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ddle - aged women

검색결과 1,290건 처리시간 0.028초

3차원 계측데이터를 활용한 고령 여성의 하반신 체형 유형화 -70-85세 여성을 중심으로 - (The Type of the Lower Body Shape of the Elderly Women Using the 3D Anthropometric Data -Focused on Women Aged 70-85-)

  • 차수정
    • 패션비즈니스
    • /
    • 제22권2호
    • /
    • pp.27-39
    • /
    • 2018
  • This study analyzed the body shape of women over 70 years and classified their body shapes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pants patterns that can complement the weakness of the body shape of elderly women. It were analyzed using SPSS Ver. 20.0. Five factors were extracted from the lower body: obesity and thigh thickness, lower body length, under knee thickness, ankle height, and hip sag. In type 1, the lower body was obese and the legs were thick, but the hips were not sagging. It was named 'high-hip obesity figure'. Type 2's abdomen, hip, and waist were obese, but the legs were thin and the hip were not sagging. Thus, 'bird-leg middle obesity figure' was the name. Type 3 had a long and slender lower body, but legs were thick and the hips were saggy, it was named 'strong-leg low-hip slender figure'. The elderly women showed less difference in waist, abdomen, and hip circumference. The abdominal circumference was 2-3cm more than the waist and hip circumference; hence there is a need to differentiate the shape and number of darts in the production of bottom-wear patterns for older women. In addition, the leg circumference is gradually reduced by aging compared to the size of the lower body. Therefore, it would be necessary to search for a method that can effectively design the difference between the hip circumference and the leg circumference in relation to the body shape and the aesthetics of older women.

한국 베이비붐 세대 여성의 운동문화 연구: 구술생애사인터뷰를 중심으로 (A culture study of women's sports of babyboom generation in Korea: through oral history interview)

  • 김영선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4권4호
    • /
    • pp.439-452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사회의 베이비붐 세대 여성의 운동문화의 함축적 의미를 찾는 데 있다. 전통적으로 여성은 유교사상과 함께 온화하게 좁은 보폭으로 걷고, 활발하게 달릴 수 없었다. 그러나 현대 한국사회에서 운동인구의 증가와 함께 많은 중년여성들이 운동에 참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년여성 중에서도 특히, 1955~1963년생으로 고등교육의 첫 세대인 베이비붐 여성 세대에 주목하여, 세 명의 구술생애사인터뷰를 중심으로 생애전반에 이루어졌던 운동에 대한 문화이해를 시도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놀이로써의 운동, 강요된 수업, 강화된 모성성, 성역할 수행을 위한 생존체력, 노후를 위한 준비 등의 특징을 이해할 수 있었다. 또한 운동문화연구에서 구술생애사인터뷰는 여성 삶의 역동적인 맥락을 발견하게 하며, 여성자신의 목소리가 얼마나 중요한가를 인식하게 한다.

전북지역 중년여성의 건강염려, 건강증진행동 및 삶의 질에 대한 연구 (Study on health anxiety issues, health-promoting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women in Jeonbuk area)

  • 전선영;정성석;노정옥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3권6호
    • /
    • pp.613-628
    • /
    • 2020
  • 본 연구는 전북지역 334명의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건강염려, 건강증진행동 및 삶의 질의 수준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건강염려의 총점은 60점 중 37.64점으로 보통수준, 전체 평균값은 3.14점이었다. 하위항목 중 건강습관이 3.51점으로 가장 높았다. '흡연과 같은 해로운 습관을 피한다'가 4.04점으로 가장 높으며, '건강에 대하여 걱정한다'가 2.30점으로 가장 낮았다. 건강증진의 총점은 115점 중 79.18점으로 보통수준, 전체 평균값은 3.44점이었다. 하위항목 중 생활습관이 4.09점으로 가장 높았다. 문항 중 '흡연을 하지 않는다'가 4.25점으로 가장 높으며, '미역, 김, 다시마, 멸치, 우유 등을 자주 섭취한다'가 2.48점으로 가장 낮았다. 삶의 질의 총점은 150점 중 101.18점으로 보통수준이며, 전체 평균값은 3.37점이었다. 하위항목 중 사회적 요인이 3.63점으로 가장 높았다, '자녀와의 관계만족'이 3.72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전반적인 건강상태 만족'이 2.95점으로 가장 낮았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건강염려는 'BMI', '가계월수입', '직업', '질병여부', '체중만족', '체중조절 관심'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건강증진행동은 '연령, 'BMI', '가계월수입', '생리여부', '건강보조식품섭취', '체형인식', '체형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삶의 질은 'BMI', '가계월수입', '학력', '직업', '질병여부', '체중만족'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삶의 질에 미치는 관련변수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삶의 질에 대한 전체 1단계에서 BMI '18.5 이상 23.0 미만', 질병 '없음', 가계월수입 '500만원 이상'의 순이며, 설명력은 17.4%이었다. 2단계에서 건강염려 요인 투입에 따른 총 설명력은 23.2%이며, '건강염려'의 영향력이 가장 크며, 그 다음은 질병 '없음', 가계월수입 '500만원 이상'의 순이었다. 3단계 건강증진행동 요인 투입에 따른 총 설명력은 40.8%이었다. 삶의 질에 대한 예측변인의 영향력은 '건강증진행동', 질병 '없음', '건강염려'의 순이었다. 이상의 결과, 전북지역 중년여성의 건강염려 수준과 건강증진 행동은 보통수준이었다. 그러나 건강증진행동은 실제 삶의 질에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질병 없는 건강상태는 건강증진행동을 실천하는데 중요한 동기부여가 될 수 있다. 따라서 건강염려 수준을 적절히 유지하며, 신체적 변화기에 있는 중년여성들의 건강관리 능력을 높이는 것이 삶의 질을 높이는 방안이라 판단된다.

