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xing ratio

검색결과 3,244건 처리시간 0.034초

구벽안정성을 위한 SMW 최적배합비 및 현장적용 사례에 관한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Optimum Mix Design and Site Application Case of Soil Mixing Wall for Trench Stability)

  • 권영호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7권4호
    • /
    • pp.419-426
    • /
    • 2015
  • 본 연구는 지하식 LNG 저장탱크의 시공에 앞서 연약지반의 개량을 위하여 현장 원위치의 흙과 시멘트, 벤토나이트 등을 사용하는 소일-시멘트 연속벽체를 효과적으로 시공하는 SMW 공법에 대한 배합설계 및 현장적용 사례를 실험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현장조건을 고려하여,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와 벤토나이트를 주재료로 선정하였고, 흙의 단위용적중량은 $1,833kg/m^3$을 적용하였으며, 이에 따른 물-시멘트비 4종류와 배합속도 3수준을 대상으로 블리딩 및 압축강도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은 실내실험 및 현장적용 사례로 나누어 수행되었으며, 실험을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물-시멘트비가 감소할수록, 배합속도(rpm)이 증가할수록, 블리딩량 및 블리딩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물-시멘트비 150% 이하에서 현장적용강도(1.5 MPa)를 만족하였으며, 현장 코아강도는 공시체 강도에 비해 8~23% 증가하였다. 따라서 적용현장 조건을 고려하여 단위시멘트량 $280kg/m^3$, 벤토나이트 $10kg/m^3$, 물-시멘트비 150%, 그리고 배합속도 90 rpm을 현장시공의 최적배합으로 제안하였으며, 현장적용 사례의 실험결과로부터 요구되는 성능을 만족하였다.

모형연소기에서 연료-공기의 혼합정도 및 당량비가 NOx 배출과 열 방출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Effect of the Degree of Fuel-Air Mixing and Equivalence Ratio on the NOx Emission and Heat Release in a Dump Combustor)

  • 조봉국;최도욱;김규보;장영준;송주헌;전충환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3권9호
    • /
    • pp.658-665
    • /
    • 2009
  • Lean premixed combustors are used for significant NOx reduction which one of issues in current gas turbine combustor.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estimate the effects of the unmixedness of fuel-air, equivalence ratio on the instability mechanism, NOx emission and combustion oscillation in a lean premixed combustor.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a dump combustor at atmospheric pressure conditions using methane as fuel. The swirler angle was $45^{\circ}$, the degrees of fuel-air mixing were 0, 50 and 100 and inlet temperature was 650K. The equivalence ratio was ranging from 0.5 to 0.8. This paper shows that NOx emission was increased when the degree of fuel-air mixing is increased in same equivalence ratio and when equivalence ratio is increased. And the range of the combustion instability was enlarged as a function of increasing of the degree of fuel-air mixing.

경사 분사에 의한 초음속 유동 연료-공기 혼합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Fuel/Air Mixing using Inclined Injection in Supersonic Flow)

  • 이동주;정은주;김채형;정인석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8년도 제30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281-284
    • /
    • 2008
  • 스크램제트 엔진의 연소기 내부 유동은 초음속이므로 유동의 잔류시간과 혼합율의 증대가 효과적인 연소를 가능하게 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연료-공기 혼합기로써 개방형 공동 모델을 사용하였고, 공동 앞에서의 경사 연료 분사 시 분사구 주위와 공동 주위의 유동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레이저 슐리렌 기법과 압력측정을 실시하였다. 레이저 슐리렌은 10 ns의 광원 지속시간으로 공동 부근의 비정상 유동 현상을 효과적으로 관찰 할 수 있었다. 또한, 압력측정은 연료 분사 J(운동량비)를 변화시켜 가며 측정하였으며, 운동량비에 따른 연소기 내부 주요 연소발생 지점의 변화를 살펴 볼 수 있었다.

