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wave-drying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18초

잠재적 효소식품 원료로서 발아현미의 마이크로파 진공건조 (Microwave Vacuum Drying of Germinated Brown Rice as a Potential Raw Material for Enzyme Food)

  • 김석신;김상용;이원종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1107-1113
    • /
    • 1998
  • 품질이 우수한 효소식품으로의 활용가능성 검토를 위해 현미를 발아시킨 후 마이크로파 진공건조로 건조하고 그 건조특성과 품질특성을 열풍건조, 진공건조, 그리고 동결건조의 경우와 비교해 보았다. 마이크로파 진공건조 1 및 2의 경우 열전달속도가 빨라 건조 개시후 5분 경과후 $60^{\circ}C$에 도달하였고 건조시간 내내 $60{\pm}2^{\circ}C$를 유지하였으나 열풍건조의 경우는 건조개시 60분 경과 후, 진공건조의 경우는 2시간 경과 후에야 $60^{\circ}C$에 도달하였다. 마이크로파 진공건조 1의 경우 건조 3시간 후 수분함량 0.08 kg water/kg solid까지 감소하였으나, 마이크로파 진공건조 2의 경우 총건조시간 2시간만에 수분함량 0.O6 kg water/kg solid까지 감소하였다. 열풍건조의 경우 건조시간 4시간만에 수분함량 0.14 kg water/kg solid까지 감소하였으나 최소한 2시간은 더 건조시켜야 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마이크로파 진공건조 1 및 2의 초기 건조속도는 0.05 kg water/kg solid/min이었으며 처음부터 건조속도가 계속 감소하는 감률건조를 보였다. 열풍건조의 경우는 초기 건조속도가 0.0057 kg water/kg solid/min으로서 마이크로파 진공건조 1 및 2의 1/10 수준이었으며 건조개시 30분까지 항률건조를 보이다가 임계수분함량 0.81 kg water/kg solid 부근부터 감률건조가 시작되었다. 건조시료의 ${\alpha}-amylase$ 활성 및 protease 활성은 마이크로파 진공건조, 동결건조, 진공건조 및 열풍건조의 순서를 보였고, diastatic activity의 경우 동결건조와 마이크로파 진공전조가 거의 대등한 품질보존효과를 보여 주었다. 이로부터 마이크로파 진공건조를 이용하여 건조할 경우 최소한 동결건조와 대등한 품질의 건조제품을 제조할 수 있으리라 예상되었다.

  • PDF

화학폐수슬러지와 무연탄을 이용한 복합건조공정의 조사시간에 따른 고형연료의 특성 평가 (Characteristic Evaluation of RDF for the Combined Drying Produced by Weight Mixing Ratio Use Chemical Wastewater Sludge and Anthracite Coal)

  • 이승철;정진희;이준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417-424
    • /
    • 2016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icrowave drying characteristics of mixtures of chemical wastewater sludge (70~90%) and anthracite coal (10~30%) with respect to physical and economic factors such as mass, volume reduction, moisture content, drying rate and heating value when the wastes were dried at different weight mixing ratio and for different microwave irradiation time. The drying process were carried out in a microwave oven, the combined drying process with a 2,450 MHz frequency and 1 kW of power. Maximum dry rates per unit area on the microwave drying of mixtures with chemical wastewater sludge and anthracite coal were $35.5kg\;H_2O/m^2{\cdot}hr$ for Cs90-Ac10; $40.1kg\;H_2O/m^2{\cdot}hr$ for Cs80-Ac20 and $35.0kg\;H_2O/m^2{\cdot}hr$ for Cs70-Ac30. The result clearly indicated that moisture can be effectively and inexpensively removed from the wastes through use of the microwave drying process.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호박산 건조 특성 (Drying Characteristics of Succinic acid using the Microwave)

  • 김지선;류영복;김명환;홍성수;이만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6023-6028
    • /
    • 2013
  • 최근 생분해성 고분자 수지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그의 원료인 호박산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호박산은 화학적 공정인 수소화 반응으로 합성된다. 합성된 호박산은 일정량의 수분을 함유되고 있으며 이를 제거하기 위한 건조공정으로는 열풍건조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최근 건조시간 단축과 제품의 균일한 건조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 마이크로파 건조공정이 각광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조공정에서 열풍건조와 마이크로파 건조 효율을 비교하였으며 마이크로파 건조 시 최적 조건을 찾아내어 가장 효율적인 호박산 건조 방법 및 운전조건을 확립하였다. 또한 호박산 건조공정에서 마이크로파건조의 상업적 적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실험결과 호박산 샘플의 두께가 1 cm일 때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건조가 열풍건조보다 70%의 높은 효율을 확인하였다. 또한 마이크로파건조와 열풍건조 시 호박산의 완전건조까지 소비되는 전력량 검토를 통하여 경제적 효율성을 비교하였다.

