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tome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4초

대두배아 사포닌의 유리기 생성 억제 및 세포독성 (Free Redical Scavenging and Cytotoxicity Activitives of Soybean Germ Saponin)

  • 류병호;이홍수;김현대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51-157
    • /
    • 2002
  • 대두 배아로부터 saponin을 분리.정제하여 유리기 억제효과 및 동물의 암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을 조사하였다. 유리기 억제활성에 대한결과를 보면 대두 배아 saponin을 0.5 및 1.0%씩 첨가한 급여 식에서 4주 동안 사육한 후 간장을 절취하여 간장 획분의 활성산소 및 항산화 관련 효소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간장의 mitochondria 및 microtome 획분의 hydroxy radical(.OH)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급여식에 사포닌을 첨가한 급여군에서 .OH기의 생성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간장의 microsome 획 분에서도 0.5 및 1.0% 투여군에서 $H_2O$$_2$생성억제 효과가 인정되었다. 또한 간장의 cytosol획분에서 $O_2$.$^{-}$의 생성은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한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대두 배아 사포닌의 세포독성을 P338 (mouse Iyoupoid neoplasm)과 L1210 (mouse leukemia) 세포주를 사용하여 실시한 결과 200 $\mu$g/mL 농도에서 높은 성장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처리 농도에 따른 대두배아 추출물이 P338과 L1210에 대한 성장 효과 실험에서도 200 $\mu$g/mL에서 은 성장억제 효과가 나타났으며 농도가 높을 수록 완전히 억제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EDTA의 적용 온도와 시간에 따른 도말층의 제거양상 (REMOVAL PATTERNS OF SMEAR LAYER ACCORDING TO APPLICATION TEMPERATURE AND TIME OF EDTA)

  • 신장식;조용범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7권5호
    • /
    • pp.535-542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EDTA irrigant according to application time and temperature. 31 human mature extracted teeth with a single canal were sectioned with microtome in 3mm thickness and gained 62 samples of root canals. They were distributed randomly into 6 groups of 10 specimens each and control group of 2 specimens. Each specimen was prepared with GT rotary file (Dentsply, Maillefer Co., Swiss) and irrigated with 3 ml sodium hypochlorite every minute. Then smear layer was removed with EDTA solution (PULPDENT$^{\circledR}$, PULPDENT Co., USA.) except two control specimens. Specimens of each group were irrigated with 17% EDTA. The time and temperature of application were as follows : (Table omitted) All specimens were split longitudinally and prepared for examination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 set of reference micrographs was used to award a debris score as follows: 0 = no smear layer, all tubules clean and open; 1 = no superficial smear layer, tubule openings visible, but some contain debris plug or soft tissue remnants: 2 = moderate smear layer, some tubules open and others closed; 3 = heavy smear layer, most/all tubule openings obscured. Results were evaluated with Kruskal-Wallis test to determine whether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six groups. Pairs of groups were analyzed using the Student-Newman-Keuls Method and Mann-Whitney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Control specimens showed heavy smear layer at the canal walls 2. Among the groups applied with EDTA for 2 minutes, group 1 showed the heaviest smear layer, a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 1 and the other groups(p<0.05). 3. Among the groups applied with EDTA for 5 minutes, group 4 and group 6 showed smear layer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4. Among the groups applied with EDTA for the same temperature, group 1 showed heavier smear layer than group 4, a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5). 5. Among the groups applied with EDTA for the same temperature, group 2 showed heavier smear layer than group 5 and group 3 showed heavier smear layer than group 6.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m. From the results above, it could be concluded, EDTA solution is effective in removing of smear layer when it is applied for 5 minutes. If EDTA is applied for 2 minutes, it should be applied above room temperature.

근단부 크기에 따른 customized master cone의 치근단 밀폐효과에 관한 연구 (EFFECTIVENESS OF CUSTOMIZED MASTER CONE ON APICAL SEALING IN VARIOUS APICAL SIZE OF PREPARED ROOT CANALS)

