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xed number

검색결과 1,706건 처리시간 0.03초

대전의 대표음식 발전 방향 모색을 위한 대전시가 선정한 ‘육미’에 대한 인지 및 수용성 조사 (Public Recognition and Acceptance of Yookmee (‘6 dishes’) Designated by Daejeon Metropolitan City as the Foods Representative of the Daejeon Area)

  • 서윤석;정영진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901-909
    • /
    • 200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ise a scheme for the development of foods designated as Yookmee (“6 dishes), which are representative food of Daejeon area. The Yookmee consist of Seolleongtang(ox bone soup and boiled rice), Samgyetang (chicken stew stuffed with glutinous rice and ginseng), Dolsotbap (boiled rice mixed with vegetables), Goojeukmook (acorn jelly), Sootgol-naengmyeon (cold buckwheat noodles with broth) and Daecheongho minmulgogi-maeuntang (spicy hot freshwater fish soup).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administered by means of an interview regarding the subjects' recognition of and preference for the six dishes, their usual eating places and eating frequencies, the need for some standardization of recipes and for nutrition labeling including serving sizes and nutrient content. The total number of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328 (male 112, female 216) living in Daejeon. The subjects who were aware of the presence of Yookmee were more in their thirties or older (15%) compared to those in their twenties (9.6%) The percentages of the subjects who recognized the Yookmee as the representative foods were twice among those in their thirties (over 60%), as compared to 31.5% in their twenties (p<0.001). Samgyetang was one of the favorite foods of all the Yookmee among those in their twenties and Goojeukmook was the favorite for all the other age groups. The incidence of those eating one of Yookmee more than once a month was 51.5% in all the age groups, but the intake frequency was lower among those in their twenties (43.8%). The percentage of those who recommended Yookmee as a food for guests was the highest among those in their fifties (54.7%). The first reason why the subjects do not recommend these foods was because they were unfamiliar with Yookmee; among those in their thirties and forties the 2nd reason was because it is not much enough in quality or quantity to be served as a food for guests. Over 60% of the subjects felt the need for standardization of Yookmee, recipes for especially those in their fifties did feel the needs (92.5%). Furthemore, regarding labeling of sowing sizes and nutrients contents, over 80% of the subjects wanted these, and this desire tended to increase with age. From these results, it seems reasonable to accept Yookmee as the representative foods of Daejeon, despite the fact that many people do not yet currently do so. Since most of the subjects (85.4%) partake Yookmee outside of their homes, it is recommended that efforts need to be expanded on enhancing the nutritional quality, the taste and the quality control of Yookmee by standardizing the recipes, labeling the serving sizes and nutrient contents, and providing educational and publicity programs.

MIP를 통한 혼합 시멘트계 재료의 미세구조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Microstructure Characteristics of Cementitious Composites by MIP)

  • 김태상;정상화;채성태;이봉춘;우영제;송하원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제20권1호
    • /
    • pp.533-536
    • /
    • 2008
  • 최근 국내에서는 콘크리트의 내구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많은 연구결과들이 발표되고 있는데 특히 염화물의 확산특성과 기공율 및 기공크기의 분포와 연관하여 분석한 논문들이 많아지는 추세이다. 이때 미세구조를 분석하기 위한 방법은 수은 압입법, 가스 흡착법, 화상분석법 등이 있는데, 콘크리트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방법은 수은 압입법이다. 본 연구는 시멘트계 재료의 미세공극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MIP 장비를 이용하여 혼합 시멘트 페이스트와 혼합콘크리트에 대하여 공극율과 공극크기분포를 측정한 결과를 분석한 것이다. 시멘트량 $300kg/m^3$을 기준으로 W/C 35%, 40%, 45%, 50%, 55%, 60%와 고로 슬래그 미분말 60%를 치환하고 W/C 35%, 45%, 55% 및 플라이애시 30%치환하고 W/C 35%, 45%, 55% 인 시멘트 페이스트 시편에 대해서 MIP를 사용하여 3일, 7일, 28일의 공극율과 공극크기분포 등의 변화를 관찰하였으며, 장기간 수중 양생한 일반 OPC 콘크리트와 고로슬래그 미분말 60%를 치환한 혼합 콘크리트에 대해서는 W/C 40%, 45%, 50%, 그리고 결합재량은 $300kg/m^3$, $350kg/m^3$, $400kg/m^3$, $450kg/m^3$로 변화시킨 시편에 대해 MIP를 사용하여 미세구조를 분석하였다.

