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grant women

검색결과 135건 처리시간 0.024초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구강건강상태와의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to Oral Health Status in Population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 윤현경;이승희;최규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678-684
    • /
    • 2012
  • 본 연구는 국제 결혼 이주여성들의 구강건강 상태를 파악하여 국제 결혼 이주여성의 구강 건강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기초연구이다. 국제결혼 이주여성 약 1,300명 중 다문화가정 지원센터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국제결혼 이주여성 237명을 대상으로 직접 면접 조사방식으로 설문에 응답하게 한 후 일반 과 직접구강검사법을 이용하여 2010년 5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통계 처리하였으며,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회귀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결과는 첫째, '국적'을 보면 '베트남' 38.8%, '필리핀' 29.1%, '중국' 12.2%, '일본' 6.8%, 이었으며 '현재의 구강상태'는 '우식치아'가 있는 경우 60%, '우식증이 없는 경우' 40%로 조사되었다. 필리핀 국적의 국제결혼 이주여성들이 결손치아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일본 국적의 국제결혼 이주여성들은 여타 국적의 국제결혼 이주여성들에 비해 결손치아 수가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월 소득이 높은 국제결혼 이주여성들일수록 결손치아 수가 적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나이가 많을수록 우식치아의 숫자는 적어지고 있는 경향을 확인해볼 수 있었다. 남편 학력이 높은 국제결혼 이주여성들일수록 치주질환이 없을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전업주부인 국제결혼 이주여성들일수록 치주질환을 가지고 있을 확률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혼이주여성의 결혼적응도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배우자지지와 가족지지의 조절효과: 도시와 농촌 지역의 차이 (Moderating Effect of Support from Spouse and Fami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riage Adaptation and the Quality of Life of Marriage Immigrant Women: Difference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 김순옥;임현숙;정구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253-266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와 농촌거주 결혼이주여성들의 결혼적응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배우자 및 가족지지의 조절효과가 거주 지역 별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여, 결혼이주여성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거주 지역 특성에 맞는 중재전략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도시와 농촌에 거주하는 결혼이주여성 304명(도시 148명, 농촌 156명)이다. 연구결과 배우자 및 가족지지, 결혼적응도, 삶의 질은 농촌이 도시보다 낮았고, 거주 지역별 배우자 및 가족지지, 결혼적응도는 삶의 질과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혼이주여성의 결혼적응도와 삶의 질 간의 관계에서 배우자 및 가족지지의 조절효과가 있었고, 도시보다 농촌에서 더욱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근거로 거주지역과 상관없이 결혼이주여성이 결혼생활을 잘 영위하여 풍요로운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농촌과 도시의 특성에 맞는 거주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배우자지지, 가족지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맞춤형 중재전략을 개발하여 적용해 볼 것을 제언한다.

결혼이주여성이 경험하는 다차원적 사회적 배제 영역간의 종단적 상호관계 (The Longitudinal Interrelationships of Multidimensional Social Exclusion among Married Immigrant Women in Korea)

  • 박현선;정수정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56호
    • /
    • pp.197-22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결혼이주여성이 경험하는 사회적 배제의 다양한 차원들이 종단적으로 어떻게 영향을 주고받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경기교육복지패널 2011년~2013년까지의 3개년 자료를 활용하여 결혼이주여성의사회적 배제 하위영역들 간의 자기회귀교차지연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경제적 배제, 지역사회 배제, 교육참여로부터의 배제, 민족적 배제에서 1차년도부터 3차년도까지 정적으로 유의미한 자기회귀효과가 나타났다. 즉, 1차년도에 배제가 높을수록 2차년도와 3차년도에도 유의미하게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사회적 배제의 하위 영역들 간의 종단적인 상호인과관계를 분석한 결과 이전 시점의 경제적 배제가 이후 시점의 교육참여로부터의 배제, 민족적배제를 유의미하게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다양한 차원의 배제 영역 중에서도 경제적배제가 보다 근원적인 선행요인으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결혼이주여성의 적극적인 사회적 포용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경제적 지원과 개입이 우선되어야 하며, 사회적 배제의 만성화를 예방하기 위한 초기 개입의 필요성을 보여주는 결과라하겠다. 따라서 결론에서는 이러한 결과에 근거한 다양한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결혼보조금이 결혼에 미친 영향: 2004-2018 한국의 결혼이민자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Marriage Subsidy on Marriages: Focusing on Marriage Immigrants in South Korea 2004-2018)

