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tocondria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초

제초제 Paraquat의 NAD(H) 산화환원에 대한 영향 (Effect of Herbicide Paraquat on NAD(H)-Redox-cycle)

  • 김미림;최경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304-310
    • /
    • 2005
  • 생체세포에 대한 paraquat의 독작용은 superoxide dismutase 활성저해에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세균이 paraquat에 매우 짧은 시간동안의 노출에 의하여서도 독작용을 받을 수 있는 것으로 검토됨에 따라 paraquat의 독작용의 하나로서 전자전달에 미치는 영향 중 NAD(H)의 산화 및 환원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시균의 원형질막 획분, rat mitocondria분산액 및 NAD-dependent dehydrogenase에 의한 산화 및 환원시 paraquat 첨가구에서 반응 Graph의 경사도가 더 컸으며, 반응 개시점 및 종결점이 대조구에 비해 낮은 결과로 반응이 가속화되는 결과를 볼 수 있었다. 반응을 경시적으로 NAD(H)의 함량변화로 검토한 결과에서도 원형질 막 획분과 rat mitocondria 분산액을 이용한 경우에 10분간의 NADH산화량이 대조구는 각각 960 mM, 1,187 mM이었으나 Paraquat 처리구는 각각 1,200 mM, 1,434 mM로 Paraquat 처리구가 반응 가속화 경향을 보였다. NAD(H) dependent dehydrogenase에 의한 NAD(H)의 산화 및 환원 반응에서도 대조구에 비하여 Paraquat 처리구가 초기반응의 가속화 및 총산화량의 증가를 보였다.

Dietary Docosahexaenoic Acid Decreases Plasma Triglycerides with Mixed Effects on the Indices of $\beta$-oxidation

  • Cha, Youn-Soo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0권9호
    • /
    • pp.1067-1072
    • /
    • 1997
  • One known effect of long chain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s their ability to decrease plasma triglycerides. However, identification of the specific n-3 fatty acids and the underlying mechanisms responsible for this change remains uncertain. This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moderate levels of dietary docosahexaenoic acid (22 :6(n-3)) on modulating plasma triglyderides. Male CD-1 mice were maintained for 15 days on identical diets containing either docosahexahexaenoic acid ethyl ester(1.5%, w/w) or linoleic acid(18 : 2(n-6)) ethyl ester (1.5%, w/w) . Plasma triglycerides were 40% lower in the docosahexaenoic acid group than in the linoleic acid group. Hepatic carnitine palmitoyltransferase activity (a key regulatory enzyme for mitocondria $\beta$-oxidati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dietary groups. However, plasma acid soluble acylcarnitine levels (which increase with increasing $\beta$-oxida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decosahexaenoic acid group. This data suggests that plasma triglyceride levels are lower in mice fed diets containing moderate levels of docosahexaenoic acid compared to linoleic acid, but this effect on plasma triglycerides is not modulated through an augmentation of mitochondrial $\beta$-oxidation.

  • PDF

옥수수 미토콘드리아 NAD4유전자의 cDNA cloning과 특이한 RNA editing 현상 (Molecular cDNA cloning and unusual RNA editings of NAD4 gene from Zea mays mitochondrion)

  • 설일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203-207
    • /
    • 1998
  • 본 연구는 옥수수에서 분리한 미토콘드리아에서 NADH-dehydrogenase 유전자 (subunit 4)의 cDNA를 RT-PCR의 방법을 사용하여 조제 한 ㅜ 염기서열 수행한 경과 특이한 점을 감지 할 수 있었다. 일반적인 RNA cditing은 C에서 U로 또는 U에서 C로 치환되는 현장으로 옥수수의 NAD4유전자에서도 이러한 editing 형상이 일어나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는 T가 G로 그리고 G 가 A로 변화되는 특이한 부분들이 생성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RNA ediring은 주로 exon 1과 exon 4 에 많이 일어나며, 염기 치환되는 부분들은 에서늬 NAD4유전자의 RNA edting site들과 일피하지 않은 점으로 미루어 보아 RNA editing 현상은 무작의로 생성된다고 본다.된다고 본다.

