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lled rice

검색결과 539건 처리시간 0.022초

현미와 백미의 품종별 무기질 함량 (Mineral Contents of Brown and Milled Rice)

  • 김미숙;양혜란;정윤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443-446
    • /
    • 2004
  • 본 연구는 표준 경작법으로 재배한 육성 품종 5종(광안, 대안, 대진, 수라, 화성 )의 현미와 백미의 무기질 함량을 분석비교하고, 한국인 식생활에 있어서의 쌀로부터 섭취하는 무기질의 양과 권장량에 대한 비율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회분함량은 현미에서는 대진ㆍ수라(1.45%)>대안(1.30%)>광안 (1.29%)>화성 (1.28%) 순이었고, 백미에서는 광안(0.62%) >대진(0.60)>화성 (0.59%)>수라(0.53%))대안(0.51%) 순이었다. 현미의 무기질 함량은 인이 270.8∼327.2 mg/100 g, 칼륨이 216.∼249.0 mg/100 g, 마그네슘이 102.0∼111.0 mg/100 g, 그리고 칼슘이 11.8∼13.2 mg/100 g이었다. 반면에 백미의 무기질 함량은 인이 125.3∼153.2 mg/100 g, 칼륨이 96.5∼118.6 mg/100 g, 마그네슘이 34.7∼40.0 mg/100 g, 칼슘이 6.0∼9.4 mg/100 g이었다. 국민영양조사 결과와 비교해서 주식인 쌀로부터 섭취할 수 있는 무기질의 비율은 현미에서 인이 평균적으로 90.7%로 가장 많았고, 칼슘이 3.9%, 철이 남성의 경우23.7%,여성의 경우 17.8%, 아연이 남성의 경우 42.6%, 여성의 경우 51.2% 이었다. 또한 백미에서는 인은 42.3%, 칼슘은 2.6%, 철은 남성의 경우 14.4%, 여성의 경우 10.8%, 아연은 남성의 경우30.4%, 여성의 경우 36.5%이었다.

현미 조절에 관한 연구(II) -함수율 조질 후 8시간 숙성에 따른 정백특성- (A Study on Conditioning of the Brown Rice (II) -Milling characteristic with eight hours′ripeness after conditioning moisture content-)

  • 한충수;강태환;조성찬;고학균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7권1호
    • /
    • pp.51-58
    • /
    • 2002
  • The goal of this research was to an optimum conditions for the brown rice conditioning from data of milling characteristics after conditioning of the brown rice. The range of the initial moisture content of the sample was 13%, 14%, and 15%, the range of the increment of the moisture content was 0.4% and 0.8% with respect to the initial moisture content, and a ripe time after conditioning was eight hour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ellows. 1 The crack ratio after conditioning the brown rice with the initial moisture content was increased as the initial moisture content decreased and increment of the moisture content increased. The crack ratio of the milled rice was increased than that of the non-conditioned brown rice and decreased with the conditioned brown rice with the increment of the moisture content of 0.4% and 0.5%. 2. The broken rice ratio after conditioning the brown rice with the initial moisture content was a little higher than that of the non-conditioned brawn rice. The broken ratio of the conditioned brown rice with the increment of the moisture content of 0.4% was increased around 0.2∼0.4% with respect to the non-conditioned brown riced and the broken ratio of the brown rice was high with increased amount of water sprayed during conditioning process. 3. The moisture content of the milled rice after conditioning the brown rice with the initial moisture content increased around 0.3∼0.8% with respect to the non-conditioned milled rice. 4. The electric energy consumption on milling process with the conditioned brown rice by the initial moisture content was decreased 3.4∼39.1% with respect to the non-conditioned brown rice.