  • 박지현
    • 노동경제논집
    • /
    • 제43권2호
    • /
    • pp.1-39
    • /
    • 2020
  • 이 연구는 2006년부터 한국의 일부 지자체에서 지원된 결혼보조금이 결혼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다. 한국 남성과 외국인 여성 간의 국제결혼을 대상으로 한 결혼보조금은 국제결혼에 대한 경제적 유인을 증가시킨다. 2004-2018년 기간의 한국의 인구동향조사의 혼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초지자체(시군구) 및 연도별 결혼보조금 차이 및 이중차분법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결혼보조금은 비혼 한국 남성이 외국 여성과 결혼하는 확률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한국 여성과의 결혼에 대한 구축효과(crowd out effect)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결혼보조금이 전체결혼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양으로 나타났다. 세부그룹 분석 결과 결혼보조금이 나이가 많고 학력이 고졸인 남성에게 있어 가장 뚜렷하게 국제결혼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 PDF

The Effectiveness of a Cultural Competence Training Program for Public Health Nurses using Intervention Mapping

  • Kim, Yune Kyong;Lee, Hyeonkyeong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10-422
    • /
    • 2016
  • Purpose: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s of a cultural competence training program for public health nurses (PHNs) using intervention mapping. Methods: An embedded mixed method design was used. Forty-one PHNs (experimental: 21, control: 20) and forty marriage migrant women (MMW) (20, in each group) who were provided nursing care by PHN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was provided with a four-week cultural competence program consisting of an eight hour offline and online course, e-mail newsletters and social networking services (BAND). Transcultural Self-efficacy (TSE) of the PHNs, client-nurse trust, and satisfaction with nursing care of MMW were measured. Ten PHN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interviewed after the experimental study.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greater improvement in TSE, client-nurse trust, and satisfaction with nursing care than did the control group. Six themes emerged from qualitative data: (a) Recognizing cultural differences, (b) Being interested in the multicultural policy, (c) Trying to communicate in MMW's own language, (d) Providing medical information using internet and smart phone, (e) Embracing culturally diverse people into society, and (f) Requiring ongoing cultural competence training. Conclusion: Cultural competence training enabled PHNs to provide culturally competent care and contribute to MMW's health outcomes.

외국인 이주자 건강관련 연구 동향: 최근 10년간(2000-2009년) 연구에 대한 고찰 (Trends in Health-related Research on Foreign Migrants Living in Korea: Review of Published Studies during the Past 10 Years (2000-2009))

  • 최지원;이현경;채덕희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13-128
    • /
    • 2011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and trends of health-related research on foreign migrants living in Korea. Methods: Among 85 articles identified via PubMed and RISS and additional 7 articles by ancestry search, 28 were selected for the review. Two authors independently reviewed the articles using a literature review matrix and examined together the three aspects of the studies: research methods, research topics, and research results. Results: Most of the articles were published between 2005-2009, and only 3 studies used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Most were exploratory and there were 4 intervention studies: three of them examined the effect of an art therapy on acculturative stress and mental health among marriage migrant women. The lack of information on informed consent, approval of institutional review board, and the validity/reliability of the translated instruments were noted. Conclusions: Research is needed to examine migrants' health behaviors, the prevalence of chronic illness among migrants, and the influence of acculturation on the use of health resources, health behaviors, and health status. Researchers should be aware of ethnic issues when they work with foreign migrants.

Non-vaccination Against COVID-19 Among Venezuelan Refugees and Migrants Adults in Peru: A Cross-sectional Study, 2022