침·활엽수재의 Microwave 건조곡선예측 (Prediction of Microwave Drying Curves for Various Hardwoods and Softwoods)

  • 강호양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6권4호
    • /
    • pp.34-42
    • /
    • 1998
  • Three hardwood (ash, alder and black locust) and three softwood (Japanese red pine, radiata pine and Western hemlock) specimens were dried in microwave(MlW) oven and their drying rates were obtained. Their specific permeabilities were also measured by using a modified liquid permeability measuring devic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W drying rates and permeabilities of six specie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It was revealed that within a species there is a logarithmic relationship between the M/W drying rates and average moisture contents and that among species there is a 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 M/W maximum drying rates and the average specific permeabilities. A exception was Western hemlock, which was of low permeability and of high drying rate. A Me-time equation, which showed a good agreement with the actual data, was derived. Thus using this equation the moisture contents of wood and the drying end points of M/W drying could be predicted. Infrared images of the thermal distribution in wood were illustrated.

  • PDF

Microwave에 의한 흙의 건조 특성 고찰 (Drying Characteristics of Soil by Microwave)

  • 조두환;오명학;박준범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2권5호
    • /
    • pp.5-12
    • /
    • 2011
  • 지반공학적으로 흙의 함수비는 흙의 역학적 거동특성을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인자이다. 통례적으로 흙의 함수비는 $105^{\circ}C$ 건조로에서 16~24시간 동안 건조해 함수비 값을 구한다. 현재 이러한 방법은 가장 보편적인 방법이며 많은 실험 데이타가 축척되어 있으나, 동시에 현장에서 사용하기에는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고 문제 발생 시 신속한 대책마련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외국의 실험규정(ASTM, JGS)에서는 microwave oven을 이용한 함수비 측정법이 제정되어 있다. 또한 microwave oven에 의한 함수비의 신뢰성 평가에 관한 연구도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문진표준사, 카올리나이트, 벤토나이트, 화강풍화토, 유기토 등을 대상으로 microwave oven을 이용한 함수비 측정방법의 타당성을 확인했다. 신뢰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해서 분석하고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Microwave Drying of Sawdust for Pellet Production: Kinetic Study under Batch Mode

  • Bhattarai, Sujala;Oh, Jae-Heun;Choi, Yun Sung;Oh, Kwang Cheol;Euh, Seung Hee;Kim, Dae Hyun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7권6호
    • /
    • pp.385-397
    • /
    • 2012
  • Purpose: Drying characteristics of sawdust was studied under batch mode using lab scale microwave dry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aterial load and microwave output power on drying characteristics of sawdust. Methods: Material load and microwave output power were varied from 23 to 186 g and 530 to 370 W respectively. Different kinetic models were tested to fit the drying rates of sawdust. Similarly, the activation energy was calculated by employing the Arrhenius equation. Results: The drying efficiency increased considerably, whereas the specific energy consumption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crease in material load and microwave output power. The cumulative energy efficiency increased by 9%, and the specific energy consumption decreased by 8% when the material load was increased from 23 to 186 g. The effective diffusivity increased with decrease in material load and increase in microwave output power. The previously published model gave the best fit for data points with $R^2$ and RMSE values of 0.999 and 0.01,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data obtained from this study could be used as a basis for modeling of large scale industrial microwave dryers for the pellet production.

음식물 쓰레기의 마이크로파 건조 (Microwave Drying of Food Waste)

  • 김덕찬;현준호;변자진;이동원;문경환
    • 환경위생공학
    • /
    • 제13권3호
    • /
    • pp.133-140
    • /
    • 1998
  • The food wastes from a refectory and an eating house were heated in domestic microwave oven(700W) equipped with a fan and the drying rates and destruction of microorganisms were investigated. The drying rate was decreased with the size of food waste and the food wastes in polypropylene basket were dried faster than that on glass dish. The rate was increased with lower initial moisture content. Death rate of microorganisms was also decreased with the size of food waste. Ninety eight percent of reduction in viable cell numbers for the 400g of food waste could be achieved in 240sec of microwave irradiation.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in food wastes after microwave irradiated was observed at $32^{\circ}C$ and 95% relative humidity after 7days and the cell numbers in microwave irradiated food wastes were found to be 1/2 ~ 1/20 of the numbers in untreated wastes in accordance with the mass and the length of exposed time to microwave. To minimize the moisture and microorganisms in food wastes, the use of microwave oven are recommended.

