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nimum residential area standard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39초

최소주거기준에 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Housing Standard)

  • 김도연;김민경;윤재신;전남일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03-208
    • /
    • 2008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residential standard, and at the same time to investigate the area of the minimum residential standard in the countries of the world through the preceding studies. In addition, it also aims at establishing the objective residential standard by comparing the residential standard of Korea with that of foreign countries, examining the problems and finding out the matters to be improved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residential standard in advanced countries with the minimum residential standard of Korea. The standard residential area, derived from the process of examining the minimum residential standard, will be used as the basic material for the calculation of the reasonable area in the surface plan for the study of low-cost housing development. The method of the study i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residential standard and at the same time to find out the problems in the minimum residential standard of Korea and improvement methods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residential standards in other countries. As the result of the studies focused on the area among the residential standards, it is found out that the Korea's residential area per capita is established as the least in comparison with that of advanced countries. The real area decided depending on the size of social space suitable for living can play a role in improving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the person's living in the residential area. Therefore, it is urgently necessary to make a depth study on the surface area of the minimum residential standard, and it is also required to propose the residential standard and direc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ative level rather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residential structures.

  • PDF

한국의 초고령사회를 대비한 최소주거면적 기준의 인체측정학적 방법 연구 - Karl H. E. Kroemer의 인체측정학적 데이터 적용 방법 - (A Study on the Anthropometrical Method of Minimum Residential Space Standard for the Super-Aged Society of Korea - by Anthropometrical Data Application Methods of Karl H. E. Kroemer -)

  • 이호성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3권1호
    • /
    • pp.15-24
    • /
    • 2017
  • Purpose: Korea is expected to enter an aged society in 2018 and then a super-aged society in early 2025. The country's aging is progressing faster than any other country in the world. However, the foundation of the elderly friendly industry is weak, and measures at the government level are urgently needed. Especially, housing problems of the elderly are one of the most urgent measures to be taken. Korea does not have the minimum residential area standard for the elderly, and the current general minimum residential area standard is based on the survey of the housing situation without scientific evidence. Therefore, both standards need to be revised as soon as possible based on scientific evidence. Methods: The minimum residential area standard has been calculated following Karl H. E. Kroemer's Min or Max design also being called as-single cut and dual cut theory- as the maximum population value and minimum population value theory of Ernest J. McCormick.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formula made using a few key factors, such as corresponding dimension, practical dimension, clearance, spare dimension, integrated dimension. These elements can be defined and used as formulas to calculate minimum residential area standards. Results: Assuming the results of the spatial variability in this study showed that it is possible to raise the standard of living in a terms of sustainable minimum size for the young, old and all residents. Implications: The government should set a minimum residential area standard with scientific grounds and set up a policy improving the life of people who live in an needy residential environment.

공공임대주택의 유형별 주거환경 비교 분석: 최저주거기준 미달을 중심으로 (Comparison of Residential Environment by Public Rental Housing Type: Focusing on Failing to Meet the Minimum Housing Standard)

  • 이다은;오지영
    • 토지주택연구
    • /
    • 제15권1호
    • /
    • pp.23-38
    • /
    • 2024
  • 본 연구는 유형별 공공임대주택의 주거환경을 최저주거기준과 세부 기준을 중심으로 ANOVA, 다항로지스틱모형을 활용하여 미시적으로 살펴보았다. 주요 실증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입주자뿐만 아니라 최저주거기준과 세부 기준은 공공임대주택 유형별로 특성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두 번째, 행복주택은 최저주거기준 미달비율과 설비기준을 제외한 나머지 세부 기준의 미달비율이 높아, 전반적인 주거환경이 가장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영구임대, 국민임대, 매입/전세임대 중 영구임대의 최저주거기준과 면적·방기준이 취약하였으며, 매입/전세임대는 구조·성능·환경기준의 미달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네 번째, 매입/전세임대가 다른 공공임대 유형보다 임대 불안감이 높았고, 특히 임대료상승과 보증금 미반환에 대한 불안이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공공임대주택 유형에 따른 맞춤형 지원을 통해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최저주거기준'에 관한 국내 선행 연구경향 분석 (A Analysis on the Previous Research Trend of 'Minimum Housing Standard')

  • 현지원;이연숙;안소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6권4호
    • /
    • pp.3-11
    • /
    • 2017
  • The appropriate area for human's most basic living space is an important factor. Therefore, the 'minimum housing standard' is a very important factor to ensure a minimum quality of living space for human life. In Korea, however, the importance of the 'minimum housing standard' has been neglected for about 20 years. Even in Korea, the 'minimum housing standard' has become an nominal existence. In other countries, studies have long been conducted on the minimum housing standards, but studies have shown that studies on the minimum housing standard are not actively occurring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current status of the 'minimum housing standard' in Korea an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The study included a total of 29 researches commissioned by the Korea Academic Research Institute (KCI). To ensure the objectivity and reliability of the analysis, analyzed year of research, field of research, method of research, contents of research. Through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grasp the tendency of previous studies on 'minimum housing standard' in Korea and it is meaningful to increase the usability of 'minimum housing standard' in residential planning. It is also expected that future research on 'minimum housing standards' will be able to present the direction of the field to be developed.

