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lled bar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17초

상악 완전 무치악에서 $Locator^{(R)}$ attachment가 장착된 milled titanium bar를 이용한 임플란트 지지 피개의치: 증례 보고 (Implant Supported Overdenture using Milled Titanium Bar with $Locator^{(R)}$ Attachment on Fully Edentulous Maxillae : A Case Report)

  • 오상천;한지석;김민정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7권2호
    • /
    • pp.223-231
    • /
    • 2011
  • 본 증례 보고의 목적은 상악 무치악 환자에서 임플란트 지지 피개의치를 위한 $Locator^{(R)}$ attachment가 장착된 새로운 milled titanium bar를 소개하고 새로운 대안으로써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함이다. 56세 남자 환자가 상악 고정성 보철물(10-유닛 브릿지)의 동요도를 주소로 본원에 내원하였다. 악관절 및 치과 치료에 영향을 줄만한 특이한 전신병력은 없었다. 방사선 검사 및 임상 검사 결과, 상악의 경우 모든 잔존치아에서 심한 골흡수와 동요도를 보이고 있어 전악 발치를 시행한 후, 임플란트 지지 피개의치를 제작하기로 하였다. 의치의 안정성과 유지력, 저작효율, 청소의 용이성, 심미성과 발음 그리고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Locator^{(R)}$ 어태치먼트를 CAD/CAM으로 제작된 milled titanium bar에 탭핑(tapping)으로 연결시키는 새로운 디자인을 고안하였으며, 1년 이상 경과 후, 기능과 심미적인 면에서 만족할 만한 성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CAD/CAM system을 이용한 하악 임플란트 피개의치 수복증례 (The implant overdenture on the edentulous mandible using CAD/CAM system: A case report)

  • 이시은;이소현;전영찬;정창모;윤미정;허중보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66-73
    • /
    • 2015
  • 완전, 혹은 부분 무치악 환자의 가철성 보철물 수복치료에서 치아 상실에 따른 치조골 감소와 별형은 의치 사용에 어려움을 준다. 이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임플란트를 이용하여 가철성 보철물에 지지, 유지, 및 안정을 제공할 수 있다. 임플란트를 이용한 피개의치에 사용되는 어태치먼트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환자의 여러 조건을 고려하여 어태치먼트를 선택해야 한다. 그 중 milled bar의 경우 임플란트 간 거리가 좁아서 기성 bar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 또는 기성 bar보다 상부 구조물의 확고한 안정성과 지지를 얻고자 할 때 선택 된다. Milled bar는 cross arch stabilization을 이룰 수 있고, 저작 시 의치의 움직임이 없어 환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하지만, 숙련된 기공과정을 요한다. 그러나 최근 CAD/CAM의 발전을 통해 milled bar의 제작이 간결해지고 적합성을 증진시킬 수 있었다. 본 증례는 8개의 임플란트가 식립된 하악 완전 무치악의 알츠하이머 환자로 milled bar와 magnet을 이용한 피개의치를 제작하였다. 전신병력이 양호해진 기간 동안 빠른 치료종결이 필요했기 때문에, 통법의 기공 작업을 CAD를 통해 시뮬레이션하여 복잡한 기공과정을 좀더 단순하게 하였고 이로써 치료 기간을 줄일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milled bar를 이용한 임플란트 지지 피개의치를 제작하는 과정 중 CAD/CAM system을 적절히 사용하여 심미적, 기능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하악 부분 무치악 환자에서 Milled-bar와 ADD-TOC 부착 장치를 이용한 탈착 가능한 지르코니아 보철물 수복 증례 (Detachable zirconia prosthesis using Milled bar and ADD-TOC attachment in partial edentulous mandible: A case report)

  • 손민성;허중보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1권1호
    • /
    • pp.90-99
    • /
    • 2023
  • 임플란트 피개의치는 골 흡수가 심한 완전 무치악 또는 부분 무치악 환자의 구강 기능 회복을 위한 치료 방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Milled bar를 이용한 임플란트 피개의치의 경우 bar가 임플란트 고정체를 연결 고정하므로 기계적으로 유리하며, bar에 추가적으로 부착 장치를 적용하면 임플란트에 가해지는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증례에서는 4개의 임플란트를 사용하여 임플란트 피개의치를 사용하던 환자가 의치의 반복적인 파절과 유지력의 약화로 인해 새로운 보철물 제작을 원하여 ADD-TOC 부착 장치가 부착된 milled bar와 탈착 가능한 지르코니아 보철물을 CAD-CAM 방식으로 제작하였고, 이를 통해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상악 무치악 환자에서 Milled Bar와 ADD-TOC을 이용한 임플란트 피개의치 수복 증례 (Implant-assisted overdenture using milled bar and ADD-TOC in edentulous maxilla: A case report)