  • PDF

수삼의 마이크로파 진공 건조 후 사포닌 조성 및 미세구조의 변화 (Changes in Saponin Composition and Microstructure of Ginseng by Microwave Vacuum Drying)

  • 금준석;박광장;이창호;김용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427-432
    • /
    • 1999
  • 마이크로파 진공 건조 방법을 달리하여(3분 건조-2분 정지를 반복하여 24시간 건조하는 방법 ; MWVD 1,5분 건조-2.5분 정지를 반복하여 24시간 건조하는 방법 : MWVD2, 열풍 건조기를 이용하여 $45^{\circ}C$에서 12시간 예비 건조 후 마이크로파 건조기를 이용하여 3분 건조-2분 정지를 반복하여 12시간 건조하는 방법 : HMWVD1, 5분 건조-2.5분 정지를 반복하여 12시간 건조하는 방법 : HMWVD2) 인삼을 건조한 후 품질특성을 검토하였다. 마이크로파 진공 건조 후 수축현상 없이 수분활성도 0.54, 수분함량 16.82%까지 건조되었다. 건조 후 일반성분의 차이는 조단백질, 회분은 차이가 없었으나 조지방의 함량은 감소되었다. 유리당 조성에서 포도당(glucose)은 증가한 반면 자당(sucrose)은 감소하였다. $Ginsenoside-Rb_1$ 및 Rc는 건조 후 감소하였으며 $Ginsenoside-Rg_1$의 함량은 MWVD2와 HMWVD2 처리구에서 각각 0.15, 0.17로 MWVD1와 HMWVD1 처리구보다는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미세구조 관찰에서 MWVD1 처리구가 건조 후 가장 치밀한 내부 구조를 나타내었다.

  • PDF

Preparation and Quality of Dried Yam Chip Snack Coated with Ascorbic Acid Cocrystallized Sucrose

  • Kim, Suk-Shin;Koh, Kyung-Hee;Son, Sook-Mee;Oh, Myung-Suk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5호
    • /
    • pp.661-666
    • /
    • 2005
  • The specific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ry yam chips using microwave vacuum drying, freeze drying and hot air drying, then to coat the dried yam chips with ascorbic acid cocrystallized sucrose, and finally to compare the quality of yam chip snack foods with respect to drying and coating characteristics. The microwave vacuum dried sample showed the highest drying rates and much less surface damage than the hot air dried one did. The shape and color of the microwave vacuum dried/coated sample were allocated between those of the freeze dried/coated sample and the hot air dried/coated sample. The freeze dried/coated sample scored excessively low in organoleptic hardness and chewiness to be suitable as a snack. The hot air dried/coated sample was too deep in color, wrinkled, excessively high in organoleptic hardness and chewiness, and excessively low in mouthfeeling. Therefore, the microwave vacuum dried/coated sample presented the best overall attributes as a snack, with respect to organoleptic characteristics, shape, color, and drying rates.

효소식품으로서 현미코오지의 마이크로파 진공건조 (Microwave Vacuum Drying of Brown Rice Koji as an Enzymic Health Food)

  • 김석신;노회진;김상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625-630
    • /
    • 1999
  • 효소식품인 현미코오지를 제조한 후 마이크로파 진공건조를 적용하여 건조하고 그 건조특성과 효소활성을 열풍건조, 진공건조, 또는 동결건조의 경우와 비교해 보았다. 마이크로파 진공건조의 경우 열전달속도가 빨라 건조 시작후 $5{\sim}10$분만에 $40^{\circ}C$에 도달한 후 건조시간 내내 $40{\pm}2^{\circ}C$를 유지하였다. 열풍건조의 경우는 건조시작 10분 경과 후, 진공건조의 경우는 40분 경과 후 $40^{\circ}C$에 도달하였다. 마이크로파 진공건조의 경우 건조 2시간 후 수분함량 0.08 kg water/kg solid까지 감소하였으나, 열풍건조의 경우 건조 시작후 2시간이 경과했는데도 겨우 수분함량 0.70 kg water/kg solid까지만 감소하였다. 마이크로파 진공건조의 경우는 초기 건조속도는 0.06 kg water/kg solid/min이었으며 처음부터 건조속도가 계속 감소하는 감률건조를 보였다. 열풍건조의 경우는 건조 초기 건조속도가 0.0045kg water/kg solid/min으로서 마이크로파 진공건조의 1/10 이하였으며 건조개시 40분까지 항률건조를 보이다가 임계수분함량 0.89 kg water/kg solid 부근부터 감률건조가 시작되었다. 건조시료의 ${\alpha}-amylase$ 활력, diastatic activity 및 protease 활력은 마이크로파 진공건조, 동결건조, 진공건조 및 열풍건조의 순서를 보여 마이크로파 진공건조의 품질보존효과를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