒸溜水), active carbon은 적색(赤色)2호(號), 3호(號)40호(號) 등(等)의 증류수(蒸溜水), 인공위액(人工胃液), 인공장액(人工腸液), 황색(黃色)4호(號)의 증류수(蒸溜水), 인공위액(人工胃液), 황색(黃色)5호(號)의 인공장액(人工腸液), natural aluminum silicate는 적색(赤色)3호(號)의 증류수(蒸溜水), 인공장액(人工腸液), 황색(黃色) 4호(號), 5호(號)의 증류수(蒸溜水) 등에선 Freundlich 식(式)에 일치(一致)하였다. 또한 talc는 적색(赤色) 2호(號), 3호(號), 황색(黃色)5호(號)의 증류수(蒸溜水), 인공위액(人工胃液), 인공장액(人工腸液), 적색(赤色)40호(號)의 증류수(蒸溜水), 인공위액(人工胃液), 황색(黃色)4 의 인공장액(人工腸液)에서 각각(各各) Langmuir식(式)에 일치(一致)하였다. 그리고 ethanol-water mixture에서는 알코올 비율이 낮을수록 흡착(吸着)이 잘 되며 흡착(吸着)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은 온도(溫度)가 증가함에 따라 흡착량(吸着量)은 감소하였다. 또한 각(各) 식품착색제(食品着色劑)의 흡착(吸着) 활화(活化)에너지의 크기순서는 황색(黃色)5호(號) > 황색(黃色)4호(號)> 적색(赤色)2호(號) > 적색(赤色)40호(號) > 적색(赤色)3호(號)의 순(順)이었다.

  • PDF

마우스에서 2,4-Dinitrochlorobenzene을 이용한 아토피성 피부염 발현 관련 면역지표치 분석 (2,4-Dinitrochlorobenzene-induced Atopic Dermatitis Like Immune Alteration in Mice)

  • 이승혜;백성진;김형아;허용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2권4호
    • /
    • pp.357-364
    • /
    • 2006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velop a reliable mice model demonstrating similar immunologic phenomena as human atopic dermatitis characterized with predominance of type-2 immune response. BALB/C mice and NC/Nga mice were sensitized twice with $100{\mu}l$ of 1% 2,4-dinitrochlorobenzene (DNCB) or vehicle (acetone : olive oil=4:1 mixture) in a week and challenged twice with $100{\mu}l$ of 0.2% DNCB or the vehicle at the following week. Mice were sacrificed at 19 days following the second DNCB or vehicle challenge for NC/Nga mice and at 28 days following the second DNCB or vehicle challenge for BALB/c mice. Upregulation of plasma 1gE, a hallmark of atopic dermatitis occurrence, was evident in the plasma obtained 4 day after the second DNCB challenge from BALB/c mice (approximately 4-fold) and NC/Nga mice (approximately 6-fold) treated with DNCB in comparison with that of the vehicle treated-control mice, and remain higher $3{\sim}4$ week after the second challenge. Ratio of plasma IgG1 versus IgG2a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ice treated with DNCB than the control mice, which also implies the skewed type-2 reactivity in vivo. Ratio of interleukin-4 versus interferon gamma produced in the splenic T cell culture supernatants was approximately 3-fold higher in the both strains of mice treated with DNCB than their control mice, respectively. The DNCB-treated mice demonstrated atopic dermatitis-like skin legions characterized with erythma, scaling, and hemorrhage, which was not observed with the control mice. Scratching on face or dorsal area was significantly more frequent (approximately 25-fold) in the DNCB-treated mice than the control at next day of the second DNCB challenge, and scratching frequency remains higher (approximately 4-fold) in the mice treated with DNCB than the control at 14 day following the second DNCB challenge. Overall, the mice model developed through sensitization and challenge with DNCB may be useful for research on atopic dermatitis and development of treatment materials for atopic dermatitis.