  • PDF

혼합모형을 이용한 특성화고 졸업생의 임금결정요인 분석 (The wage determinants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using mixed effects mode)

  • 류장수;조장식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7권4호
    • /
    • pp.935-94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실시한 "2013 고졸자 취업진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특성화고 졸업자의 임금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그런데 임금은 개인수준의 인적특성 (1-수준)과 취업지역 수준의 산업특성 (2-수준)에 의해 영향을 받는 다층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다층구조 자료특성을 가지는 복수의 분석단위 구조가 되면, 전통적인 회귀분석과 같이 개인수준의 임금이 독립이라는 가정을 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개인수준의 임금에 영향을 미치는 다층구조의 특성을 가진 변수들의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한 타당한 방법으로 위계적 선형모형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전통적인 회귀분석과 위계적 선형모형의 비교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주요 결과를 얻었다. 첫째, 다층구조를 갖는 위계적 선형모형이 전통적인 회귀모형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2-수준의 총근로시간과 상용직의 평균임금이 개인수준의 임금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마이스터고 졸업생이 그렇지 않은 졸업생에 비해서, 부모의 소득이 높을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개인수준의 임금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넷째, 부모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학점이 높을수록, 학교 만족도가 높고 자격증 수가 많을수록 임금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2-수준의 산업특성을 고려한 랜덤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봄철 미세분진이 북경시 아동 폐기능에 미치는 급성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ute Effects of Eine Particles on Pulmonary Function of Schoolchildren in Beijing, China)

  • 김대선;유승도;차정훈;안승철;차준석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40-148
    • /
    • 2004
  • To evaluate the acute effects of fine particles on pulmonary function, a longitudinal study was conducted.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the schoolchildren (3rd and 6th grades) living in Beijing, China. Each child was provided with a mini-Wright peak flow meter and a preformatted health symptom diary for 40 days, and was trained on their proper use. Participants were instructed to perform the peak flow test three times in standing position, three times a day (9 am, 12 pm, and 8 pm), and to record all the readings along with the symptoms (cold, cough, and asthmatic symptoms) experienced on that day. Daily measurement of fine particles (PM$_{10}$ and PM$_{2.5}$) was obtained in the comer of the playground of the participating elementary school for the same period of this longitudinal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peak expiratory flow rate (PEFR) and fine particle levels was analyzed using a mixed linear regression models including gender, height, the presence of respiratory symptoms, and daily average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as extraneous variables. The total number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this longitudinal study was 87. The range of daily measured PEFR was 253-501$\ell$/min. In general, the PEFR measured in the morning was lower than the PEFR measured in the evening (or afternoon) on the same day. The daily mean concentrations of PM$_{10}$ and PM$_{2.5}$ over the study period were 180.2$\mu\textrm{g}$/㎥ and 103.2$\mu\textrm{g}$/㎥, respectively. The IQR (inter-quartile range) of PM$_{10}$ and PM$_{2.5}$ were 91.8$\mu\textrm{g}$/㎥ and 58.0$\mu\textrm{g}$/㎥. During the study period, the national ambient air quality standard of 150$\mu\textrm{g}$/㎥ (for PM$_{10}$) was exceeded in 23 days (57.5%). The analysis showed that an increase of 1$\mu\textrm{g}$/㎥ of PM$_{10}$ corresponded to 0.59$\mu\textrm{g}$/㎥ increment of PM$_{2.5}$. Daily mean PEFR was regressed with the 24-hour average PM$_{10}$ (or PM$_{2.5}$) levels, weather information such as air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cluding gender, height, and respiratory symptom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increase of fine particle concentrations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variability in PEFR. The IQR increments of PM$_{10}$ or PM$_{2.5}$ (at 1-day time lag) were also shown to be related with 1.54 $\ell$/min (95% Confidence intervals: 0.94-2.14) and 1.56$\ell$/min (95% CI: 0.95-2.16) decline in PEFR.R.ine in PEFR.ine in PEFR.