일본 민설공원 제도의 특성과 시사점 (Characteristics and Policy Implications of Private Development Parks in Japan)

  • 김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19-128
    • /
    • 2016
  • 민간자본으로 도시공원을 조성하기 위한 특례제도가 도입된 이후, 보다 매력적인 인센티브를 부여하기 위하여 법률 개정이 이루어졌다. 본 논문에서는 민간공원의 취지에는 적극 찬성하지만 공익성을 강조해야 하는 공원에서 과연 적절한 조치가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을 바탕으로, 민간공원의 정책모델이었던 일본의 민설공원제도의 배경과 함께 입지, 조성, 관리의 기준이 책정된 근거와 특성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고찰하였다. 민설공원은 녹지 네트워크 구축과 방재 기능에 유효하도록 입지와 공간계획이 이루어졌으며, 최소면적은 약 1.42ha였다. 공원과 같은 공간의 최소 면적인 1ha는 방재성과 실현가능성, 사회적 수용가능성을 감안한 수치였으며, 건축 부문은 제2종 중고층 주거전용지역의 기준과 지역 거버넌스와의 협의절차를 거쳐 최종적으로는 용적율 100%, 건폐율 30%, 최고높이 11층 등 허용한도의 최저 수준으로 건설되었다. 관리비는 월 300엔/$m^2$을 기준으로 35년간 소요되는 비용을 사업자가 일괄 납부하였으나 과다한 관리비가 수반되는 시설에 대해서는 시가 비용을 지출하여 민관이 함께 관리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었다. 한편 입지, 허용용도, 도입시설의 한계로 매력적인 수익시설 도입이 어려우며 관리주체와 비용부담등의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우리나라 민간공원에 대해서는 도시공원 조성의 우선순위를 선정한 후 민간공원의 적정입지를 선정하고, 국민적 합의를 이룰 수 있는 수준의 입지, 조성, 관리 기준 정립 등의 개선과제를 제안하였다.

중국의 도시녹지 종류와 도시거주구 녹지의 설치 기준에 관한 법제도의 현황과 특성 (The Characteristic of Laws on the Kind of Urban Green Spaces and the Legal Requirements for the Green Spaces of Urban Habitat in China)

  • 신익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11
    • /
    • 2013
  • 본 연구는 도시녹지에 관한 현행 중국의 법제도를 조사하여 도시녹지의 종류와 도시거주구 녹지의 설치 기준을 항목별로 분류해 봄으로써 그 속성을 이해하고, 국내 규정과 상이한 특이점을 분석 고찰함으로써 향후 이들 법규의 국내 도입 여부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공원녹지, 생산녹지, 방호녹지, 부속녹지, 기타녹지 등 5종류로 구분되는 중국의 도시녹지는 공원과 녹지 개념이 동시에 포함되어 있는 점이 공원과 녹지가 엄밀히 구분되어 있는 국내의 공원녹지 개념과는 상이하며, 종합공원, 공동체공원, 전문공원 및 대상(帶狀)공원 등으로 구분되는 중국의 도시공원의 종류는 하위 법규인 '도시녹지분류표준'에서 밝히고 있다. 둘째, 옥상조경 시 중국에서는 주민 출입이 용이한 지하나 반지하 건물의 옥상 외에는 옥상조경의 조경면적을 도시녹지의 녹지율 산입에 포함시키지 않고 있고, 도시 주민들의 생활환경 확보를 위해 거주구 계획 설계 시의 녹지 요구 조항과 거주구, 소구(小區), 조단(組團) 등 거주구 종류별 의무적 공공녹지 확보율이 구체적으로 명시되어 있다. 셋째, 거주구 내 녹지계획 시 녹지계통 수립이 의무화되고, 기존 수목과 녹지의 보존 이용을 명시하고 있다. 녹지율은 구거주구 재정비시의 경우 신거주구 건설시보다 완화시켜 주고, 특이하게 녹지 경사도를 별도로 명시하고 있다. 거주구공원, 어린이공원(소유원(小遊園)), 조단(組團)녹지 등 각급 중심녹지의 설치 내용, 요구사항 및 최소 면적 규모가 명시되어 있고, 특히 조단녹지의 일종인 정원식 조단녹지는 폐쇄형 녹지와 개방형 녹지로 분류하여, 다층 고층 건물별로 남 북측 건물 간격과 녹지 면적 확보치를 밝히고 있으며, 녹지 면적 계산법이 별도의 규범에 제시되어 있다. 넷째, 거주구별 달성해야 할 거주구 내 공공녹지의 1인당 확보 면적인 총 지표가 정해져 있고, 이 경우 노후 구역 재정비시에는 일정치까지 완화할 수 있다. 공공녹지의 위치와 규모, 최소폭, 개소당 최소 면적 등이 명시되어 있고, 도로와의 인접, 전체 면적 대비 녹화 면적비, 개방적 공간 확보, 일조음영선 범위 등 공간 배치 원칙이 규정되어 있다. 다섯째, 지하관선 설치 시의 녹지 고려 사항으로 지하관선과 주변 녹화수목과의 최소 수평 이격거리가 명시되어 있고, 공공서비스 시설 중 녹지 설치를 위해 종류별 서비스 내용에 따른 녹지 설치 원칙이 규정되어 있다. 국내 규정에는 없는 중국 법규만의 특이점에 대한 국내 도입 여부의 검토가 향후 요구되고, 이상의 연구 결과는 중국의 도시녹지 관련 법제도 연구의 당면성에 대한 국내 조경가들의 공감대를 형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조경 법제도의 국제화 진입의 계기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일부 대학생의 세치제 사용량 조사 (A study on the amount of toothpaste used among some college students)