  • Akram Hernandez-Vasquez;Rodrigo Vargas-Fernandez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6권5호
    • /
    • pp.397-406
    • /
    • 2023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factors associated with non-vaccination against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among the Venezuelan immigrant population residing in Peru. 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using data obtained from the Second Survey of the Venezuelan Population Residing in Peru in 2022. The dependent variable was vaccination status against COVID-19. The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d socio-demographic, economic, and migratory characteristics of the included population. Crude and adjusted generalized linear Poisson-family models were used to calculate prevalence ratios with 95% confidence intervals (CIs). Results: A total of 7739 Venezuelan migrants aged 18 years or older were included. The proportion of non-vaccination against COVID-19 was 5.7%. Regarding associated factors, unemployment (adjusted prevalence ratio [aPR], 1.31; 95% CI, 1.04 to 1.65) was linked to an increased likelihood of not being vaccinated against COVID-19. In contrast, women (aPR, 0.76; 95% CI, 0.61 to 0.95), possessing a migration permit (aPR, 0.41; 95% CI, 0.31 to 0.54), and having health insurance (aPR, 0.47; 95% CI, 0.27 to 0.81) were associated with a decreased likelihood of being unvaccinated. Conclusions: The primary governmental and non-governmental institutions responsible for supporting and protecting the Venezuelan migrant and refugee population should improve vaccination access by issuing migration permits and providing health insurance.

농촌지역과 도서지역의 폐교 현황과 활용 유형 비교 연구 - 충청북도 괴산군과 전라남도 신안군 폐교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Status and Utilization Types of Closed Schools in Rural and Islands - Comparative Study of Closed School in Goesan-gun, Chungcheongbuk-do, and Sinan-gun, Jeollanam-do -)

  • 문승현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6권1호
    • /
    • pp.11-20
    • /
    • 2024
  • Due to the decreas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and the overall population, school closures will continue to occur. Currently, most school closures are happening in rural areas, where geographical conditions often result in relatively poor educational, welfare, and cultural facilities compared to urban areas. Additionally, the proportion of elderly populations and migrant women is continuously increasing. In order to effectively utilize closed schools in the future, various efficient utilization methods that align with the social context of the respective regions will be necessa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atus of closed school and utilization types in selected rural and island areas of similar sizes through field surveys and literature review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se findings, we have identified the predominant utilization types in rural and island areas and assessed the current situation where utilization is lacking. Based on the results, we aim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improving and enhancing the utilization of school closures in the face of the ongoing declin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사례로 본 여성결혼이민자의 가정생활실태와 갈등 (Family Life and conflicts of Female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 홍달아기;채옥희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729-741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onflicts between female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s(FIMMs) and their family members, and living conditions of FIMMs in Korea. The results will be useful in understanding FIMMs' struggles and will help them to develop their adaptive ability to family life.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in three dimensions: a Sociodemographic factor, a marriage-related factor and a factor of the migrants' relationship to their family members. All conflicts result from the lack of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the migrants and their family,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ir languages and between their cultures. Of course, FIMMs can not adequately express their feelings and opinions in Korean language. Their loved ones and relatives can not express their feelings in the immigrants' languages, either. It is evident that there are a lot of misunderstandings caused from their language barrier. The public support for the migrants is limited. They live a lonely life and no consideration. Most of them complains that their husbands have no careful concern for their feelings. That seems because most of the Korean husbands have never had education enough to understand their problems in terms of international marriage. A close watch of what can be learned from conflict and complaints of women. However, any sympathy for foreign women's complaints should be evaluated in cultural sides: especially family life education programs for Korean husbands and their family members are required for a good grasp of typical intermarriage issues.

  • PDF

충북 지역 결혼이주 여성 출신국가별 건강행태, 건강상태, 보건의료이용 실태 비교 (The Comparative analysis of health behaviors, health Status, and health care utilization by the homeland of the internationally married women immigrants living in Chungbuk)

  • 전미양;김현숙;김희자;이효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3500-3512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주 여성의 건강행태, 건강상태, 보건의료 이용 실태를 출신 국가에 따라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충청북도 7개 지역 다문화센터에 등록되어 있는 결혼이주 여성 171명이며, 자료수집은 7개 언어로 번역된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하여 2010년 9월~11월까지 3개월간 실시하였다. 결혼이주 여성의 출신 국가에 따라 비교한 결과, 건강행태에서는 고강도 운동, 걷기 운동, 체중조절, 아침식사 횟수가 차이를 보였고, 건강상태에서는 요통 발생율과 비만도가 차이가 있었으며, 보건의료 이용에서는 건강검진 경험, 주이용 의료기관, 의료기관 미방문 이유에 있어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결혼이주 여성의 건강 정책을 수립한다면 결혼이주 여성에게 가장 적절한 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