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lled rice quality

검색결과 254건 처리시간 0.04초

질소시비량에 따른 벼 생리생태적 특성 연구 (Physiological and Ecological Comparison of Rice Cultivars Grown in Low Fertilized Condition)

  • 구홍모;유오종;박종현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0권1호
    • /
    • pp.175-185
    • /
    • 2018
  • 개체군생장율(CGR)은 유수형성기와 출수기 사이에 가장 높았는데, 주남벼, 낙동벼, 소비벼 등이 높았으며, 이삭의 등숙속도는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출수 후 20일까지 가장 많이 증가하고, 그 이후에는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었는데, 주남벼, 소비벼에서 빨랐다. 관행재배에서 수량이 높은 품종은 소비재배에서도 수량이 높았으며, 소비재배시 수량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수량구성요소는 단위면적당 영화수로,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백미품위는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는데, 소비벼의 품위가 가장 낮았으며, 사미와 분상 질립의 증가가 원인이었다.

현미 비정상립이 도정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bnormal Kernels in Brown Rice on Milling Characteristics)

  • 김창진;이현정;김의웅;금동혁;김훈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2권1호
    • /
    • pp.1-5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effects of abnormal kernels of 0 to 30% in brown rice on quality characteristics during milling using friction type test mill. The average hardness values of abnormal and normal brown rice kernels were 6.52 kg$_f$, 8.48 kg$_f$,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abnormal kernels in brown rice, grain temperature, required electrical energy, the broken kernels ratio, and the weight of solid matter on the surface of milled rice were increased due to crush of the abnormal kernels during milling, which proves that abnormal kernels in brown rice should be removed before milling to improve milling characteristics.

중ㆍ남부 평야지산 발 형태 및 이화학적 특성의 품종 및 산지간 변이 (Varietal and Locational Variation of Grain Quality Components of Rice Produced n Middle and Southern Plain Areas in Korea)

  • 최해춘;지정현;이종섭;김영배;조수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5-26
    • /
    • 1994
  • 주요 미질특성에 대한 품종 및 환경변이정도를 파악하고자 자포니카 5개 품종과 통일형 두 품종을 1989년에 중부평야지인 수원 및 이천과 중서해안간 척지인 남양, 호남평야지인 이리 및 남서해안간척지인 계화에서는 보통기 보비재배로, 영남평야지인 밀양에서는 맥후작 만식으로 재배하여 생산된 쌀의 외관 및 도정특성과 주요 이화학적 특성 및 식미를 비교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쌀 외관 및 도정특성을 비롯하여 쌀의 이화학적 특성, 밥의 물리성 및 식미총평 등 모든 미질특성에서 현저한 품종간 차이를 나타내었고, 산지간변이가 두드러졌던 미질특성은 쌀 외관, 도정특성, 알칼리붕괴도, 단백질함량, K/Mg율, 호화개시온도, 강하점도(breakdown) 및 치반점도(setback)였는데 이들 특성의 산지변이는 전변이의 14~54%에 달하였으며 품종$\times$산지간 교호작용변이가 특히 켰던 미질특성은 식미총평과 응집(consistency) 및 치반점도였다. 2. 벼 품종간 미질특성의 차이는 특히 자포니카와 통일형 품종군간에 현저하였는데 통일형 품종들이 자포니카품종들에 비해 쌀 외관품질 및 도정률이 떨어지고 1.0% 저농도 KOH 용액의 쌀 붕괴도와 아밀로스함량이 약간 낮은 반면 단백질함량과 K/Mg율은 약간 높은 편이었으며 최고점도, 강하점도 및 응집점도가 다소 높은 반면 치반점도는 유의하게 낮았고 식미가 크게 떨어졌다. 식미가 양호했던 자포니카품종들은 단백질함량이 약간 낮으면서 K/Mg을 및 밥의 점성/경도비율이 약간 높은 경향이었다. 3. 현미천립중은 이리산미가 타 지역산미에 비해 두드러지게 무거웠고 수원, 계화 및 밀양산미가 소립인 경향이었으며 정현비율이나 등숙면에서는 밀양산이 가장 떨어졌고 이리나 이천산이 양호하였다. 건전미율은 남양간척지산미가 가장 높았으며 계화간척지산미가 가장 낮았다. 4. 쌀의 아밀로스함량은 계화간척지산미가 타 지역산미에 비해 약 1%가량 낮았고 단백질 함량은 중부지역산미가 남부지역산미에 비해 유의하게 약 1%가량 낮았으며 K/Mg율은 계화 및 이리산미가 가장 낮았던 반면 밀양산미가 가장 높았다. 식미총평은 품종별로 생산지에 따라 상당히 달랐는데 평균적으로 남양산미가 가장 좋았고 다음으로 수원>이리>이천>계화>밀양 순이었다 5. 쌀의 알칼리 붕괴도는 밀양 맥후작산미가 가장 높았고 호남평야지산미가 가장 낮았는데 비해 아밀로그래프의 호화개시온도는 수원과 이리산미가 가장 낮았던 반면 밀양산미가 가장 높았다. 강하점도는 밀양산미가 가장 낮았고 다음이 이천산미가 낮았던데 비해 계화 및 이리산미가 가장 높았으며 치반점도는 이와 정반대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밥의 점성 /경도비율은 지역간 차이가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남부평야산미가 중부평야산미에 비해 다소 떨어지는 경향이었다. 6. 식미와 관련이 있는 쌀 외관품질 및 이화학적 특성을 이용한 주성분 분석에서 전정보의 약 59% 설명이 가능한 제 1 및 제 2 주성분치상의 7개 품종별 6개 산지미의 분포로 보아 품종에 따라서 산지 반응이 달랐는데 대체로 자포니카와 통일형 품종군간 구분과 밀양, 중부평야 및 호남평야의 세 산지간 구분이 가능하였다. 산지내 품종간 미질변이는 남양간척지와 이리산미가 비교적 작았는데 수원산미는 이천과 남양산미의 미질변이를, 계화산미는 이리산미의 미질변이를 거의 포괄하였다.