  • PDF

개량조개 과 4종의 정자미세구조 (Spermatozoan Ultrastructure of 4 Species in Mactridae)

  • 김진희;유명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504-511
    • /
    • 2002
  • 본 연구는 개량조개과에 속하는 동죽, Mactra veneriformis, 개량조개, M chinensis, 북방대합, Spisula sachalinensis, 왕우럭, Tresus keenae을 대상으로 정자의 미세구조를 조사하였다. 조사한 4종 모두 primitive type의 정자를 가지고 있었다. 첨체모양은 4종 모두 유사한 형태로 첨체의 앞쪽은 전자밀도가 낮은 부분 (elp)이고, 첨체의 뒤쪽은 전자밀도가 높은 부분 (edp)로 나누어지는 변형된 모자모양이다. 4종의 정자의 핵 모양은 상대적으로 차이가 있어 구분이 가능하며, 특히 Mactra 속의 2종은 핵의 모양이 서로 유사하다. 그리고 정자의 중편부를 구성하고 있는 미토콘드리아수는 4종 모두 4개로 나타났다. 개량조개 과 조개의 정자형태는 종 특이성을 가지고, 특히 첨체는 다른 과의 조개류와 다른 과수준의 특이성으로 판단된다.

제초제 Paraquat의 전자수용 및 방출에 대한 영향 (Effect of Herbicide Paraquat on Electron Donor and Acceptor)

  • 김미림;최경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311-315
    • /
    • 2005
  • Pparaquat의 전자수용 및 방출에 대한 작용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Rat mitocondria분산액에 paraquat를 첨가하였을 때 반응액이 청색으로 변색되었으며 Aluminium 박 또는 동전극을 장치한 photo cell중에서 paraquat에 전류를 통한 경우에도 음극에서부터 청색으로 변색되기 시작하여 660 nm에서 높은 홉광도를 나타내었다. 이 착색반응은 반응액에 산소를 첨가함으로서 탈색되었다. Paraquat에 $H^+$을 첨가하고 전류를 통한 결과 340 nm에서의 홉광도가 증가되었으며 경시적인 흡광도 증가의 모양은 $NAD^+$에 전류를 통한 경우와 거의 일치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paraquat가 전자를 수용 또는 방출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고 이러한 paraquat의 작용이 생체내에 이화작용에서 생성되는 전자를 포획하고 산소에 직접 넘겨줌으로써 cytochrome 호흡쇄로의 단계별 전자전달계가 차단되어 급성독성을 일으키는 요인으로 추정된다.

Inhibition of Nitric Oxide-induced Neuronal Apoptosis in PC12 Cells by Epigallocatechin Gallate

  • Jung, Ji-Yeon;Jeong, Yeon-Jin;Han, Chang-Ryoung;Kim, Sun Hun;Kim, Hyun-Jin;Lee, Ki-Heon;Park, Ha-Ok;Kim, Won-Jae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9권4호
    • /
    • pp.239-246
    • /
    • 2005
  •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nitric oxide (NO) is associated with many pathological diseases such as brain ischemia, neurodegeneration and inflammation. The 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a major compound of green tea, is recognized as protective substance against neuronal diseases. This study is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GCG on NO-induced cell death in PC12 cells. Administration of sodium nitroprusside (SNP), a NO donor, decreased cell viability in a dose- and time-dependent manner and induced genomic DNA fragmentation with cell shrinkage and chromatin condensation. EGCG diminished the decrement of cell viability and the formation of apoptotic morphologenic changes as well as DNA fragmentation by SNP. EGCG played as an antioxidant that attenuated the 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by SNP. The cells treated with SNP showed downregulation of Bcl-2, but upregulation of Bax. EGCG ameliorated the altered expression of Bcl-2 and Bax by SNP. The release of cytochrome c from mitochondria into cytosol and expression of voltage -dependent anion channel (VDAC)1, a cytochrome c releasing channel in mitochondria, were increased in SNP-treated cells, whereas were attenuated by EGCG. The enhancement of caspase-9, preceding mitochondria-dependent pathway, caspase-8 and death receptor-dependent pathway, as well as caspase-3 activities were suppressed by EGCG. SNP upragulated Fas and Fas-L, which are death receptor assembly, whereas EGCG ameliorated the expression of Fas enhanced by SNP.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EGCG has a protective effect against SNP-induced apoptosis in PC12 cells, through scavenging ROS and regulating the mitocondria- and death receptor-mediated signal pathway.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EGCG might be a natural neuroprotective subst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