  • 홍혜영;최호영;최기운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7권1호
    • /
    • pp.66-76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customized master cone on apical sealing in various apical size of prepared root canals, that is MAF(Master Apical File) and to know at which apical size the apical leakage is to be significantly reduced using customized master cone. 120 extracted single rooted premolar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their apical size(MAF), #30, 40, 50 and 60. And then, each group was subdivided into three in accordance with three obturation methods, lateral condensation with standardized master cone, lateral condensation with chloroform-dipped customized master cone, and continuous wave of obturation technique. Resorcinol-formaldehyde resin was used for the microleakage test of this study. Teeth were sectioned horizontally at 1.5mm(Level 1), 2.5mm(Level 2), and 3.5mm(Level 3) from the anatomical root apex using low speed microtome. All sections were examined under $\times$40 magnification with a stereomicroscope, photographed, and then scanned. With the scanned images, resin-infiltrated area presenting the microleakage was calculated using SigmaScan/Image, and the ratio of leakage to the total root canal area of each group was analyzed statistically(one way ANOV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 groups of MAF #30,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mean leakage ratio among three obturation methods at all three levels. 2. In groups of MAF #40, the group using lateral condensation with customized master cone had the low-est mean leakage ratio at all three level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ree obturation techniques. 3. In groups of MAF #50, the mean leakage ratio of the group using lateral condensation with standard master cone was the highest among those of three obturation techniques at level 1, and this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4 In groups of MAF #60, the groups using lateral condensation with standard master cone had also the highest mean leakage ratio at all level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t level 1 and 2. At level 3, the leakage of the group using lateral condensation with standard master con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group using continuous wave of obturation(p<0.05).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obturation method using customized master cone or the continuous wave of obturation is more effective for apical sealing than that using standardized master cone when MAF is larger than #50.

국내산 밤나무 목재의 해부학적 특성의 방사방향 변이성 - 도관요소 및 방사조직 - (Radial Variation of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Chestnut Wood (Castanea crenata) Grown in Korea - Vessel Element and Ray -)

  • 이선화;권성민;이성재;이욱;김만조;김남훈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7권1호
    • /
    • pp.19-28
    • /
    • 2009
  • 국내산 밤나무 목재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밤나무 7품종(단택, 이취, 이평, 만성, 은기, 유마, 축파)의 목재 해부학적 특성의 방사방향 변이성을 조사하였다. 즉, 횡단면에서 도관요소의 방사 및 접선 직경, 개수 및 방사조직 밀도를 그리고 접선단면에서 방사조직 높이 및 개수를 광학현미경법으로 측정하였다. 밤나무 7품종 목재에 있어 조재 도관요소의 방사 직경이 접선 직경보다 더 컸으며, 방사 및 접선 직경은 수령 증가에 따라 점차 증가하는 경향이 보였다. 단위 면적 당 도관요소의 개수는 수령 증가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다. 방사조직 밀도는 수령 증가에 따른 증감의 변화 없이 거의 일정하였다. 방사조직의 개수는 수령 증가에 따라 점차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고, 이와 대조적으로 방사조직의 높이는 낮아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방사조직의 높이가 높을수록 단위 면적($mm^2$) 당 방사조직 개수는 감소하고 방사조직의 높이가 낮을수록 방사조직 개수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방사조직 밀도를 제외한 도관요소 및 방사조직 특성들은 밤나무의 성숙재와 미성숙재를 판단하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밤나무의 품종별 구분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측방가압충전시 Nickel-Titanium spreader의 사용유무가 근관충전효과에 마치는 영향 (INFLUENCE OF NICKEL-TITANIUM SPREADER ON THE SEALING ABILITY IN LATERAL CONDENSATION TECHNIQUE)

  • 민경산;홍찬의;조용범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5권3호
    • /
    • pp.381-389
    • /
    • 2000
  • Lateral condensation with gutta-percha and sealer has been shown to provide an excellent apical seal; however, the lateral condensation technique has demonstrated less favorable apical leakage results in curved canals when compared with straight canals. Placement of endodontic spreaders to within 1 to 2mm of the root canal working length has been advocated for optimum gutta-percha obturation. Due to their stiffness, stainless-steel(SS) spreaders will often fail to achieve this position in curved canals. Newly marketed nickel-titanium(NT) spreaders may offer an advantage in this regard due to the increased flexibility of these instru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NT finger spreader on the sealing ability in lateral condensation technique, compared with conventional SS finger spreader. Twenty four standardized resin models simulating curved canals(30 degree) were randomly placed into 2 groups and instrumented to a #30 master apical file size with Ni-Ti Profile .04 taper series using step down technique. Each groups was obturated with standardized gutta-percha cone by standard lateral condensation technique using SS finger spreader, NT finger spreader. And then, each model was sectioned horizontally with microtome at 1, 2, 3, 4, 5mm levels from the apex. At each of 5 levels, ratio of the area of gutta-percha was obtained by calculating the area of gutta-percha to the total area of the canal. The data collected were then analyzed statistically using a t test for independent samples. The results as follows ; 1. The total mean ratio of area of gutta-percha was 89.20${\pm}$7.00(%) for SS spreader group. 92.20${\pm}$5.17(%) for NT spreader group.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ach group(p<0.05). 2. At 3mm level, the mean ratio of area of gutta-percha was 88.32${\pm}$5.41(%) for SS spreader group, 95.25${\pm}$2.60(%) for NT spreader group.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ach group(p<0.05). At 1,2,4mm levels, NT spreader group showed greater mean ratio of area of gutta-percha than SS spreader group, too.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3. At 5mm level, the mean ratio of area of gutta-percha was 91.83${\pm}$3.42(%) for SS spreader group, 87.91${\pm}$3.68(%) for NT spreader group.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ach group(p<0.05).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NT spreader demonstrated somewhat favorable apical sealing effect than SS spreader in prepared curved canals. The clinical use of NT spreaders may enhance our ability to create better apical seals in curved canals, but further studies in this area will help clarify some of the remaining areas with which practitioners are concerned, such as compaction forces exerted by NT spreaders.

