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ineral components

검색결과 722건 처리시간 0.029초

미네랄워터의 피부 장벽 보호 효과 연구 (The Protective Effect of Mineral Water Against UVB Irradiation)

  • 이성훈;민대진;나용주;심종원;권이경;조준철;이해광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39-46
    • /
    • 2013
  • 칼슘, 마그네슘과 같은 양이온은 피부 장벽을 보호하는 기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칼슘, 마그네슘, 망간, 불소로 이루어진 미네랄워터의 피부 장벽 보호 기능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피부가 자외선에 노출되게 되면 밀착연접(tight junction, TJ)이 파괴되며, 밀착연접으로 이루어진 피부 장벽도 손상 받게된다. 미네랄워터가 자외선에 의해 손상된 피부의 장벽기능을 보호할 수 있는지 평가하기 위해 인공피부 모델을 이용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인공피부에 자외선을 조사하고 미네랄워터를 처리하면 피부 장벽 손상을 막아준다. TJ permeability assay를 통하여 자외선 처리 시 손상된 밀착연접 장벽이 미네랄워터 처리에 의해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각질형성세포를 이용한 실험에서 미네랄워터가 밀착연접 구조를 유지시켜 주고, 자외선에 의해 감소된 occludin 단백질의 생성량이 회복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미네랄워터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장벽 파괴를 막아주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K/Na Ratio를 이용한 토종꿀과 양봉꿀의 품질 특성 비교 (Comparison of Quality Attributes of Korean Native-Bee Honey and Foreign-Bee Honey by K/Na Ratio)

  • 김은선;이종욱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672-679
    • /
    • 1996
  • 토종꿀파 양봉꿀의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고 벌꿀에 함유되 어 있는 무기성분 중 K/Na ratio를 이용하여 토종꿀의 판별가능성을 고찰하였다. 벌꿀의 이화학적 특성을 살펴 본 결과, 토종꿀과 양봉꿀의 일반성분 중에서 가장 차이가 두드러진 항목이 회분과 조 단백질이었는데 토종꿀의 함량은 평균 0.31% 및 0.28%, 양봉꿀의 평균 함량은 0.11%및 0.13%로서 토종꿀이 휠씬 높게 나타났다. 벌꿀 중의 proline과 diastase activity는 토종꿀이 평균 13.6mg%, 31.7unit, 양봉꿀은 평균 16.4mg%, 17.0unit로서 proline 함랑은 양봉꿀이 높았으며, diastase activity는 토종꿀이 더 높았다. 무기성분은 토종꿀이 양봉꿀에 비해 월등히 많이 함유하고 있는 성분이 었는데, 주요 무기성 분은 Ca, Mg, Na, K, Cl 등으로 토종꿀에서는 K가 가장 높은 함량을 보인 반면 양봉꿀에서는 Cl이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본 실험에서 분석하였던 무기성분 중 K와 Na의 조성비를 이용하였더니 토종꿀과 양봉꿀의 특성이 분명하게 구분되었다. 토종꿀의 K/Na ratio는 실험 에 사용하였던 6점 모두 10 이상으로 나타난 반면 양봉꿀은 3점 모두 1.5 이하로 나타나 토종꿀을 판별할 수 있는 하나의 지표로서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하수슬러지의 가스화 고형 잔재물의 순환자원으로서 물리적 선별에 의한 잠재성 검토 (Testing the Potential of Sewage Sludge Gasification Solid Residues as a Circulating Resource by Physical Separation)

  • 김동현;배성현;김성민;한성수;한요셉;권기운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33권3호
    • /
    • pp.48-56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하수슬러지 가스화 고형 잔류물(GSRs)의 순환자원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대상제품에 대한 물성평가 및 물리적 분리를 수행하였다. 먼저, 본 연구에 사용된 GSRs는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를 통해 공급되었으며, 일반적으로 GSRs는 수 mm 입자크기의 다공성 펠릿 형태이었다. 또한, 부분적으로 검은 부분은 미연소 및 가스화되지 않은 탄소로 확인되었으며, 평균 탄소 함량은 5%였다. 또한 실리카, 알루미나, 산화인의 성분이 전체 함량의 70% 이상이었다. 습식분쇄 생성물은 금속성분이 단체분리되어있음 확인하였다. 금속성분과 비금속성분의 물리적 분리가 필요하여 최종적으로 부유선별에 적합한 것으로 결정하였다. 이에,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비금속성분이 농축된 금속 성분을 분리하기 위해 양이온 및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선택하여 분리 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금속성분 분리보다 실리카, 알루미나, 인 등 비금속 성분의 농축이 더 용이할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가스화 처리된 하수슬러지 잔재물의 물리적 처리에 가능함에 따라 분리산물에 대한 재활용 방안 제안에 따라 순환자원으로서 잠재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Development of Multi-Components Model of Cement Hydration