3차원을 이용한 중년 비만 여성용 스커트 설계 방법론 연구 (Development of Skirt Pattern for the Middle Aged Women of Obese using the 3-Dimension Technology)

  • 손부현;김소영
    • 복식문화연구
    • /
    • 제16권5호
    • /
    • pp.852-862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how to do the width of skirt and the girth of the waist in the adequate pattern making for the obese women's skirt. Appearance test of the five experimental skirts was evaluated by the four experts in clothing construction. At the same time, 3D clothing air volume was observed for the five types of experimental skirt with different size specifications. The results from the appearance test were as follows; when the width of skirt pattern is set for(the shell girth/2), it was suggested w/4+1(front), w/4(back) for girth of the waist. On one hand, in case of (the shell girth of front)/2+(the shell girth of back)/2, it was suggested(the waist girth of front)/2 and(waist girth of back)/2 for obese women's skirt with the best appearance. As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width of skirt pattern for the obese women should be the greatest shell girth instead of hip girth. In the case of the hip girth, the amount of ease on hip was suggested 6cm. It was found that pattern with the wrinkle of ease was full of the gaps between body and skirt in 3D clothing air volume. In spreading out to 2D flat pattern from 3D scan data, when the width of skirt pattern was set for(the shell girth of front)/2+(the shell girth of back)/2, it was suggested(the waist girth of front/2)+(the waist girth of back/2) than the shell girth/2 in girth of the waist for the best appearance. And the conversion of 3D scan data into 2D flat pattern in curve shape of crosswise had to spread out of the plane in straight line. The obese women's clothing should be manufactured with systematical consideration of the diversity and scarcity of the obese women's body shape.

  • PDF

대구지역 성인여성의 영양섭취 상태와 혈청지질에 관한 연구 (Studies of Nutrent Intake and Serum Lipids Level in Adult Women in Taegu)

  • 최미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1권4호
    • /
    • pp.777-786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nutrient intake and serum lipid levels in 165 healthy women in Taegu. A convenient method was to assess nutritional intake. Anthropometric measurement of body weight and height were measured and average energy expenditure calculated . The mean body mass index (BMI) was 23.4$\pm$3.1 and it was higher than the mean BMI of Korean women. Obesity rates for the study subjects were 15.7% by RBW (relative body weight : >120%) and 28.5% by BMI(body mass index) ; >25). Daily energy intake was sufficient at 106% of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and the energy percentage ration of carbohydrate , fat and protein was 68 : 18 : 14. Mean intake of vitamin A, B1 , niacin , and Ca were higher than RDA. The incidence of hypertension(>140mmHg) and hypercholoesterolemia(>240mg/dl) as 18.2% and 23.6% of the subjects, respectively . Postmenopasusal wome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blood pressure, RBW, and ALP (alkaline phosphatase) than premenopausal women. The concentration of cholesterol and average blood pressure in the irregular meal eater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regular meal eater group. Skipping meals and unenvendurnal distribution(no breakfast, or no lunch , and large evening meals) are associated with high total cholesterol level in this population . Especially, the atherogenic index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regular meal eater group than that in irregular meal eaters. The values for serum cholesterol, triglyceride, blood pressure, BMI, and atherogenic index increased with age in middle-aged women. There was a high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body weight and plasma lipids. HDL -cholesterol was inversely correlated with BMI. The above dta provides valuable information for community program planning and health providers who work with individual female and adults to meet their nutrietional needs to control blood lipids.