  • PDF

백서에 식립한 치과용 임플란트의 골유착에 흡연이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IGARETTE SMOKE INHALATION ON DENTAL IMPLANT OSSEOINTEGRATION IN THE RAT)

  • 김세호;김성민;김지혁;박영욱;박찬진;정기명;이석근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1권4호
    • /
    • pp.291-299
    • /
    • 2005
  • Objectives : It is well known that cigarette smoking is harzardous to the osseointegration of dental implant, due to the impaired wound healing accompanied by reduced alveolar bone densit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cigarette smoke on the implant osseointegration by the time factor consideration. Materials and methods : Twenty-four male Spraque-Dawley rats (8 weeks, weighting 200 to 250g) were used in this study. In the experimental group, 13 rats were exposed to cigarette smoke, 8 minutes per day during 6 weeks, and 12 rats in the control group were not exposed at any time. RBM (Resorbed blasting media) surfaced implant (diameter 3.3mm, length 5.0mm, AVANA Co., Korea) was placed in the right femur of each rat. Each implant with surrounding bone was prepared with microtome (cutting band 0.2mm$^{(R)}$, EXAKT Co., Germany) after 1 day, 2, 4, 8 and 12 weeks and stained with toluidine blue (1%). Another clinical investigation of each implant was also done at each evaluation time. Results : Clinical investigation around implant fixture show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 Microscopic observation around implant fixture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 at the initial stage after implant fixture installation. Experimental group showed a decreased bone to implant contact within 4 weeks compared to control group, but showed similar characteristics after 4 weeks. Conclusion : Smoking inhalation effect on the dental implant showed the impaired wound healing by vasoconstriction and decreased intramedullary blood flow at initial stage of osseointegration. This experimental results can be clinically useful to the implant surgery of smoking patients.

상아질 접착제 사용 여부에 따른 근관 밀폐효과의 비교 (COMPARISON OF APICAL SEAL WITH OR WITHOUT THE USE OF DENTIN ADHESIVE SYSTEM)

