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xed-forest

검색결과 655건 처리시간 0.033초

활엽수 알칼리 선추출물 내 헤미셀룰로오스의 분리 및 정제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Hemicelluloses in Alkali Pre-extractives from Mixed Hardwood)

  • 심규정;신희내;윤혜정;이학래
    • 펄프종이기술
    • /
    • 제42권4호
    • /
    • pp.64-70
    • /
    • 2010
  • In this study, hemicelluloses were pre-extracted from mixed hardwood chips using sodium hydroxide solution and then they were isolated from pre-extractives by using various solvents. Isolation was conducted by precipitating hemicelluloses with isopropanol, ethanol, 1,4-dioxane, dimethylsulfoxide (DMSO) and potassium hydroxide (KOH), respectively. The precipitate yield on alkali pre-extractives was the highest when hemicelluloses were isolated by DMSO and then precipitated with ethanol. Most precipitates were yellow colored. The efficiency of isolation was evaluated by analysing the characteristics of isolated hemicelluloses. Isolation using DMSO, KOH and 1,4-dioxane ($80^{\circ}C$) showed rather high efficiency. The highest total separation efficiency was about 77% when alkali pre-extractives were reacted with KOH and precipitated with ethanol. The quantity and purity of isolated hemicelluloses were affected by the solvent type.

Two New Species of the Family Acarosporaceae from South Korea

  • Jung Shin Park ;Young-Nam Kwag ;Sang-Kuk Han ;Soon-Ok Oh
    • Mycobiology
    • /
    • 제51권4호
    • /
    • pp.216-229
    • /
    • 2023
  • Acarosporaceae is a crustose lichen and is known as a species that has more than 50 multispores, and has hyaline spores. Those taxa are often found in rock and soil in mountain areas or coastal regions in Korea, and very diverse forms and species are known. However, after an overall genetic phylogenetic analysis of carbonized ascomata in 2015, species consisting only of the morphological base are newly divided, and several species of Acarosporaceae in Korea are also being discovered in this situation. As a result of analysis using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and nuLSU gene analysis, Korean species belonged to Acarospora and Sarcogyne clade, and Acarospora classified as the Acarospora clade was mixed with the Polysporina group and the Sarcogyne clade is mixed with the Acarospora. We identified two new species (Acarospora beangnokdamensis J. S. Park & S. O. Oh, sp. nov., Sarcogyne jejuensis J. S. Park & S. O. Oh, sp. nov.) through morphological, molecular, and secondary metabolite substance and found one new record (Sarcogyne oceanica K. Knudsen & Kocourk). We have made a classification key for Acarospora and Sarcogyne in Korea and reported all information together here.

혼효림(混淆林)에서 강우량(降雨量)이 유출량(流出量) 및 수관차단률(樹冠遮斷率)에 미치는 영향 (Relation of Run- off and Canopy Interception to Rainfall in a Mixed Forest)

  • 이상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36-38
    • /
    • 1977
  • 물오리나무와 소나무의 혼효림으로 구성된 혼효림(混淆林)에서 1975면(年) 1년간(年間) 강우량(降雨量)에서 수관차단(樹冠遮斷)과 유출특성(流出特性)을 조사분석(調査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았다. 1. 강우량(降雨量) 1072.7mm에 대해 수관차단율(樹冠遮斷率)은 192.3%이고 그 량(量)은 년강우량(年降雨量) 1072.7mm 중(中) 20.7mm이었다. 2. 강우량(降雨量)이 적은 봄과 초여름에는 수관(樹冠)에 의한 차단율(遮斷率)추은 20~50%이고 강우기(降雨期)인 여름에는 15% 이내(以內)로 되었다. 3. 매(每) 강우량(降雨量)이 10mm 전후(前後)일 경우에는 강우량(降雨量)이 약 50%가 수관(樹冠)에 의해 차단(遮斷)되고 20mm가 넘을 경우는 약 20% 정도가 차단되는 경향이 있었다. 4. 년간(年間) 평균(平均) 유출율(流出率)은 24.9%이고 유출량(流出量)은 $1000m^2$당 2,666.4l이었으며 강우량(降雨量)과 유출량(流出量)과의 관계(關係)는 그림 1과 같았다.

  • PDF

Classification과 Ordination 분석법(分析法)의 병용(竝用)에 의한 점봉산일대(點鳳山一帶) 삼림군집(森林群集)의 해석(解析) (The Forest Communities of Mt. Chombong Described by Combined Methods of Classification and Ordination)