  • PDF

중년 여성의 갱년기 증상과 우울에 관한 연구 (An Analysis of the Realtionship between Menopausal Symptoms and Depression)

  • 권숙희;김영자;문길남;김인순;박금자;박춘화;배정이;송애리;여정희;정은순;정향미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270-283
    • /
    • 1996
  • This study was done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enopausal symptoms and depression. Data were collected by a questionnaire from November 28 to December 30, 1995. The subjects were 134 women between 40-61 years of age.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The Menopausal symptom scale by Neugartom and Depression scale by Zung.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Mean score of menopausal symptoms was 1.59. Mean score orders of experienced symptoms were "Rack pain and joint pain"(2.02), "General weakness"(1.98), "Nervousness"(1.96). The most serious menopausal symptom was psychosomatic symptom.(1.88) Total score orders of experienced symptoms was 27.9 and over 90.3% of women complained menopausal symptom. 2. Mean score orders of depression was 39.13. It was normal range of depression. 85.1% of the women were normal range of depression and 14.2% of women mild depression. 3. The relationship between menopausal symptoms and depress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r=0.5307, p=0.000). When the relationship among three dimensions of menopausal symptoms were explored the psychosomatic symptom(r=0.4090, P=0.000), Physical symptom(r=0.319, P=0.000), Physical symptom(r=0.319, P=0.000)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4. General characteristic variable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level of menopausal symptoms as follows ; environment of living(F=2.89, p=0.038), religion(F=4.18, P=0.007), times of birth(F=2.66, p=0.043). The analysis of this study have implication for management of middle aged women's health, to solve the nursing problems, and to prevent and relieve climacteric symptoms.

  • PDF

임산부 및 수유부의 영양·미용·체형변화에 대한 관심도와 미용 보조 식품에 관한 연구 (Interests in Nutrition·Beauty·Body Shape of Pregnant and Lactating Women·Desires for "Inner Health, Outer Beauty" Functional Foods)

  • 류세자;박미성;박승용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5권4호
    • /
    • pp.232-243
    • /
    • 2017
  • Although several supplementary foods are available for pregnant and lactating women, there is a need for foods able to maintain a woman's beauty without any changes in body shape. In this study, four questionnaires about nutrition management, skin care, body shape, and the intent of purchasing beauty supplementary foods, were prepared for an online survey (http://pms8011.wixsite.com/project). A total of 95 answers from 293 women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based on age, income, occupation, and skin type.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WIN Program 22.0. The significances of the F-value analyzed by one-way ANOVA and the differences within the groups were verified by Scheffe's method. All groups were shown to have very high requirements for nutrition management and beauty standards. In the skin patterns, the groups of middle-aged women, house wife and the lower income showed high interests, with a high significance (P<0.01) in ages. With respect to body shape, significant interest was found within the groups of skin type (P<0.05) and age (P<0.001). With regard to supplementary foods, all groups showed a strong intention to purchase,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This study indicates the necessity to categorize supplementary foods by the intended target group, such as women planning to conceive, pregnant women, and lactating women.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한 중산층 성인의 영양소 섭취실태 연구 (A study on nutritional intakes in middle income adults based on data from the 5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김지명;김혜숙;김기남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8권4호
    • /
    • pp.364-370
    • /
    • 2015
  • 본 연구는 중산층 성인 남녀의 영양상태를 저소득층 및 고소득층과 비교하기 위하여 실시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대부분의 영양소 섭취량은 소득 수준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에너지, 단백질, 지방, 칼슘, 인, 칼륨, 티아민, 나이아신, 비타민 C섭취 수준은 남녀 모두에서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섭취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철분과 리보플라빈 섭취량은 성별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였는데, 중산층 남성의 경우 철분과 리보플라빈 섭취 수준이 저소득층 보다 높고 고소득층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은 반면, 중산층 여성의 철분 섭취량은 고소득층 보다 낮고 저소득층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1,000 kcal 당 영양소 섭취 수준을 비교한 결과, 중산층 남성의 경우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섭취량은 고소득층과 유사하게 나타난 반면, 중산층 여성의 경우 이들 영양소 섭취량이 저소득층 보다 높고 고소득층 보다 유의적인으로 낮았다. 이상의 결과는 저소득층 뿐만 아니라 중산층, 특히 중산층 여성에 대한 영양문제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 것으로, 향후 소득 계층별 영양정책 수립에 있어, 성별에 대한 차이를 고려한 맞춤 복지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진여클린미스트를 이용한 중년여성의 안면피부개선 효과 (Effects of Jinyeosoo Clean Mist on the Improvement of Facial Skin in Middle-aged Women)