  • PDF

세탁기용 고무 회전 씨일의 밀봉 성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aling Performance of Elastomeric Rotary Lip Seals for Washing Machines)

  • 김태형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31권3호
    • /
    • pp.102-108
    • /
    • 2015
  • In this research, we experimentally investigated the sealing performance of elastomeric rotary lip seals for washing machines. In general, NBR is used as a material for elastomeric rotary lip seals in washing machines, but the mixing formula of the rubber material can affect the sealing performance. In this study, we manufactured rotary lip seals using three kinds of NBRs with a different mixing formula, and examined the sealing performance using an acceleration test mode. The results of an SEM investigation into the surfaces of three kinds of specimens showed a much smaller wear volume and better sealing performance for the specimens with smaller particle sizes of mixing composition than for the specimen with the larger. Repeated deformation and recovery by the shaft-to-seal eccentricity on rotation were shown to cause a phase difference in the rubber material, and we measured the recovery ratio to find the influence of this phase difference on the sealing performance. As another method for checking the phase difference, we also measured tan ä, and a lower tan ä was revealed as the recovery ratio increased for each specimen. Specimens with a higher recovery ratio (lower tan ä) were shown to have a better sealing performance. Consequently, specimens with a smaller particle size in the mixing composition had a better sealing performance because they show a higher recovery ratio.

대전류 고속 TIG 용접 특성에 미치는 He 혼합비의 영향 (Effect of Be Mixing Ratio on the Characteristics of TIG Welding with High Current and High Speed)

  • 오동수;김영식;조상명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제23권3호
    • /
    • pp.54-60
    • /
    • 2005
  • Tungsten Inert Gas(TIG) welding is today one of the most popular arc welding process because of its high quality welds and low equipment costs. Even if welding productivity increases with welding speed and current, this strategy is limited by the appearance of defects such as undercut and humping bead due to the depressed molten met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He mixing ratio on the characteristics with high current and speed in TIG welding. The conclusions obtained permit to explain the arc start characteristics quantitatively and the maximum welding speed on stable bead formation with He mixing ratio for high current and speed TIG welding observed in experiments. Also through the relation of the maximum arc pressure and surface depression depth at high current and speed TIG welding, it made clear the mechanism of unstable bead formation.

경사 분사에 의한 초음속 유동 연료-공기 혼합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Fuel/Air Mixing using Inclined Injection in Supersonic Flow)

  • 이동주;정은주;김채형;정인석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9-15
    • /
    • 2009
  • 스크램제트 엔진의 연소기 내부 유동은 초음속이므로 유동의 잔류시간과 혼합율의 증대가 효과적인 연소를 가능하게 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연료-공기 혼합기로써 L/D=4.8인 개방형 공동 모델을 사용하였고, 공동 앞에서의 경사 연료 분사 시 분사구 주위와 공동 주위의 유동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레이저 슐리렌 기법과 압력측정을 실시하였다. 측정에 사용된 레이저 슐리렌은 10 ns의 매우 짧은 광원 지속시간을 보유하여 공동부근의 비정상 유동 현상을 효과적으로 관찰할 수 있었다. 압력측정은 연료 분사비 J(운동량비)를 변화시켜 가며 측정하였으며, 운동량비에 따른 연소기 내부 주요 압력상승 지점의 변화를 살펴 볼 수 있었다.

PP섬유 혼입율 및 잔골재 종류 변화에 따른 고성능 콘크리트의 폭렬특성 (Spalling Characteristics of High Performance Concrete According to Changes in PP Fiber Ratio and Type of Aggregate)

  • 정홍근;김원기;배장춘;한민철;양성환;한천구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학계
    • /
    • pp.61-64
    • /
    • 2009
  • This study is reviewed fire resistance characteristics of high strength concrete according to changes in PP fiber mixing ratio and type of fine aggregate, and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s fire resistance characteristics, all plain crushed sands prevented spalling regardless of increase in mixing ratio of PP fiber. Mixtures other than the plain showed satisfactory spalling prevention when 0.05 % or more of PP fiber was mixed. After the fire resistance experiment, the plain showed 5.5 % of mass loss rate when fiber was not mixed and others could not be measured. According to increase in mixing ratio of fiber, river sand with fineness modulus of 2.2 showed most satisfactory result of 34 %${\sim}$42 %. Mass loss rate after fire resistance experiment was most satisfactory at about 10 % in the plain crushed sand without mixing of fiber, and all other mixes with 0.05 % PP fiber or more showed 5${\sim}$10 % loss rate.