한국 쌀과 일본 쌀의 물리화학적 특성 연구 (I) NIR을 사용한 한국 쌀과 일본 쌀의 품질 비교 (Comparison of Korean and Japanese Rice Cultivars in Term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I) The Comparison of Korean and Japanese Rice by NIR and Chemical Analysis)

  • 김혁일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35-144
    • /
    • 2004
  • A total of 40 Korean and Japanese rice varieties were evaluated for their main chemical components, physical properties, cooking quality, pasting properties, and instrumental measurements. Based on their quality evaluations, it was concluded that Korean and Japanese rice varieti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basic components of NIR (Near Infra Red) data and the chemical analysis from the uncooked brown and milled rices. Korean rice had a little bit higher protein and amylose contents but much lower fat acidity than those of Japanese rice from the chemical analysis. From all the data of three different kinds of NIR methods, Korean and Japanese milled rice were very similar except the taste score. Japanese rice showed a slightly higher taste score, a little bit higher lightness and whiteness, but lower yellowness and redness than Korean one. From all those data of NIR and the chemical analysis, Korean and Japanese rices had very similar components except the fat content.

  • PDF

경기지역과 다른 지역에서 생산된 추청벼의 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Rice Quality of Chucheongbyeo Cultivated on Gyeonggi and Other Province)

  • 이병영;손종록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01-306
    • /
    • 199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rice quality of Chucheongbyeo cultivated on Gyeonggj and other province. Rice type, color difference, amylograph of milled rice and texturograph of cooked rice were not significant between two cultivated region. And fat, protein, Mg and Ca in milled rice were not significant but p, K and Na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l% the level between them as 2, 210~2, 420ppwt 1, 304~1, 538ppm and 212~236ppm in Gyeonggi province cultivated rice, and 2, 130~2, 180ppm, 1, 133~1, 180ppm and 197~217ppm in other province, respectively. Also amylose content, alkali distribution and gel consistency were not significant between them.

  • PDF

쌀과 취반백미의 고온성 세균 분포 및 이상취 발생 (Occurrence of Off-Odor and Distribution of Thermophilic Bacteria from Rice and Cooked Rice Stored at Electric Rice Cooker)

  • 박석규;고용덕;권선화;손미예;이상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70-74
    • /
    • 2003
  • 벼의 산지 및 품종별로는 중온 및 고온성 세균의 분포에 큰 차이가 없었으며, 도정도가 낮을수록 저장기간이 길수록 각각의 균들이 많이 존재하였다. 전기밥솥에서 고온성 세균의 증식은 75$^{\circ}C$이하에서 보온온도가 낮을수록 빠르게 나타났으며, 보온 초기에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18∼24시간 사이에 증식속도가 빨라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전기밥솥 밥의 고온성 세균수와 이상취 발생의 상관성은 있었으며, 고온성 세균수는 오븐내 밥의 표면중앙이 중심이나 밑바닥에 비하여 약간 많게 나타났다. 백미밥의 휘발성 성분은 보온초기에는 쌀로부터 유래되는 hexanal이 주성분이었으며, 장시간보온 후는 이상취를 나타내는 furan을 포함한 고비점 물질이 많았다.

쌀 배유 조성 탄수화물 특성과 식미와의 연관성 (Relationship between Palatability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arbohydrate Components in Rice Endosperm)