  • 박일순;이선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577-584
    • /
    • 2010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toothpaste-squeezing methods to the amount of toothpaste used among adults. Methods :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27 freshmen in a local college. After the intent of a survey was explained by this researcher, how much dentifrice they used was checked to ensure statistical objectivity, and then a survey was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a SPSS WIN 13.0 program. Results :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1. As for connections between the way of squeezing and the amount used, the usual amount used, the amount used by horizontal squeezing and the amount used by pea-sized squeezing were respectively 1.12g, 0.66g and 0.46g. The amount used by horizontal squeezing and pea-sized squeezing was less than the usual amount used by 0.46g(41%) and 0.66g(59%) respectively.2. Gender, residential area, educational experiences and daily mean toothbrushing frequency made no differences to the amount of toothpaste used.3. The students who normally used a larger amount of toothpaste used a greater amount of toothpaste as well when they utilized horizontal squeezing and pea-sized squeezing, and the larger amount used by horizontal squeezing led to the greater amount used by pea-sized squeezing. Conclusions : As there were large disparities in the amount of toothpaste used according to the squeezing methods, systematic research efforts should be directed into setting the standard for the recommended amount of toothpaste used for adults and into squeezing method so that they could brush their teeth in an effective manner by using the minimum amount of toothpaste.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N치 예측 (A Prediction of N-value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 김광명;박형준;구태훈;김형찬
    • 지질공학
    • /
    • 제30권4호
    • /
    • pp.457-468
    • /
    • 2020
  • 플랜트, 토목 및 건축 사업에서 말뚝(Pile) 설계 시 어려움을 겪는 주된 요인은 지반 특성의 불확실성이다. 특히 표준관입시험(Standard Penetration Test, SPT)을 통해 측정되는 N치를 얻는 것이 가장 중요한 자료이나 광범위한 모든 지역에서 구하는 것은 어려운 현실이다. 짧은 해외사업 입찰기간 내에 시추조사를 할 경우 인허가, 시간, 비용, 장비접근, 민원 등 많은 제약요건이 존재하여 전체적인 시추조사가 어렵다. 미시추 지점에서 지반 특성은 엔지니어의 경험적 판단에 의존하여 파악되고 있고, 이는 말뚝의 설계 및 물량산출 오류로 이어져서, 공기 지연 및 원가 증가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한정된 최소한의 지반 실측 자료를 활용하여 미시추 지점에서도 N치를 예측 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며, 본 연구에서는 AI기법 중 하나인 인공신경망을 적용하여 N치를 예측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인공신경망은 제한된 양의 지반정보와 생물학적인 로직화 과정을 통하여 입력변수에 대한 보다 신뢰성 있는 결과를 제공하여 준다. 본 연구에서는 최소한의 시추자료의 지반정보를 입력항목으로 하여 다층퍼셉트론과 오류역전파 알고리즘에 의하여 학습된 패턴을 가지고 미시추 지점에서 N치를 예측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2개 현장(필리핀, 인도네시아)에 AI기법 적용시 실측값과 예측값에 대한 적정성을 검토하였고, 그 결과 예측값에 대한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연구 검토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