Lactobacillus paracasei와 Lactobacillus rhamnosus를 이용한 요구르트의 효모 성장 억제와 품질 향상 효과 (Effects of Yeast Growth Inhibiting and Yogurt Quality Improving with Lactobacillus paracasei and Lactobacillus rhamnosus)

  • 김철홍;남명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12호
    • /
    • pp.1438-1445
    • /
    • 2016
  • 본 연구는 Lactobacillus paracasei와 Lactobacillus rhamnosus가 요구르트에 오염된 효모의 증식을 억제해서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진행하였다. 효모 투입 후 저장기간 동안 효모의 증식 속도는 Lactobacillus paracasei와 Lactobacillus rhamnosus가 포함된 실험구가 대조구에 비해 최소 1일에서 최대 4일까지 지연시켰다. 스웰링 현상은 대조구에 비해 실험구가 효모의 증식 속도를 일정 기간 지연시켜 주는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요구르트 제조 시 Lactobacillus paracasei와 Lactobacillus rhamnosus를 사용한다면, 저장기간 동안의 품질 안정성이 향상되어 유통기한을 연장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발효유 제조업체의 생산성과 소비자의 식품 안전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Lactobacillus paracasei와 Lactobacillus rhamnosus가 요구르트의 품질 기준인 후산 발효와 관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요구르트 제조 후 $10^{\circ}C$에서 저장할 경우 대조구에 비해 실험구의 산도 변화 폭은 미미하여 후산 발효가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제조일로부터 유통기한 만료일까지 일정하게 관능적 풍미를 유지시켜 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로 인해 소비자에 대한 관능적 품질향상을 꾀할 수 있다. 그리고 Lactobacillus paracasei와 Lactobacillus rhamnosus가 추가된 실험구는 대조구에 비해 조직감이 상대적으로 좋았으며, 풍미나 맛 또한 우수하였다. 즉, 요구르트에 Lactobacillus paracasei와 Lactobacillus rhamnosus의 사용은 효모의 증식 억제를 통해 제품 품질의 안전성 향상, 후산 발효 억제로 인한 품질의 균일성 증대, 조직감 및 풍미 향상으로 인한 관능적 품질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판단된다.

젖산균과 온도가 김치발효에 미치는 영향(I) (Effect of Lactic Acid Bacteria and Temperature on Kimchi Fermentation (I))

  • 조영;이혜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5-25
    • /
    • 1991
  • 김치 발효 중에 주로 나타나는 Lac. plantarum, Leu. mesenteroides, Ped. acidilactici, Lac. brevis 등의 젖산균들이 김치 발효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이 젖산균들을 순수배양하여 염도 2.31%의 김치즙에 접종한 후 $30^{\circ}C$, $21^{\circ}C$, $14^{\circ}C$, $7^{\circ}C$에서 발효시키면서 pH및 총산도의 변화, 휘발성 유기산과 비휘발성 유기산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Control group과 Leu. mesenteroides를 접종한 시료, 4종의 젖산균을 혼합 접종한 시효들의 발효온도에 따른 pH 및 산도 변화 경향은 서로 매우 유사하며, 특히 1$14^{\circ}C$에서 이러한 경향은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Lac. plantarum이나 Ped. acidilactici 그리고 Lac. brevis를 접종한 시료들은 control group이나 Leu. mesenteroides, 4종의 젖산균을 혼합접종한 시료보다 더 느리게 pH 및 총산도가 변화하였으며 특히 $14^{\circ}C$에서는 control group과 Leu. mesenteroides 그리고 4종의 젖산균을 혼합 접종한 시료에서만이 발효가 진행되었다. 휘발성산과 비휘발성산의 변화 양상도 control group, Leu. mesenteroides를 접종한 시료, 4종의 젖산균을 혼합 접종한 시료에 있어서 서로 매우 유사하였다. 검출한 휘발성 유기산으로는 formfic, acetic acid뿐이었으며, 이들은 Leu. mesenteroides나 Lac. brevis 등에 의해 주로 생성됨을 알 수 있다. Leu. mesenteroides를 접종한 시료에서 다른 발효온도에서보다 $14^{\circ}C$에서 acetic acid의 함량이 높았다. 비휘발성 유기산은 모든 시료에서 lactic acid가 검출되었고, Leu. mesenteroides를 접종한 시료에서 $21^{\circ}C$$14^{\circ}C$에 citric aicd가 검출되었으며 succinic acid는 controlgroup과 Lac. brevis를 접종한 시료에서 검출되었다.