  • 김채은;손재근;강미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421-428
    • /
    • 2007
  • 8품종의 쌀을 시료로 하여 전분분자의 미세구조 및 전분입자 막 조성 탄수화물의 특성과 식미치와의 상관을 분석함으로써 밥맛에 영향을 미치는 탄수화물 성분 특성에 대해서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에 사용한 8품종 가운데 식미치는 고품벼가 가장 높았다. 2. 아밀로그램상의 호화특성에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는데, 최고 점도(Peak viscosity)와 강하 점도(breakdown)는 히토메보레가 가장 높았고, 미향벼가 가장 낮았다. 그러나 이들 아밀로그램상의 호화특성과 식미치와는 아무런 상관이 없었다. 3. 전분분자 중의 아밀로오스 함량은 품종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토요식미기에 의해서 분석된 아밀로오스 함량과도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아밀로오스 분자의 구조적인 특성과 식미치 간에는 상관이 없었다. 4. 아밀로펙틴의 미세구조 중 B/A의 값이 가장 큰 품종은 새추청벼였고, 가장 작은 품종은 팔공벼였다. 그러나 이들 수치와 식미치와는 상관이 인정되지 않았다. 5. DSC에 의한 전분입자의 호화특성도 품종 간에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호화엔탈피는 품종 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호화엔탈피 역시 식미치와는 상관이 없었다. 6. 쌀 배유전분분획의 헤미셀룰로오스성 다당을 구성하고 있는 단당류는 rhamnose, fucose, ribose, arabinose, xylose 등이었으며, 총 단당류 함량은 새추청벼가 가장 높았고, 팔공벼가 가장 낮았다. 그러나 팔공벼를 제외한 양질미에서는 식미치와 상관이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제분방법에 따른 분질, 연질 및 경질미 가루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owdered, soft and hard type rice flour by different milling methods)

  • 최옥자;정희남;심기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74-181
    • /
    • 2015
  • 가공용 쌀 품종으로 개발된 분질미, 연질미, 경질미의 쌀 가공제품 이용 가능성과 활용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화학적 특성 및 호화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 성분 분석결과, 건식제분 쌀가루의 수분함량은 7.68~7.99%, 습식제분 쌀가루는 7.03~7.57%이었고, 조단백 함량은 건식제분 쌀가루에서 7.96~8.35%, 습식제분 쌀가루에서 7.94~8.12%이었다. 조지방 함량은 건식제분 쌀가루에서 1.32~1.49%, 습식제분 쌀가루에서 0.71~0.99%이었고, 조회분 함량은 건식제분 쌀가루에서 0.71~0.82%, 습식제분 쌀가루에서 0.25~0.31%이었다. 백색도 측정 결과, 습식제분 분질미 쌀가루에서 96.4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건식제분 연질미 쌀가루에서 95.63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적색도 측정 결과, 건식제분 분질미 쌀가루는 -0.37로 가장 높았고 습식제분 경질미 쌀가루는 -0.65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황색도 측정 결과, 건식제분 경질미 쌀가루는 3.46으로 가장 높았고 습식제분 분질미 쌀가루에서 2.59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한 입자의 형태를 관찰한 결과, 모든 시료에서 쌀 전분 특유의 입자 형태를 보였고, 건식제분 쌀가루가 불규칙하고 거칠며 큰 입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분흡수지수와 수분용해지수는 습식제분 연질미와 경질미 쌀가루가 높았고, 건식제분 분질미가 가장 낮았다. X-선 회절도 분석결과, 모든 시료는 전형적인 A 도형의 특징을 나타냈고, 건식제분 쌀가루의 회절강도가 높게 나타났다. Amylogram에 의한 호화 특성 분석 결과, 습식제분한 연질미 쌀가루는 최고점도, breakdown, setback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건식제분한 연질미 쌀가루는호화개시온도에서가장높았으나최고점도와breakdown에서는 가장 낮았다. 습식제분한 경질미 쌀가루는 호화개시온도와 setback에서 가장 낮았다. 시차열량주사계에 의한 호화 특성 분석 결과, 건식제분한 연질미 쌀가루는 호화개시온도, 호화정점온도, 호화종료 온도에서 가장 높았으나 호화엔탈피는 가장 낮았다. 따라서 분질미 쌀 품종은 건식 및 습식제분에서도 안정성이 높게 나타나 손상 전분이 적어 쌀 가공제품에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압력 취반 백미의 전기밥솥 보온중 노화도의 변화 (Changes in Retrogradation Degree of Nonwaxy Rice Cooked at Different Pressure and Stored in Electric Rice Cooker)