THE EFFECT OF MONOMER TO POWDER RATIO ON POLYMERIZATION SHRINKAGE-STRAIN KINETICS OF POLYMER-BASED PROVISIONAL CROWN AND FIXED PARTIAL DENTURE MATERIALS

  • Kim, Sung-Hun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735-742
    • /
    • 2007
  • Statement of problem. Although a number of previous investigations have been carried out on the polymerization shrinkage-strain kinetics of provisional crown and fixed partial denture (FPD) materials, the effect of the changes of liquid monomer to powder ratio on its polymerization shrinkage-strain kinetics has not been reported.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liquid monomer to powder ratio of polymer-based provisional crown and FPD materials on the polymerization shrinkage-strain kinetics. Material and methods. Chemically activated acrylic provisional materials (Alike, Jet, Snap) were investigated. Each material was mixed with different liquid monomer to powder ratios by volume (1.0:3.0, 1.0:2.5, 1.0:2.0, 1.0:1.5, 1.0:1.0). Time dependent polymerization shrinkage- strain kinetics of all materials was measured by the bonded-disk method as a function of time at $23^{\circ}C$. Five recordings were taken for each ratio.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one-way ANOVA and the multiple comparison Scheffe test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0.05. Trends were also examined by linear regression. Results. At 5 minutes after mixing, the polymerization shrinkage-strains of all materials ranged from only 0.01% to 0.49%. At 10 minutes, the shrinkage-strain of Alike was the highest, 3.45% (liquid monomer to powder ratio=1.0:3.0). Jet and Snap were 2.69% (1.0:2.0) and 1.58% (1.0:3.0), respectively (P>0.05). Most shrinkage (94.3%-96.5%) occurred at 30 minutes after mixing for liquid monomer to powder ratio, ranging from 1.0:3.0 to 1.0:1.0. The highest polymerization shrinkage-strain values were observed for the liquid monomer to powder ratio of 1.0:3.0. At 120 minutes after mixing, the shrinkage-strain values were 4.67%, 4.18%, and 3.07% for Jet, Alike, and Snap, respectively. As the liquid monomer to powder ratio increased, the shrinkage-strain values tend to be decreased linearly (r=-0.769 for Alike, -0.717 for Jet, -0.435 for Snap, $r^2=0.592$ for Alike, 0.515 for Jet, 0.189 for Snap; P<0.05). Conclusion. The increase of the liquid monomer to powder ratio from 1.0:3.0 to 1.0:1.0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hrinkage-strain kinetics of polymer-based crown and FPD materials investigated. This increased the working time and decreased the shrinkage-strain during polymerization.

소아에 발생한 악성 난소 종양 (Malignant Ovarian Tumor in Children)

  • 신혜아;김대연;조민정;김태훈;김성철;김인구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16권2호
    • /
    • pp.134-142
    • /
    • 2010
  • Malignant ovarian tumors in children are very rare, and consist of about 1 % of all childhood malignant tum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treatment, and prognosis for children with malignant ovarian tumor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children under 15 years of age with malignant ovarian tumors who had been treated surgically at Asan Medical Center between 1989 and March 2009. There were 32 patients, ranged in age at surgery from 2 to 15 years (mean; 10.4 years). 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64.7 months (from 1 month to 188 months). Pathologic diagnosis were; immature teratoma (n=10), mixed germ cell tumor (n=10), and dysgerminoma (n=6). Tumor stage was classified by the staging system of the International Federation of Gynecology and Obstetrics (FIGO). The number of patients in stage I, II, III, and IV were 24 (75 %), 2 (6.2 %), 4 (12.5 %), and 2 (6.1 %), respectively. The tumor recurred in 4 patients. Seven patients of group 1 did not receive postoperative adjuvant chemotherapy, and in three of them, the tumor recurred. Twenty-five patients (group 2) underwent postoperative adjuvant chemotherapy, and there was only one recurrence. One patient who did not receive postoperative adjuvant chemotherapy and expired 10 months after operation because of tumor recurrence and distant metastasis. The overall 5-year event free survival (EFS) was 84.2 %: group 1 in 44.4 %, and group 2 in 95.7 %. Tumor recurrence was related to the postoperative adjuvant chemotherapy (p=0.004). In conclusion, proper surgical procedures with relevant postoperative adjuvant chemotherapy might improve clinical results in children with malignant ovarian tumors.