  • 조용범;정창모;허중보;윤미정;이소현;김민정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0권2호
    • /
    • pp.160-167
    • /
    • 2022
  • 잔존골 흡수가 진행된 상악 무치악 환자의 수복 계획시 전통적인 총의치로의 치료보다는 임플란트를 식립 한 뒤 milled bar와 가철성 보철물을 제작하여 attachment로 연결하는 임플란트 피개의치를 우선적으로 고려할 수 있다. Milled bar와 attachment를 사용하면 상악 의치의 유지력 및 안정성의 증가뿐만 아니라 구개 피개 부위를 일부 감소시킬 수 있어 환자의 불편감을 줄여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소수의 임플란트를 식립 할 경우 상부 보철물을 milled bar로 제작하면 임플란트 고정체 간에 연결고정되는 효과가 있어 저작과 같은 기능 하에서 역학적으로 유리해진다. 본 증례의 환자는 기존의 실패한 임플란트를 제거한 뒤 잔존 치조골이 상당량 소실된 상악 무치악 환자로 양측에 각 3개의 임플란트를 식립한 후 milled bar와 ADD-TOC attachment를 사용하여 임플란트 피개의치를 제작하였다. Attachment 장착을 통해 얻어진 부가적인 유지력을 바탕으로 구개부 피개량 감소하여 총의치 제작 가능하였고 이렇게 milled bar와 attachment를 병용하여 충분한 유지력 뿐만아니라 지지 및 안정을 얻음으로써 심미성 및 기능성 모두에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하악 부분 무치악 환자에서 Milled Bar와 부착장치를 이용한 임플란트 피개의치 수복 증례 (Implant overdenture using milled bar and attachment in partially edentulous mandible: a case report)

  • 김민정;허중보;정창모;윤미정;이소현;조용범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0권1호
    • /
    • pp.71-79
    • /
    • 2022
  • 부분 무치악 환자에 있어 심한 골소실으로 인해 치관부 수직높이가 과도해질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임플란트 식립 후 고정성 보철물로 수복시 임플란트 주변 골의 응력 증가 및 나사 풀림이 발생할 가능성이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milled bar 및 가철성 보철물로 수복할 수 있는데, milled bar는 단일 임플란트 간의 일차적인 스플린팅 효과와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milled bar 사용 시 Advanced Dental Device-Treatment Of Choice(ADD-TOC), 자석 부착장치 같은 부가적인 부착장치 사용을 통해 임플란트 피개의치의 추가 유지력을 부여할 수 있다. 본 증례의 환자는 하악 좌측 구치부 평활근육종으로 인한 절제술 후 심한 골소실 및 다수 치아를 상실한 부분 무치악 환자로 장기간의 하악 구치부 상실로 인한 대합치는 정출된 상태였다. 상악 좌측 대구치는 교정적 압하를 통해 교합평면을 회복하였고, 하악 좌측 대구치 부위는 임플란트 식립 후 milled bar에 부가적인 부착장치인 ADD-TOC, 자석 부가장치를 이용하여 임플란트 피개의치로 수복하였다. 이를 통해 장기적으로 기능적, 심미적인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CAD/CAM으로 제작된 milled titanium bar와 Locator®를 이용한 상악 임플란트 유지 피개의치: 증례보고 (Maxillary implant-retained overdenture using CAD/CAM milled titanium bar with Locator® attachment: a case report)

  • 김민정;오상천;허윤혁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0권1호
    • /
    • pp.64-70
    • /
    • 2014
  • 본 증례는 상악 무치악 환자에서 임플란트 피개의치 제작시 CAD/CAM으로 제작된 milled titanium bar에 Locator$^{(R)}$를 장착한 바 어태치먼트 시스템을 사용한 증례이다. 2년 이상 경과 후, 기능과 심미적인 면에서 만족할 만한 성과를 얻었다.