  • 박석규;고용덕;최옥자;손미예;서권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705-709
    • /
    • 1997
  • 압력이 각각 다른 솥에서 취반한 밥의 전기밥솥 보온 중 일어나는 노화 특성을 실험한 결과, $1.0{\sim}1.9$기압의 압력솥에서 $1.2{\sim}1.5$배의 가수량으로 취반하였을 때 밥의 수분함량은 $59.9{\sim}64.3%$로 나타났다. 압력이 높은 솥에서 취반한 밥일수록 X-ray 회절도상에서 결정성이 거의 없는 V도형을 나타내었다. DSC에 의하여 측정했을 때 $41.9{\sim}62.4%$의 범위에서 노화peak가 나타났고, 1.5기압 이상에서 취반한 경우는 peak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보온시간이 길어질수록 노화엔탈피는 증가하였으나, 1.7기압 이상에서 취반한 경우는 peak가 나타나지 않았다. ${\alpha}-amylase-iodine$법에 의한 취반직후나 보온 중 밥의 노화도는 고압의 압력솥에서 취반할수록 낮게 나타났다.

  • PDF

시판 검정 약쌀의 배유 성분 특성 (Properties of Endosperm Components of Two Pigmented Rice Varieties)

  • 김채은;조민경;강미경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760-765
    • /
    • 2008
  • 유색미 품종 중 흑자색을 띠면서 검정 약쌀이라는 명칭으로 시판되고 있는 찰과 메, 2종류와 백미의 배유 성분 특성들을 비교 검토하였다. 전분 분자 중 아밀로오스와 요오드의 정색 반응 결과인 청가(blue value)로부터 환산한 아밀로오스 함량은 흑미 찹쌀과 흑미 멥쌀 보다 백미가 높게 나타났으며, 아밀로오스 함량이 높은 품종일수록 흡광도가 높았다. 무기질 함량은 식미와 관련하여 포괄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Mg/K 비율은 특히 밥의 찰기와 관련이 있다. 본 실험에 사용한 시료 중 흑미 찹쌀의 Mg/K 비율이 가장 높아 가장 찰기가 많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흑미는 전체 아미노산 함량은 큰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lysine의 경우 백미보다 흑미 멥쌀과 흑미 찹쌀이 더 높았으며 전체적으로 아미노산이 골고루 함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지방산 조성 분석은 흑미 또한 백미와 마찬가지로 palmitic acid, oleic acid와 linoleic acid가 전체의 약 95%를 차지하여 이세 가지 지방산이 주된 지방산임을 알 수 있었다. 신속점도계(RVA)를 이용한 호화 특성에서 breakdown 값은 흑미 멥쌀이 낮은 값으로 나타나 가열 호화된 후에도 입자가 붕괴되지 않고 어느 정도 입자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백미의 총 식이섬유함량 예측 모델 개발을 위한 퓨리에변환 근적외선분광계의 적용 (Application of Fourier Transform Near-Infrared Spectroscopy for Prediction Model Development of Total Dietary Fiber Content in Milled Rice)

  • 이진철;윤연희;은종방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608-612
    • /
    • 2005
  • 친환경적이면서 신속한 비파괴 분석방법인 FT-NIR를 이용하여 백미의 총식이섬유(TDF)함량 예측모델을 개발하였다. 백미는 국내산으로 전남지방에서 재배된 47개 품종과, 시중 유통 중인 13개 브랜드 미에 대해서 AOAC 방법에 준한 효소법에 의해 TDF 함량을 분석하였다. 습식 분석된 TDF함량의 범위는 $1.17-1.92\%$ 이었다. FT-NIR로 측정된 스펙트럼의 검량식은 빛의 산란 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해 수학적 처리를 하였고, 몇 개의 특정 파장이 아닌 전 파장 영역(1,000-2,500 nm)에 대해서 PLS법으로 작성하였다. 얻어진 검량식의 정확도는 상관계수(r), SEE 및 SEP로 확인하였다. 백미 중 총 식이섬유 함량에 대한 회귀분석을 행한 결과, 검량식의 r은 0.9705, SEE는 0.0464, 검증식의 bias는 -0.0006, SEP가0.0604로 측정 정확도가 우수하여 실제 적용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