  • PDF

창덕궁 지당의 변화과정 연구 - 동궐도를 기준으로 - (A Study on the Transition of Jidang in Changdeok-Place - Based on the Donggwoldo -)

  • 강기래;이기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07-118
    • /
    • 2010
  • 왕조시대의 궁궐은 그 나라의 문화와 예술을 대표할 수 있는 집합체이며, 궁궐은 왕과 그 일가족들의 신분과 안전을 보장하고 문화적인 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공간과 한 국가를 통치하기 위한 정치적 행위의 장소로 사용되었다. 조선시대의 왕들은 그들의 사상적 배경인 성리학을 건국이념으로 삼았다. 그리고 그들 사상을 되새기고자 방지와 원도 등을 조성하였고, 이 방지는 조선시대 궁궐조경의 가장 뚜렷한 특징이다. 이러한 조선궁궐 내 지당(池塘)의 형태를 파악하고 그 변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원형의 복원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고 지당조성에 깃든 철학을 다시 한 번 되새기는 기회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는 조선시대 궁궐 중 그 원형이 가장 잘 보존된 창덕궁(昌德宮)을 대상으로 이전의 특정기록을 시점으로 하여 원형이 보존된 지당, 변형이 된 지당, 그리고 멸실된 지당을 찾거나 그 위치를 추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그리고 원형이 유지되고 있는 지당, 형태가 변형된 지당, 멸실된 지당의 위치추정, 후대에 발견된 지당 등으로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동궐도(東闕圖)상에 나타난 지당의 총 개수는 17개소이며, 원형이 유지되고 있는 지당은 4개소, 형태가 변형된 지당은 5개소, 멸실된 지당은 8개소이며, 새로 나타난 지당은 2개소로 고찰하였다. 그리고 도출된 결과로 복원 및 복구의 의견을 제시하였다. 오늘날처럼 지식과 정보가 순간 이동되고 문화와 국경의 구분까지도 모호하게 혼합되어 가는 상황에서 우리의 마음속에 공통적으로 내재되어 이어지는 전통 문화의 하나인 방형 지당을 현 시점에서 점검하고자 본 연구가 수행되었다.

한국 동해안 독도의 해조상 및 대황(Eisenia bicyclis) 부착기의 생물상 (Marine Algal Flora and Ecological Role of Eisenia bicyclis in Dokdo, East Sea, Korea)

  • 박서경;이정록;허진석;안대성;이행필;최한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13-626
    • /
    • 2014
  • 독도 해역의 해조류는 2013년 5월과 7월에 14개 정점에서 정성채집 하였으며, 대황의 생태학적 역할을 확인하기 위하여 7월과 11월에 23개체를 채집하여 부착기에 서식하는 해조류와 동물을 동정하였다. 대황의 줄기길이와 무게의 회귀식으로 생물량을 측정하였다. 해조류는 녹조류 18종, 갈조류 35종과 홍조류 75종을 포함하여 총 128종이 관찰되었으며, 성긴분기형이 47.66%로 가장 우점하였고 안정된 환경에 서식하는 ESG I그룹에 속하는 종이 91종(71.09%)이었다. 또한, R/P, C/P, (R+C)/P는 2.14, 0.51과 2.66으로 온대성과 혼합성 해조상을 보였다. 대황의 생물량은 $23.74kg\;m^{-2}$이고 밀도는 64 fronds $m^{-2}$로 확인되었다. 한편, 대황의 부착기에서 해조류 12종과 동물 83종(환형 15종, 연체 25종, 절지 34종, 극피 3종, 기타 6종)의 1,248개체가 동정되어 생태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핵심종으로 확인되었으며, 넓은마디육질꼬리옆새우붙이가 538개체(43.11%)로 가장 우점하였다. 본 연구 결과 독도의 해조류 출현종수는 이전 연구에 비해 증가하였고 성긴분기형과 ESG I 해조류가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나 현재까지 독도 연안의 환경은 매우 안정된 상태라고 판단된다.