  • PDF

원심모형시험을 이용한 DCM 처리지반의 안정성 평가 (Stability Analysis of DCM treated Ground Using Centrifuge Test)

  • 김병일;유완규;이승현;한진태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105-110
    • /
    • 2011
  • 최근 해상 연약지반 개량공법으로 저소음, 저진동으로 공해가 적고, 단시간에 큰 강도를 얻을 수 있는 심층혼합공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심층혼합공법 중 하나인 DCM(Deep Cement Mixing) 공법에 대하여 다양한 점토-시멘트 배합비를 갖는 공시체를 제작하여 일축압축강도시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이용하여 적절한 점토-시멘트 배합비를 제안하고자 하였으며, 원심모형시험을 이용하여 접원식 및 벽식 DCM 공법 적용 현장의 케이슨 구조물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일축압축 시험결과 DCM 공법의 최적 점토-시멘트 배합비는 28.5%로 나타났다. 또한 원심모형시험 결과 DCM 공법으로 처리된 지반위에 놓인 케이슨 구조물의 안정성을 확인하였으나, 벽식 DCM 공법이 접원식 DCM 공법에 비해 케이슨 구조물의 수평 변위에 대해서는 7%, 침하에 대해서는 39% 정도 지반개량효과가 다소 크게 나타났다.

충돌형 Quadlet 인젝터의 연소성능 예측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for the prediction of combustion performance of the Unlike Impinging Quadlet Injector)

  • 김종욱;박희호;한재섭;김선진;김유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44-50
    • /
    • 1999
  • Unlike impinging Quadlet injector(OOOF type)에 대한 혼합효율, 혼합특성속도, 혼합특성속도효율을 연소성능을 예측하기 위해 비연소 실험을 통하여 구하였다. 모의 추진제는 물($H_2$O)와 케로신($CH_{1.97}$)을 사용하였고, 혼합상관인자로써 산화제, 연료 분류의 운동량비를 사용하였다. 인젝터 분무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오리피스(orifice) 각 hole에 대한 유량계수, 분무형상, 질량분포 획득이 수행되어졌다. 연구 결과, 침투깊이는 혼합효율, 혼합특성속도, 혼합특성속도 효율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혼합효율 및 혼합특성속도 효율은 MR=1.67(TMR=2.5)에서 87%로 최대값을 가지며 산화제 과잉상태보다 연료 과잉상태에서 더 큰 감소율을 보였다.

  • PDF

GCP의 쇄석과 모래의 배합비 별 응력분담비 (Stress Concentration Ratio of GCP Depending on the Mixing Ratio of Crushed Stone and Sand)

  • 나승주;김민석;박경호;김대현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2권9호
    • /
    • pp.37-50
    • /
    • 2016
  • 쇄석다짐말뚝(GCP)은 연약지반의 지지력 증가와 침하량의 감소를 실현할 수 있어 연약지반 개량에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 GCP 설계에 필요한 응력분담비는 치환율, 상재하중, 깊이 등에 따라 달라진다. 많은 연구자들이 현장실험, 실내실험, 수치해석 연구를 통해 쇄석으로 이루어진 GCP에 대해 치환율에 따른 응력분담비를 제시하였으나, 쇄석과 모래의 배합비에 따른 응력분담비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분석과 수치해석을 통해 배합비와 치환율에 따른 응력분담비를 명확히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인 ABAQUS 6.12-4를 사용하여 GCP가 시공된 복합지반을 모델링하여 배합비와 치환율에 따라 복합지반의 과잉간극수압과 응력분담비를 분석하였다. 선행연구 분석결과, GCP 복합지반의 응력분담비에 관한 연구에서 일반적으로 현장에서 정재하시험, 실내시험, 수치해석을 통해 얻은 응력분담비는 각각 1.7~3, 2~7.5, 2~6.5 범위로 나타났으며, 쇄석과 모래의 배합비에 관한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클로깅현상을 저감시키기 위해 실내실험 한 결과로 쇄석과 모래의 최적배합비가 70:30으로 나타났다. 수치해석결과, 일반적인 GCP 복합지반의 치환율이 증가함에 따라 응력분담비가 치환율 30%까지는 증가하다가 40%에서는 다시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쇄석과 모래의 배합비에 따른 응력분담비는 일반적으로 모래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쇄석과 모래의 배합비가 70:30까지는 증가하다가 60:40 이후에 다시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