CAD/CAM 시스템으로 제작한 Milled Bar를 이용한 하악 임플란트 피개의치 수복증례 (Rehabilitation using mandibular implant overdenture with CAD/CAM milled bar: A case report)

  • 반민희;양홍서;박상원;임현필;윤귀덕;신진호;박찬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292-299
    • /
    • 2017
  • 무치악 환자에서 치아 상실 후 오랜 기간에 걸친 치조골 흡수는 의치의 사용을 어렵게 한다. 하악 무치악 환자에게 두 개 혹은 네 개의 임플란트를 식립하여 임플란트 피개의치를 이용하는 방식은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의치의 유지, 지지와 안정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다. 임플란트 피개의치에 사용되는 어태치먼트 중에서 milled bar는 기성 bar보다 상부 구조물의 견고한 안정성과 충분한 유지력을 얻기 위해 사용할 수 있으며, 최근 CAD/CAM system의 발달과 함께 기공과정이 간소화되어 이용이 용이하게 되었다. 본 증례는 오랜 기간 상, 하악 총의치를 사용했던 환자에게 상악은 전통적인 방식으로 제작한 총의치와 하악에 네 개의 임플란트를 식립하여 CAD/CAM milled bar를 이용해 하악 임플란트 피개의치로 수복하여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Comparative study of prosthetic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the bar-clip, milled bar, and Locator attachments for implant overdentures: a retrospective study

  • Yoon, Kye-Won;Heo, Ji-Ye;Hwang, Hee-Sung;Kim, Chul-Hoon;Kim, Bok-Joo;Kim, Jung-Han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4권12호
    • /
    • pp.1024-1034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type and frequency of prosthetic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attachment types for implant overdenture. Material and methods. In this retrospective study, 38 patients (mean age, 63.5 years) have been treated with implant overdentures from 2007 to 2014. Ten patients received a bar-clip attachment. Eleven patients had received a milled bar with Locator attachment. Seventeen patients had received a Locator attachment.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36.9 months (range, 15-83 months). The type and frequency of prosthetic complications was recorded. The frequency was analyzed to determine the statistical difference among the 3 different attachments by using one-way ANOVA (${\alpha}=.05$) and Bonferroni post hoc method at a 5% level of significance. Results. The total number of prosthetic complications was higher in the bar-clip attachment (55 events) than in the milled bar with Locator attachment (39 events) and the Locator attachment (34 event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nd the most common prosthetic complication was the loss of retention. In the bar-clip attachment group, the average frequency of prosthetic complications was 3.0 events per prosthesis during the first year. In the milled bar with Locator attachment and Locator attachment groups, the average frequencies were 1.45 events and 2.35 events, respectivel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frequency of the complication. (p = .043) Conclusions. Compared to the bar-clip attachment, implant overdentures that use milled bars with the Locator attachment have a significantly lower incidence of prosthetic complications in the first year of follow-up after placement.

  • PDF

CAD/CAM 맞춤형 지대주를 이용한 milled-bar 피개의치 증례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maxilla with implant-supported milled bar overdenture using CAD/CAM customized abutment: A case report)

  • 지운;장재승;권주현;김선재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46-151
    • /
    • 2016
  • 상악 완전 무치악에 6개 이상의 임플란트가 식립된 경우 임플란트-지지형 피개의치 제작이 가능하다. 임플란트-지지 피개의치에 사용되는 다양한 부착장치 중에 milled-bar의 경우 의치의 회전을 허용하지 않고, 안정성이 뛰어나며, 여러 개의 임플란트를 연결 고정하는 효과를 가진다는 장점이 있다. 본 증례에서는 전치부에 심한 골소실을 동반한 상악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세 가지 다른 시스템으로 구성된 7개의 임플란트 상부에 CAD/CAM 맞춤형 지대주와 시멘트 접착형의 milled bar를 이용한 피개의치를 제작하여 상실된 심미와 기능을 효과적으로 회복하였다.

두 개의 수술용 가이드와 Milled-bar를 이용한 임플란트 피개 의치 수복 증례 (Implant-supported milled bar overdenture with two implant surgical guides)

  • 윤필상;김선재;표세욱;장재승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1권1호
    • /
    • pp.55-62
    • /
    • 2023
  • 완전 무치악 환자에게서 잔존 치조골의 흡수가 심할 경우 의치의 저작효율과 안정성 향상을 위해 임플란트로부터 지지를 얻는 피개의치를 고려해볼 수 있다. 임플란트 식립 위치를 선정할 때 디지털 진단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환자의 해부학적 요소와 최종보철물의 형태를 고려한 수술용 가이드를 만들어 임플란트 수술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임플란트 지지 피개의치에서 다양한 부착장치 중 milled bar 경우 임플란트간의 연결고정 효과뿐만 아니라 견고한 지지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에 본 증례에서는 치조골 삭제 전, 후의 상황을 가정한 두 개의 수술용 가이드를 이용하여 임플란트를 식립한 후 milled bar를 이용한 임플란트 피개의치를 장착해주어 기능적이고 심미적인 결과를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