  • 김지홍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8권3호
    • /
    • pp.255-262
    • /
    • 1989
  • 강원도(江原道) 점봉산(點鳳山) 일대 중생혼효림(中生混淆林)의 식생(植生)에 대하여 Classification과 Ordination을 병행 사용한 분석법을 시도하였다. 조사 삼림내의 70개 표본구에 나타난 8종(種)의 목본식물(木本植物)의 수도(數度)를 바탕으로, Classification기법(技) 중의 하나인 Cluster 분석에 의하여 다섯 식생군(植生群)이 분류(分類)되었으며, 각 식생군(植生群) 별로 수종(樹種) 다양성(多樣性)도 비교 검토되었다. Cluster 분석이 분류한 식생군(植生群)별 교목(喬木) 수종(樹種)의 중요치(重要値)를 매개변수(媒介變數)로 하여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한 결과로써 각 식생군별 수종(樹種) 구성(構成) 상태(狀態)의 유사성(類似性)을 비교할 수 있었다. 단풍나무, 물푸레나무, 신갈나무 그리고 고로쇠나무의 eigenvector 즉, 식생군이 ordination된 좌표(座標) 위치를 결정하는 인자(因子) 부가율(附加率)이 높게 나타남으로써, 본 연구대상 삼림(森林)에서는 이들 네가지 수종(樹種)의 분포(分布)가 삼림군의(森林群義) 분류(分類)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 PDF

수질개선을 위한 한강 수계 상류지역 산림관리 지불의사금액 추정 (Assessment of the Willingness to Pay for Forest Management in the Upstream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within the Han River Watershed)

  • 김동현;김철상;이호상;박경석;문지민;전현선
    • 환경정책연구
    • /
    • 제14권2호
    • /
    • pp.49-72
    • /
    • 2015
  • 상류지역 산림은 하류지역 주민들이 사용하고 있는 상수원의 수질개선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 하지만 수질개선을 목표로 설치된 한강수계관리기금의 지금까지의 지출구조를 살펴보면, 수계 상류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산림관리에 투자되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수계관리위원회가 수질개선을 위한 산림관리 사업에 대한 지불의사금액을 알아보고 상류지역 산림을 관리하기 위한 예산 규모를 산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물이용부담금 납부자를 대상으로 한강 수질개선을 위한 상류지역 산림관리에 대한 지불의사금액을 추정해 보았다. 한강수계 물이용부담금 납부자를 대상으로 편의 추출법을 사용하여 300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고, 조건부 로짓모형과 혼합 로짓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목적변수인 산림관리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토대로 수계관리기금에서 산림관리를 위해 투자할 수 있는 예산 범위를 추정한 결과, 최소 20,526백만 원에서 최대 20,928백만 원의 규모로 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산정되었다.

  • PDF

Molecular Detection of Phytoplasmas of the 16SrI and 16SrXXXII Groups in Elaeocarpus sylvestris Trees with Decline Disease in Jeju Island, South Korea

  • Geon-Woo, Lee;Sang-Sub, Ha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9권1호
    • /
    • pp.149-157
    • /
    • 2023
  • Phytoplasmas were discovered in diseased Elaeocarpus sylvestris trees growing on Jeju Island that showed symptoms of yellowing and darkening in the leaves. Leaf samples from 14 symptomatic plants in Jeju-si and Seogwipo-si were collected and phytoplasma 16S rRNA was successfully amplified by nested polymerase chain reaction using universal primers. The sequence analysis detected two phytoplasmas, which showed 99.5% identity to 'Candidatus Phytoplasma asteris' and 'Ca. P. malaysianum' affiliated to 16SrI and 16SrXXXII groups, respectively. Through polymerase chain reaction-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 analyses using the AfaI (RsaI) restriction enzyme, the presence of two phytoplasmas strains as well as cases of mixed infection of these strains was detected. In a virtual RFLP analysis with 17 restriction enzymes, the 16S rRNA sequence of the 'Ca. P. asteris' strain was found to match the pattern of the 16SrI-B subgroup. In addition, the phytoplasmas in the mixed-infection cases could be distinguished using specific primer sets.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mixed infection of two phytoplasmas in one E. sylvestris plant, and also the presence of two phytoplasmas (of the 16SrI and 16SrXXXII groups) in Jeju Island (Republic of Korea).

중국 소흥안령 활엽수-잣나무 혼효림에서의 산겨릅나무의 공간분포 양상 (Spatial Pattern of Acer tegmentosum in the Mixed Broadleaved-Korean Pine Forest of Xiaoxing'an Mountains, China)

  • 김광택;려여;이지굉;김지홍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6호
    • /
    • pp.730-736
    • /
    • 2007
  • 생육환경의 이질성은 수목의 개체군 구조와 동태, 군락의 구성 및 종다양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연구는 미세지형이 활엽수-잣나무 혼효림에서의 산겨릅나무 개체군의 공간분포에 미치는 영향과 공간분포 양상을 검토하기 위하여 9 ha의 영구 표본구에 있는 유묘, 치수, 살아있는 성숙목과 고사목에 대하여 공간분포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면경사에 있어서 산겨릅나무는 비교적 완만한 경사를 선호하였다. 사면 방향별 유묘의 밀도는 차이가 없었고, 치수, 살아 있는 성숙목, 고사목의 밀도는 서향, 동남향에서 높게 나타났다. 살아있는 성숙목의 경우, 150 m 이내의 모든 척도에서 집락분포를 하고 있으며, 척도 30 m에서 최고값을 보였고, 고사목은 111 m 이내에서는 집락분포를 하고. 척도 72 m에서 최고값을 보이고 있으며, 111 m보다 큰 척도에서는 무작위분포를 하고 있었다(P < 0.01). 산겨릅나무의 생육단계별 발생 유사성에 있어서 유묘는 치수와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 치수는 살아 있는 성숙목과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 살아 있는 성숙목은 죽은 성숙목과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가 있어 (P < 0.01), 생활사 하위 단계의 발생은 상위단계와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화분분석에 기초한 후빙기 영종도의 환경변화 (Reconstruction of Post-Glacial Environmental Changes in Yeongjong-do Island Based on Palynological Evidences)