  • PDF

부재료를 달리하여 제조한 김치의 발효특성 (Fermentative Characteristics of Kimchi Prepared by Addition of Different Kinds of Minor Ingredients)

  • 이진희;조영;황인경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8
    • /
    • 1998
  • 부재료를 달리하여 제조한 김치의 발효속도특성 및 미생물학적 발효양상을 조사하였다. 발효 진행에 따라 김치 시료들의 pH는 감소하고 총산도는 증가하였고, 산화환원전위는 감소되다가 다시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고 발효 최적기에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전 발효 기간 동안 생강, 고추가루 및 혼합시료에서 총생균수와 젖산균수가 많았으며, Leu. mensenteroides의 수는 생강과 고추가루 시료에 많았다. 김치의 적숙기에 젖산균 및 Leu. mensenteroides의 수가 최대이었고 Leu. mensenteroides가 감소하는 시기에 Lac. plantarum이 생기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발효속도 및 미생물 특성의 경시적 변화가 마늘 시료에서는 느리게 적생고추 시료에서는 빠르게 진행되었다. 따라서, 마늘은 젖산균 발효를 비교적 낮은 수준으로 오래 지속되게 하여 김치의 가식일수를 늘이는 저장성 향상에 필요한 부재료이고, 생강과 고추가루는 젖산균과 그 중 Leu. mensenteroides의 생육을 촉진하여김치 맛을 좋게하는데 도움이 되는 부재료라고 생각된다. 그리고, 산화환원전위가 김치의 발효 최적기를 찾는데 유용한 지표가 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수소/메탄 혼합 기체로부터 수소 분리를 위한 두 탑 PSA 실험과 전산 모사 (Experiment and Simulation of 2-bed PSA for Hydrogen Separation from H2/CH4 Gas Mixture)

  • 남기문;정병만;강석현;이창하;이병권;최대기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3권2호
    • /
    • pp.249-258
    • /
    • 2005
  • 활성탄을 흡착제로 하여 2탑 6단계의 PSA(압력 순환식 흡착) 공정을 통하여 수소/메탄(부피비로 60%/40%)의 이성분 혼합기체에서 수소를 분리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PSA 공정에서 순도 및 회수율에 영향을 미치는 흡착압력, 공급 가스 유량, P/F 비를 변수로 하여 실험과 전산모사를 수행하였다. 본 공정에서 정상 상태는 15 cycle 이후에 도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P/F 비와 압력이 증가하고 공급 유량이 감소할 때 수소의 순도가 증가하였고, 반면에 회수율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PSA 공정 전산 모사와 실험을 토대로 순도와 회수율이 최대일 때 최적의 PSA 운전 조건을 정하였다. 최적의 운전 조건은 공급가스의 유량이 22 LPM이고, 흡착 압력이 11 atm이며, P/F 비는 0.10으로 나타났고, 그 결과 수소의 회수율은 75% 이상 얻어졌으며, 순도는 99% 이상의 수소를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비등온 비단열 상태를 고려하였으며, LDF(linear driving force) 모델과 LRC(loading ratio correlation) 등온식을 고려하여 실험과 예상치를 비교하였다.

혼합해빈의 퇴적물 분포 특성과 미지형 경관변화 - 태안해안국립공원 파도리 해빈을 중심으로 - (Sediments Distribution and Micro-topographical Landscape Changes of a Composite Mixed Beach - Padori Beach in Taean National Park -)

  • 이원영;성효현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13
    • /
    • 2013
  • 파도리 해빈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혼합해빈으로써 태안해안국립공원에 속하며 다양한 미지형 경관의 변화가 나타나는 해빈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소산형 저조간석지와 반사형 비치페이스로 이루어진 5~7m의 대조차 혼합해빈인 파도리 해빈의 퇴적물 분포 특성을 미지형과의 관계를 통해 이동 매커니즘을 밝히고 파랑조건과 조석조건에 따른 미지형 경관변화의 양상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첫째, 남부에서 북부로 갈수록 퇴적물 입도가 작아지는 경향성을 보였으며 해빈 남부에 넓게 펼쳐진 파식대가 해식애와 함께 주요한 퇴적물의 기원임을 알 수 있다. 파도리 해빈의 비치페이스와 범의 퇴적물 분포와 해빈을 가로지르는 방향과 연안 방향으로 일정한 입도 분포의 경향성을 보이는 것에 대해서는 선별운반작용으로 설명할 수 있다. 둘째, 혼합해빈의 미지형 경관변화의 주요한 원인에는 파랑과 조석이 있으며, 저파랑 환경에서 범이 발달하고 상부비치페이스에 비치 커습이 나타나는 반면 고파랑 환경에서 범의 규모가 작아지고 상부 비치페이스의 퇴적물은 혼합되는 경향을 보인다.