  • ;이한승;경제운;박기봉
    • 한국세라믹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세라믹학회 2007년도 제34회 시멘트 심포지엄
    • /
    • pp.129-137
    • /
    • 2007
  • This paper presents a numerical model which can predict degree of hydration of cement mineral component, such as $C_{3}S$, $C_{2}S$, $C_{3}A$, $C_{4}AF$ and microstructure of hydrating cement as a function of water to cement ratio, cement particle size distribution, cement mineral components and temperature. In this model cement particles are parked randomly in cell space and hydration process is described using a multi-component integrated kinetic model. The simulation result of degree of hydration of cement mineral component agrees well with experiment result. The content of cement hydration product, such as CSH and CH can be obtained as an accompanied result during hydration process. By introducing of equal-area projection method, water withdrawl mechanism and contact area among cement particles can be considered in detail. By using proposed method, pore size distribution of hydrating cement is predicted.

  • PDF

Development of Multi-Components Model of Cement Hydration

  • ;이한승;경제운;박기봉
    • 시멘트 심포지엄
    • /
    • 통권34호
    • /
    • pp.129-137
    • /
    • 2007
  • This paper presents a numerical model which can predict degree of cement mineral component, such as $C_3S$, $C_2S$, $C_3A$, $C_4AF$ and microstructure of hydrating cement as a function of water to cement ratio, cement particle size distribution, cement mineral components and temperature. In this model cement particles are parked randomly in cell space and hydration process is described using a multi-component intergrated kinetic model. The simulation result of degree of hydration of cement mineral component agrees well with experiment result. The content of cement hydration product, such as CSH and CH can be obtained as an accompanied result during hydration process. By introducing of equal-area projection method, water withdrawl mechanism and contact area among cement particles can be considered in detail. By using proposed method, pore size distribution of hydrating cement is predicted.

  • PDF

기주식물에 따른 목질진흙버섯의 일반성분(무기물) 함량변화 I (Component(mineral) difference of Phellinus linteus on cultured to timber)

  • 이수원;한기원;장원철;이대진;정동식;이영의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100-104
    • /
    • 2005
  • 두 종류의 목질진흙버섯인 P. linteus와 P. baumii를 뽕나무, 참나무, 느릅나무등 3가지의 기주식물에서 자실체를 발생시켜 무기물의 함량을 ICP 법으로 측정하였다. 각각의 균주 및 기주식물에 따라 무기물의 커다란 함량 차이를 확인하였다. 다량 함유 무기물중 K은 두 균주 모두 가장 많은 무기물 함량을 보였으며 참나무에서 재배한 자실체의 K의 함량이 두배 정도 높았고 Ca은 뽕나무의 함량이 특히 높았다. Fe은 특히 느릅나무에서 재배한 자실체의 Fe 함량이 월등히 적게 함유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미량 함유 무기물은 Na에서 가장 주목할만한 결과를 확인하여 두 균주 모두 참나무에서 재배된 자실체의 Na 함량이 10배나 크게 함유되었다. 또한 P. linteus의 무기물 함량 특징은 극미량 원소중 Zn가 원목에 따른 함량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Mn의 함량 또한 참나무 재배 자실체에서 3배 정도 높게 함유되었다. 그리고 무기물만의 함량으로 P. linteus와 P. baumii를 구별하는데 Zn의 함량을 측정할 수는 있으나 Zn 만으로는 판정하는데 어려움이 있을수 있으나 형태적으로 P. linteus와 P. baumii의 자실체의 모양이 차이가 뚜렷한 차이를 보여 무기물의 함량을 측정하며 P. linteus와 P. baumii가 어떤 원목에서 재배되었는가를 판정할수 있는 자료로 연구의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 PDF

개의 요석증: 품종, 나이, 성별, 해부학적 위치, 소변 pH, 요결정, 요결석성분 사이의 상호 관계(270 증례) (Canine Urolithiasis: Interrelation between Breed, Age, Sex, Anatomic Location, Urine pH, Crystal and Mineral Composition of Uroliths (270 cases))