  • PDF

한국과 일본의 자포니카종 쌀에 대한 이화학적 특성의 비교 및 관능품질의 추정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the Presumption of Sensory Quality of Japonica Rice Varieties Cultivated in Korea and Japan)

  • 홍원표;이성갑;박승남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596-604
    • /
    • 2001
  • Twelve varieties of Korean rice and ten varieties of Japanese rice were selected. After being milled. they were analyzed about various physicochemical properties such as moisture, protein and amylose, a -amylase activity, gelatinization properties. And after being cooked with proper amount of water texture and other physical properties were measured by Texturometer, Tensipresser and Rheolograph-micro. Finally the sensory evaluation test was carried ou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case of protein contents, amylose contents and $\alpha$-amylase activity, Korean rice had a slightly higher value than Japanese As a consequence. Korean rice showed a little stronger hardness and a little weaker stickiness compared with Japanese rice. 2. Amylose contents showed very high correlation with other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peak viscosity and gelatinization temperature of RVA, the ratio of stickiness to hardness( -Hl/Hl ) of Texturometer and the tan $\delta$(the ratio of dynamic loss to dynamic viscoelasticity) of Rheolograph-micro showed high correlation with other analyzed properties. 3. The ( -/+)work balance of low compression test(25% ) of Tensipresser analysis(texture analysis on the surface of cooked rice) and tan f of Rheolograph-micro showed very high correlation with sensory evaluation results. By using this parameters as major independent variables, some trials to derive high confidence multiple regression equations were accomplished. By the equations it would be possible to make an approximate pre-estimate of eating quality for unknown japonica rice.

  • PDF

벼 중만생 양질 내병 다수성 "드래찬" (A Medium-late, High Yielding and Good Quality Rice Variety, "Deuraechan")

  • 하기용;김보경;고재권;신문식;김기영;고종철;백만기;강현중;남정권;김우재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645-648
    • /
    • 2009
  • "드래찬" 품종은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에서 2008년도에 육성한 중만생 양질 내병성 품종으로 주요특성과 수량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수기는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8월 17일로 한마음보다 2일 늦은 중만생종이다. 2. 쌀은 복백이 약간 있으나 아밀로스 함량이 낮고 밥맛이 좋은 편이다. 3. 도열병, 흰잎마름병 레이스K1-3 및 줄무늬잎마름병에는 저항성 반응을 보였으나 멸구 및 매미충류에는 약한 반응을 보였다. 4. 유묘 내냉성은 한마음과 비슷하나 임실율은 약간 낮다. 5. 쌀수량은 보통기 다비재배에서 6.52 MT/ha로 한마음보다 2% 증수되었다. 6. "드래찬"은 중부이남 평야지 1모작지에 알맞은 품종이다.