꿀벌부채명나방[Galleria mellonella (L.)] 사육을 위한 경제적 인공사료 개발 (Development of Economical Artificial Diets for Greater Wax Moth, Galleria mellonella (L.))

  • 이승욱;이동운;추호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85-392
    • /
    • 2007
  • 본 연구는 꿀벌부채명나방의 경제적 사육을 위한 인공사료 개발을 위하여 수행하였다. 가격이 비싼 벌꿀을 대체하여 물엿과 설탕을 이용한 사료별 꿀벌부채명나방의 발육과 발육기간 및 산란수, 성충 수명 등을 조사하였다. 당 종류별 유충의 두폭과 체장은 비슷하였으나 체중은 1/2벌꿀 + 1/2물엿 처리가 255.5 mg으로 가장 무거웠고, 설탕은 144.3 mg으로 가장 가벼웠다. 꿀벌부채명나방 번데기의 체중도 1/2벌꿀+1/2물엿이 196.7 mg으로 가장 무거웠다. 당 종류별 꿀벌부채명나방의 유충 발육기간은 벌꿀이 포함된 사료가 30.9일로 가장 짧았으며 설탕은 36.5일로 가장 길었다. 꿀벌부채명나방의 용화율과 우화율은 79.3% 이상이었다. 모든 사료에서 꿀벌부채명나방의 교미 성충의 수명은 암컷이 $6.3{\sim}8.0$일이었고, 수컷은 $7.9{\sim}11.2$일이었다. 사료별 꿀벌부채명나방 암컷 성충의 산란수는 설탕물 첨가 사료에서 1,269개로 가장 많았다. 당 종류별 인공사료 조성에 대한 비용은 밀기울이 쌀겨보다 10배 정도 많았으며, 벌꿀은 물엿과 설탕의 6배와 13배였다.

루테늄촉매 활성정도에 따른 유리섬유/폴리다이사이클로펜타다이엔 복합재료의 기계 및 계면물성 변화 (The Change in Interfacial and Mechanical Properties for Glass Fiber/p-DCPD Composites with Degree of Ruthenium Catalyst Activation)

  • 신평수;김종현;백영민;박하승;권동준;박종만
    • 접착 및 계면
    • /
    • 제19권1호
    • /
    • pp.13-18
    • /
    • 2018
  • 루테늄촉매는 대기중에 노출되었을 때, 촉매활성정도가 떨어지게 된다. 루테늄 촉매의 촉매활성변화를 대기노출 일수에 따라 표면장력방법을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확인하였다. 각 대기노출일수에 따른 루테늄 촉매를 이용하여 DCPD 중합 후 기계 및 계면물성변화를 확인하였다. 희석제와 10:1로 섞인 루테늄 촉매를 대기 중에 노출 시킨 후 각 일수에 따라 색깔 관찰하였다. 윌헴리 및 PTFE를 이용하여 표면장력을 구하고 이를 촉매활성 정도와 연관시켰다. 각 촉매를 이용하여 DCPD를 중합시키는 데 발열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였다. 경화 후 p-DCPD에 대하여 인장강도를 측정하여 물성감소정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유리섬유 간 마이크로드롭렛 풀 아웃 실험을 통하여 계면물성 또한 파악하였다. 표면장력방법을 통하여 촉매활성 정도를 확인하였을 때, 4일까지는 33 dyne/cm로 안정적이었지만, 6일 이후로 표면장력이 34 dyne/cm 이상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는 촉매의 산화와 연관시킬 수 있었다. 기계적 물성 확인하였을 때, 인장강도 및 계면강도 또한 6일 (인장강도: 38 MPa. 계면전단 강도: 26 MPa) 까지는 안정적이었지만 10일 (인장강도: 15 MP. 계면전단강도: 3 MPa) 이후로 물성이 급격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