  • 김채욱;최을수;제갈준;배보경;이두형;고영환;이창우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64-269
    • /
    • 2004
  •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performed with 270 cases of canine urolithiasis examined at Laboratory of Clinical Pathology,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Seoul Nat'l University in the period between January 2001 and December 2003. The Shih-Tzu (64 cases), Yorkshire terrier (60 cases), miniature schnauzer (41 cases) and maltese terrier (36 cases) had higher incidences than other breeds. Canine urolithiasis occurred from 4 months to 15 years of age, but the most prevalent age was 3 years. Mean age was $5.68\pm3.14$ years. The major mineral component. of calculi was struvite (54.1%) and calcium oxalate (30.4%). There was no sex prevalences: male 131 cases, female 132 cases. The most prevalent anatomic locations of calculi were urinary bladder (53 of 131 cases), urethra (24 of 131 cases) and bladder/urethra (45 of 131 cases) in males and urinary bladder (103 of 132 Cases) in females. The major mineral component of calculi in urinary bladder was struvite (102 of 160 cases), and that in urethra (13 of 25 cases) and multiple locations (29 of 62 cases) was calcium oxalate: The major components of calculi were not always consistent with the components which could be expected from urine pH and crystals. So it is suggested that the components of the calculi must be analyzed after surgical removal to prevent the recurrence when the calculi could not be dissolved by diets or urine pH modifiers.

면포에 대한 점토광물의 착색조건과 착색성분 분석 (Coloration Conditions of Clay Minerals on Cotton Fabrics and Analysis of Components)

  • 정종선;송경헌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665-674
    • /
    • 2014
  • An analysis of the components of clay mineral before and after coloration (XRF) showed that the elements involved in coloration are Fe, Cr, and Ni. Fe accounts for 65% of coloring components on dyed fabric; in addition, Cr and Ni also affect coloring. The optimal coloration condition was to repeat the process of immersing the cotton fabric in $80^{\circ}C$ slurry of 8g of clay mineral to 1g cotton for 60 minutes, dry it for 24 hours and rinse three times. Especially, as the repetition of coloration increased, the $(K/S)_{440}$ value of sample A increased from 1.0 to 2.5, and sample B increased from 1.0 to 1.6. The effect of the repeated process on coloration was significant; consequently, the rinsing and drying process were important to decrease the coloration level. It also showed excellent results in regard to color fastness to washing, light, rubbing, perspiration, and antibiotic effect.

국내산과 국외산 참깨의 이화학적 특성 비교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Introduced and Domestic Sesame Seeds)

  • 강명화;류수노;방진기;강철환;김동휘;이봉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88-192
    • /
    • 2000
  • To obtain basic information for the quality evaluation, the introduced or domestic sesame seeds were investigated to measure proximate components (crude protein, ash, mineral and oil) and isolated by preparative HPLC system for lignan contents. Although crude protein contents were the highest in Sudan sesame seeds, lipid, ash and mineral contents were not significantly(p<0.05) different between introduced and domestric sesame seeds. Unsaturated fatty acids such as oleic and linoleic acids were the highest in the domestic sesame seeds. The Mg content of domestic sesame seeds also was larger than that of introduced sesame seeds. A Ca content of domestic sesame seeds, however, was significantly (p<0.05) lower than that of China. Lignan contents, the most important component known as antioxidant,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domestic sesame seeds than other sesame seeds tested. Our findings suggest that domestic sesame seed has the best quality in terms of the functional components.

  • PDF

전탕용수의 종류에 따른 대황 성분의 추출효과 (Effects of the decoction water on the extraction of the bioactive compounds from rhubarb)

  • 장유선;주반멘;이관준;서은영;김동희;강종성
    • 분석과학
    • /
    • 제24권1호
    • /
    • pp.38-44
    • /
    • 2011
  • 본 연구는 제주지역에서 생산되는 세 종류의 물과 서울지역에서 사용되고 있는 수돗물 등 네 종류의 물을 전탕용수로 하여 중요 한약재인 대황으로부터 활성성분을 추출하고 용수 중의 미네랄이 대황활성성분 추출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유도결합플라즈마방출분광기와 유도결합플라즈마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30여종의 미네랄과 다수의 음이온을 분석하였다. 각 전탕용수로 대황을 추출하고 그 추출액의 일부를 증발시켜 총 추출량을 구하고, 또한 HPLC를 이용하여 추출액으로부터 대황의 생리활성 성분을 분석하였다. 용수 간 총 추출량과 대황 성분함량의 차이 검정을 위하여 Kruskal-Wallis 검정을 시행하였고, 미네랄, 음이온, 총 추출량 및 성분함량과의 관계분석을 위하여 다중요인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용수 중의 미네랄 함량은 대황의 총 추출량 및 성분 추출량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