  • 김민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220-228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2020년 10월12일부터 2020년 11월15까지 35~55세의 중년여성 20여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실험군에는 진여수클린미스트를 사용하도록 하였고, 대조군 10명의 여성들에게는 평소 사용하는 이온수 성분을 함유하지 않은 미스트제품을 사용하도록 설계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Janus 안면진단기(주. 피에스아이)로 피부에 조사하여 광원의 차이에 따라 관찰 되는 모공, 주름, 탄력, UV색소침착, 색소침착, 피부톤을 측정하였다. 실험전 클렌징을 하고 10분간 안정한 뒤 안면진단기로 촬영을 하였고, 진여수클린미스트 사용 후 7일에 1회씩 총 4회 촬영이 진행되었다. 통계처리는 SPSS 통계프로그램 21.0을 활용하여 실험에 참여한 두 집단 간 실험 전 데이터와 실험 후 데이터의 평균을 비교하기 위해 대응표본 t-test를 사용하였다. 야누스III의 데이터 분석자료에서 분석수치는 평균연령의 데이터를 기본값으로 하였으며 0(zoro)에서 숫자가 증가할수록 나이에 비해 개선이 요구된다. 분석결과, 진여수이클린미스트 제품을 사용한 집단에서 모공(t=3.280, p<.01), 주름((t=4.353, p<.01), 탄력(t=3.003, p<.05), 피부톤(t=3.280, p<.01)에서 통계적 유의수준 하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색소침착과 UV색소침착과 피부톤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나이에 따른 수면무호흡증 임상적 특성의 변화 (Characteristics of Sleep Apnea Syndrome in the Elderly in a Clinical Setting)

  • 신윤경;윤인영;홍민철;윤영돈
    • 수면정신생리
    • /
    • 제12권1호
    • /
    • pp.39-44
    • /
    • 2005
  • 목 적:본 연구에서는 노인 수면 무호흡증과 성인 수면 무호흡증에서의 특성들을 비교하고, 이미 알려진 성인 수면무호흡증에서의 위험인자들과 노인 수면무호흡증에서의 호흡장애지수 사이의 상관관계를 살펴 노인 수면무호흡증의 특징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 법:호흡장애지수가 5 이상이면서 연령이 20세 이상인 275명의 수면 무호흡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고, 연구 대상에게 간단한 신체검사, Pittsburgh 수면질척도, Epworth 졸림증 척도 등을 포함한 설문지 평가, 수면다원검사를 시행 하였다. 60세 미만의 성인 수면무호흡증 집단과 60세 이상의 노인 수면무호흡증 집단 간에 자료들이 비교, 분석 되었다. 결 과:노인과 성인 수면무호흡증에서 호흡장애지수, 무호흡지수, 90% 미만 산소포화도 기간의 백분율, Pittsburgh 수면질척도 등은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없었다. 노인 수면무호흡증은 성인 수면무호흡증에 비해 폐쇄성 무호흡지수와 산소포화도저하지수가 낮았다. 또한 통계적 유의성은 없으나, 최저 산소포화도와 중추성 무호흡지수가 높았다. 노인 수면무호흡증에서 체질량지수와 목둘레가 성인 수면무호흡증에 비해 작았다. 확장기 혈압도 노인에서 성인 수면무호흡증에 비해 낮았으나, 수축기 혈압은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없었다. 노인 수면무호흡증에서 성인에 비해 Epworth 졸림증 척도 점수가 낮았다. 성인 수면무호흡증에서는 호흡장애지수와 체질량지수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노인 수면무호흡증에서는 두 변수 사이에 상관관계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와 유사한 결과가 호흡장애지수와 목둘레, 수축기 혈압, 그리고 확장기 혈압 사이에서도 나타났다. 결 론:노인 수면무호흡증 집단은 비만하지 않았고, 노인에서의 수면무호흡증의 심각도는 체중과 관련이 없었다. 또한, 노인에서는 수면무호흡증이 행동과 심혈관계에 미치는 영향이 현저하지 않았는데, 이는 노인 수면무호흡증에서 성인에 비해 산소포화도저하지수가 낮고, 최저 산소포화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에 의해 일부 설명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체중 증가보다는 정상 노화과정이 합병증이 적은 노인 수면무호흡증 발생에 좀 더 기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