논토양개량이 벼의 양분함량과 쌀 품질과의 관계 (Effects of Soil Improvement on the Dependence of Rice Nutrient Contents and Grain Quality)

  • 김창배;이동훈;최정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296-305
    • /
    • 2002
  • 호남통에서 27년간('75~'01) 규산질비료의 시용량별, 볏짚퇴비 시용에 따른 년차간 벼수량 변화, 쌀 품질과 관련성분간의 관계 및 식물체 부위별 영양상태와 토양화학적 특성이 미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3요소+규산질비료 $1,500kg\;ha^{-1}$와 3요소+볏짚퇴비 $10,000kg\;ha^{-1}$ 시용구는 3요소 대조구에 비하여 27년간 평균수량이 각각 15%, 10%의 증수효과가 있었다. 규산질비료 $1,500kg\;ha^{-1}$ 시용구가 3요소와 3요소+볏짚퇴비 시용구에 처리별 식미치와 품질평가는 비해 높았고, 쌀의 조단백질 및 아밀로스 함량은 낮았다. 그리고 규산질비료 1.500 및 $2,500kg\;ha^{-1}$ 시용구는 볏짚퇴비 시용구에 비하여 벼식물체의 질소, 인산함량은 낮았으나 $SiO_2$ 함량은 더 많았다. 벼품질평가치와 식미치와는 정의 유의상관이 있었으나, 쌀의 조단백질 함량과 아밀로스 함량 간에는 부의 유의상관이 인정되었다. 또한 볏짚중의 Mg/N, $Mg/N{\cdot}K_2O$, $SiO_2/N$, $SiO_2/P_2O_5$$SiO_2/K_2O$ 등 양분함량비는 식미치와 정의상관이 있었으나, 조단백질, 아밀로스 및 지방산함량 과는 부의상관이 인정되었다. 27년차 시험후 토양pH와 $SiO_2$함량은 식미치와 벼곡실의 품질평가치와는 높은 정의상관이 인정되었으나, 인산 및 칼리 함량과는 부의 관계가 있었다.

건조 Instant Rice의 제조방법이 제품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ocessing Methods on the Quality of the Dehydrated Instant Rice)

  • 이영춘;이동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94-299
    • /
    • 1989
  • Japonica 계통의 쌀을 원료로 instant rice를 제조하는데 적합하게 개발한 방법과 이미 보고된 방법중 우수하다고 평가되어 선정한 방법으로 제품을 만들어 품질특성을 비교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Instant rice의 복원율은 process 2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정부미와 아키바레간의 차이는 현저하지 않았다. 그러나 instant rice의 surface color는 processes 1과 2로 제조된 것이 연한 갈색과 낮은 lightness를 보였다. Instron으로 측정한 texture 특성은 제조방법에 뚜렷한 차이를 구분하기가 어려웠고, microstructure는 ammonium carbonate를 처리한 processes 1및 2로 제조한 instant rice가 균일한 air cell 조직을 가졌고, 정부미와 아키바레간에 microstructure의 차이를 관찰할 수 있었다. Instant rice의 관능적 color는 processes 1및 2로 제조한 것이 낮은 score를 보여 surface color결과와 일치하였고, cohesiveness는 processes 2와 4의 것이 우수하여 Instron으로 측정한 cohesiveness 결과와 일치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process 2의 방법으로 제조한 instant rice가 전체적으로 우수한 품질특성을 가지나, color는 약간 갈색을 띄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process 2를 instant rice 제조방법으로 활용하려면 이런 단점을 보완할 계속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평가된다.

  • PDF

Change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rown rice during ageing

  • Kwak, Jieun;Yoon, Mi-Ra;Lee, Jeom-Sig;Lee, Jeong-Hei;Kim, Mi-Jung;Choi, Induck;Jung, Tae-Wook;Jeon, Yong-Hee;Kim, Sun Lim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293-293
    • /
    • 2017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physicochemical changes in brown rice during ageing condition. Five varieties (Haiami, Ilpum, Daecheong, Jungwon, and Dasan1) of brown rice were stored at $35^{\circ}C$ for 8 weeks. Crude protein and lipid content, seed germination rate, fat acidity, tocol content, TOYO glossiness value, pasting properties, and composition of storage proteins were measured to evaluate its quality during storage. The isomers of tocols (tocopherol and tocotrienols) were quantified using HPLC system, and the pattern of variation in rice storage proteins was examined through electrophoresis of protein extracts. Seed germination rate decreased by 2.7 times, whereas the fatty acid value dramatically increased by 4.8 times after 8 weeks of storage. Toyo glossiness value of cooked milled rice considerably affected by storage period, and the pasting properties of milled rice were also influenced by storage. The final viscosity and breakdown value increased, but setback decreased during storage. In terms of storage protein, proportion of prolamin (14.3 kDa) and globulin (26.4 kDa) increased, whereas percentage of glutelin (34-39 kDa and 21-22 kD) decreased. Furthermore, the contents of total tocol and isomers decreased in stored brown ri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