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diments Distribution and Micro-topographical Landscape Changes of a Composite Mixed Beach - Padori Beach in Taean National Park -

혼합해빈의 퇴적물 분포 특성과 미지형 경관변화 - 태안해안국립공원 파도리 해빈을 중심으로 -

  • LEE, Won Young (Dept. of Social Studies(Geography), Ewha Woma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
  • SUNG, Hyo Hyun (Dept. of Social Studies(Geography), Ewha Womans University)
  • 이원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과교육과(지리전공)) ;
  • 성효현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교육과(지리전공))
  • Received : 2013.11.29
  • Published : 2013.12.30

Abstract

Padori beach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composite mixed beach in Korea and shows divert geomorphic landscape change. It belongs to the Taean National Par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movement mechanism of sediments from sediment distribution of Padori beach associated with morphology. In addition, it is to explain morphological landscape change under different wave and tide condition in the composite mixed beach consisting of a dissipative low tide terrace and a reflective beach face with a high tide range of 5 to 7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irst, the mean grain size of sediments becomes smaller from the south of the beach, where there is a wide wave-cut platform, to the north because gravels are supplied from the wave-cut platform as well as sea-cliff in the south of the beach. A sedimentation pattern of the sandy gravel on the beach face and gravel on the berm, and gradation phenomena of grain size on cross-shore and alongshore direction in the beach can be explained with a pattern of sediment movement, overpassing, in the composite mixed beach. Second, micro-topography on beach face and berm were changed depending on effects of wave height and tide. As a result, in low-wave energy environments, a berm is developed in large size, and beach cusps are formed on the upper beach face, while in high-wave energy environments, a berm is built up in relatively small size, and mixture of sediments occur on the upper beach face.

파도리 해빈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혼합해빈으로써 태안해안국립공원에 속하며 다양한 미지형 경관의 변화가 나타나는 해빈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소산형 저조간석지와 반사형 비치페이스로 이루어진 5~7m의 대조차 혼합해빈인 파도리 해빈의 퇴적물 분포 특성을 미지형과의 관계를 통해 이동 매커니즘을 밝히고 파랑조건과 조석조건에 따른 미지형 경관변화의 양상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첫째, 남부에서 북부로 갈수록 퇴적물 입도가 작아지는 경향성을 보였으며 해빈 남부에 넓게 펼쳐진 파식대가 해식애와 함께 주요한 퇴적물의 기원임을 알 수 있다. 파도리 해빈의 비치페이스와 범의 퇴적물 분포와 해빈을 가로지르는 방향과 연안 방향으로 일정한 입도 분포의 경향성을 보이는 것에 대해서는 선별운반작용으로 설명할 수 있다. 둘째, 혼합해빈의 미지형 경관변화의 주요한 원인에는 파랑과 조석이 있으며, 저파랑 환경에서 범이 발달하고 상부비치페이스에 비치 커습이 나타나는 반면 고파랑 환경에서 범의 규모가 작아지고 상부 비치페이스의 퇴적물은 혼합되는 경향을 보인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