  • 박지훈;박경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73-185
    • /
    • 2012
  • 인천 영종도 남부 해안충적평야의 퇴적층을 대상으로 화분분석을 실시하였다. 시료채취 지점(해발고도 7.2m)은 현재 냉온대 중부 낙엽활엽수림대에 속한다. 화분분석에 의해 밝혀진 조사지역 일대의 약 8,900yrBP 이후의 후빙기 환경변화는 다음과 같다. JS-I기(약 8,900~8,500yrB.P.)는 Pinus와 Quercus가 우점하고 일부 Abies와 Picea가 포함된 냉온대 북부의 침활혼효림 시대로서 후빙기 초기의 화분대인 RI대에 대비된다. 이 시대는 현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한랭 건조 했다. JS-II기(약 8,500~4,000yrB.P. 어느 시기)는 Pinus가 우점하는 침엽수림시대로서 후빙기 중기 화분대인 RII대에 대비된다. JS-III기(약 4,000yrB.P.경)는 Pinus, Quercus 및 Carpinus가 우점하는 침활혼합림 시대이다. JS-II기와 JS-III기는 JS-I기 보다 상대적으로 온난 습윤했으며, 현재의 기후환경과 유사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JS-IV기(약 4,000~900yrBP의 어느 시기)는 Pinus가 우점하는 침엽수림시대로서 후빙기 후기 화분대(RIII) 중에서 RIIIa에 대비된다. JS-V기(약 900yrB.P.~현재)는 2차림인 Pinus가 우점하는 침엽수림시대이다. 이 시대는 수목화분보다 초본화분의 출현율이 높고, 초본류 중에서 Fagopyrum 화분이 연속적으로 출현하는 점 등을 고려할 때, 인간간섭대인 RIIIb에 대비된다. JS-V기부터 조사지역 일대의 거주민들은 본격적인 농경생활을 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Analysis of the needs of forest healing facilities for female cancer survivors

  • Eun Kum Lee;Bum Jin Park
    • 농업과학연구
    • /
    • 제50권4호
    • /
    • pp.735-747
    • /
    • 202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appropriate space requirements for forest healing program for physical and mental health care of female cancer survivors in their 40s and 60s.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23, 12 cancer survivors were surveyed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Forest and Daejeon Healing Forest. One Forest Therapy instructor and two researchers conducted a forest healing program once a week for eight sessions of two hours each, Perceptions and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and space were assessed using pre and post program questionnaires, and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the forest healing program on mood status was evaluated. The satisfaction survey results were supplemented by qualitative studies conducted through post-interviews. Result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satisfaction of the participants was very high (4.8/5.0). There was a notable increase in vigor and a decrease in total mood disturbance after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Toilets and water facilities (11), tool boxes (9), pest control facilities (3), deck facilities (3), forest hut (3), electrical outlets (2), shade shelters (2), and shoe hairy (1) were proposed as required facilities for cancer survivors.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forest healing program is effective in reducing distress in female cancer survivors in their 40s and 60s and appropriate facility standards for the forest healing space are needed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cancer survivors.

수고 및 흉고직경 측정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개발 (Development of a Smartphone Application for the Measurement of Tree Height and Diameter at Breast Height)

  • 김동현;김선재;성은지;김동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0권1호
    • /
    • pp.72-81
    • /
    • 2021
  • 본 연구는 다양한 임목 정보를 측정하고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과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Web Application Server, WAS)를 개발하였다. 수고, 방위, 고도, 경사, 위치 좌표는 스마트폰에 내장된 동작센서를 통해 취득된 각도를 삼각법에 적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흉고직경 및 거리는 Google AR Core에서 제공하는 AR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응용하여 측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스마트폰이 측정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 조회, 출력하고 수목의 위치를 카카오 맵에 표시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애플리케이션의 정확성을 평가하기 위해 인공 침엽수림에서 잣나무 90본, 천연 혼효림에서 무작위로 90본을 선정하여 버텍스 및 윤척과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흉고직경과 수고 모두 95% 수준에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흉고직경의 경우 인공 침엽수림이 평균 0.6745 cm, 천연 혼효림에서는 평균 1.0139 cm의 오차를 보였다. 수고는 인공 침엽수림이 평균 0.6714 cm, 천연 혼효림은 평균 1.3297 m의 오차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