부유사 입경분포 모의를 위한 간편법 (A simple approach to simulate the size distribution of suspended sediment)

  • 권민혁;변지선;손민우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7권5호
    • /
    • pp.347-357
    • /
    • 2024
  • 많은 연구에서 비점착성 부유사의 입경분포를 평균입경와 표준편차를 이용해 묘사한다. 그러나 부유사는 크기가 다른 많은 입자의 혼합물로 구성되어 있다. 난류조건에서 부유사의 이동은 크기와 밀도로부터 계산된 침강속도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비점착성 부유사의 이동을 이해하려면 입경 분포를 보다 정량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난류조건에서 부유사의 입경분포를 모의할 수 있는 간편한 모형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점착성 유사와 비점착성 유사의 차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점착성 부유사를 위한 추계학적 응집 모형을 비점착성 유사의 입경분포 모의에 적합하도록 수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간편법의 적용성을 살펴보기 위해 선행연구의 실험자료에 적용하여 모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수치 모의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안한 모형이 실험값에서 나타나는 주요한 특성을 모사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유사 이동 모형을 사용하여 부유사 입경분포를 모의하는 접근 방식이 부유사 입경분포의 중요한 특성을 이해하기에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통합 하이브리드시스템의 압력강하 거동 및 바이오필터 담체의 미생물 population 분포 (Pressure Drop of Integrated Hybrid System and Microbe-population Distribution of Biofilter-media)

  • 이은주;임광희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60권1호
    • /
    • pp.116-124
    • /
    • 2022
  • 교대로 운전되는 광촉매반응기 공정, 및 바이오필터 공정(전통적 바이오필터(L 반응기)와 두 개의 유닛(unit)을 가지는 개선된 바이오필터시스템(R 반응기))로 구성된 통합처리시스템에서, 에탄올과 황화수소를 동시 함유한 폐가스 처리를 수행하는데 발생하는 공정 당 압력강하(△p)와 바이오필터 공정의 미생물 population 분포를 관찰하였다. 교대로 운전되는 광촉매 반응기의 △p는, 바이오필터의 △p와 비교할 때에 무시할 정도로 작게 관찰되었다. L 반응기의 △p는, 통합처리시스템의 운전 중에 계속 증가하여 4.0~5.0 mmH2O (i.e., 5.0~6.25 mmH2O/m)로 증가하였다. 한편 R 반응기의 경우에서는 L 반응기의 △p의 약 16~20% 이하인 작은 △p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공극율이 큰 폐타이어 담체 등의 바이오필터 담체 및 R 반응기 설계의 적용이, 목재 칩(wood chip)과 목재 바크(wood bark)의 50 대 50인 혼합물을 바이오필터 담체로 사용한 전통적 바이오필터의 보고된 압력강하 값의 각각 37~50%와 40~53% 만큼 압력강하 저감에 공헌하였다고 분석되었다. 또한 본 연구의 R 반응기 운전에서 압력강하 값이, 공극율이 큰 화산석(scoria)과 compost를 75 대 25로 혼합한 복합 담체를 충전한 전통적 바이오필터의 보고된 압력강하 값보다 약 80%만큼 저감된 결과는 주로 R 반응기 설계의 적용에 기인하였다고 해석되었다. 한편, 통합처리시스템에서 바이오필터 담체의 microbial population 분포로서 L 반응기 및 R 반응기의 담체 내 미생물 콜로니 수 비교에서는 L 반응기가 제일 밑단에서 다른 윗 단의 콜로니 수보다 거의 두 배로 증가하였으나; R 반응기의 경우는 Rdn 반응기와 Rup 반응기 각각의 상단과 하단에서 고르게 분포하였고 L 반응기보다 콜로니 수가 평균적으로 약 50% 정도 더 컸다. 이러한 현상은 R 반응기의 상단과 하단의 함수율이 50-55%의 고른 분포를 보인 것에 기인하였다. 따라서 개선된 바이오필터시스템이 전통적 바이오필터보다 △p와 미생물 population 분포에서 더욱 우수한 특성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