  • 이민조;박상혁;최기운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0권1호
    • /
    • pp.7-15
    • /
    • 2005
  • 이 연구의 목적은 상아질 접착제의 사용 여부에 따른 근관 밀폐효과를 비교 평가하기 위해 40개의 단근치를 근관 성형 후 20개씩 두군으로 나누었다. 1군은 근관 충전시에 상아질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았으며 2군은 상아질 접착제를 사용하였다. 근첨에서 1.5 mm (Level 1), 2.0 mm (Level 2), 2.5 mm (Level 3) 떨어진 부위의 평균 누출률을 측정하였다. 1. 두군의 평균 누출률은 치경부로 향하면서 감소하였다. 2. Level 1에서 1군과 2군의 평균 누출률은 차이가 없었다 (p > 0.05) .3. Level 2와 3에서 2군의 평균 누출률은 1군보다 낮았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차를 나타내었다 (p < 0.05) .연구결과 상아질 접착제를 사용하여 근관 충전하는 경우 치근단 누출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중추신경계통내 분포하는 Zinc의 조직화학적 동정 (Autometallography for Zinc Detection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 조승묵;;김성준;박승국;강태천;원무호
    • Applied Microscopy
    • /
    • 제30권4호
    • /
    • pp.347-355
    • /
    • 2000
  • Zinc는 인체 내에 철$(Fe^{2+})$다음으로 많은 trace element로서 200여개 효소의 기능에 필수적일 뿐만 아니라 신경계통내에서는 신경조절물질로 작용한다. 뿐만 아니라 허혈, 간질 및 퇴행성 뇌질환의 주요 병리기전에도 관여되어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Zinc는 단백질에 결합되어 (bound form)신경세포의 세포질 및 핵질내에 존재하고, 10% 이하의 Zinc는 이온상태(free form, $Zn^{2+}$)로 신경종말 (Zinc enriched terminal)에 있는데 , 후자만이 조직화학법으로 가시화된다. 최근까지 새로 개발된 조직화학법으로 Zinc enriched(ZEN)neurons의 분포에 관한 연구가 각광받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고전적인 조직화학법의 기본 원리를 소개하고, 렛드 중추신경계통내 Zinc의 분포를 광학 및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실험동물은 Wistar 계통의 랫드(10주령)와 BALB/c 마우스이며, 마취제로는 Pentobarbital(50mg/kg)을 이용하였다. 생체 뇌조직내 이온상태의 $Zinc(Zn^{2+})$를 침전시키기 위하여 selenium(10mg/kg, i.p.)을 처리하였고, 1시간 후 3% Glutaraldehyde액으로 관류고정하여 동물을 희생시켰다. 뇌와 척수를 꺼내어 sucrose에 가라앉을때 까지 담가두었다가 Dry Ice를 이용하여 얼리고, Freezing microtome위에서 $30{\mu}m$두께의 절편을 작성하였다. 조직절편내 $Zn^{2+}$을 동정하기 위한 조직화학법으로는 autometallography (AMG) (Danscher, 1985)를 이용하였다. 광학현미경하에서 밝혀진 Zinc의 분포는 해마복합체를 비롯한 종뇌의 여러부위에 고농도로 분포하였고, 척수에는 중간정도, 그리고 소뇌 및 뇌간에는 매우 낮은 농도로 분포하였다. 전자현미경에서 관찰된 AMG염색과립(silver grains)은 신경종말에 있는 연접소포에 국한되었으며, 이러한 ZEN terminals은 주위 여러 신경세포의 돌기(dendrites)및 세포체 (soma)에 특이한 연접을 이루고 있었다. 즉 후각망울을 포함한 종뇌에서는 주로 비대칭연접 (asymmetrical synapses)이 관찰되었던 반면에, 척수에서는 대칭연접(symmetrical synapses)을 이루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신경종말내 연접소포에 Zinc를 함유하고 있는 소위 ZEN terminals은 중추신경계통에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으며 또한 신경부위에 따라 다양한 분포와 미세구조의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사실은 중추신경계통내에서 Zinc가 영위하는 신경생물학적 기능이 신경부위에 따라 다양할 것임을 시사한다.

  • PDF

치료 방사선량이 쥐의 난포 퇴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adiation Dose for Radiotherapy on Ovarian Follicle Atresia in Rat)

  • 이원정;선종률;유세종;안봉선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7권4호
    • /
    • pp.208-212
    • /
    • 2012
  • 쥐의 난포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대부분 임상에서 암 치료에 사용되는 선량보다 높은 선량이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암 치료에 사용되는 단일조사 방사선 선량이 쥐의 난포 퇴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는 4 주령의 흰쥐(Sprague-Dawley계통)를 실험 동물로 사용하였다. 방사선을 조사하지 않은 대조군, 2 cGy 조사군, 2 Gy 조사군으로 나누어 방사선을 4 Gy $min^{-1}$ 선량으로 조사하였다. 이때 사용된 방사선속은 6 MV-X선(Mevatron 67, Siemens, Germany)을 사용하였으며, 조사 면적은 $30{\times}30cm$, SSD (source-surface-distance)는 100 cm 거리에서 배측 방향으로 난소를 향해 단일 전신조사하였다. 2 cGy군과 2 Gy군은 조사 24 시간 후에 경추 탈구사시킨 후 개복하고, 생리적 식염수 내에서 난소를 적출하였다. 방사선에 의한 난포의 형태학적인 변화와 난포의 발육단계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H & E 염색을 실시하였다. 난포의 폐쇄가 진행되면서 나타나는 난포 과립세포의 세포고사 정도를 면역조직화학적으로 관찰하기 위해 절편화된 DNA를 염색할 수 있는 TUNEL 염색을 실시하였다. SPSSWIN(ver.19.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체난포에 대한 폐쇄된 난포의 비율과 난포의 각 발육단계에서 전체난포 중 폐쇄가 일어나지 않은 정상난포의 비율을 구하여 평균${\pm}$표준편차로 나타내었으며, 비모수검정의 Mann Whitney 테스트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전체난포에 대한 퇴축난포의 비율이 2 Gy군은 대조군(p=0.011)과 2 cGy군(p=0.025) 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난포동형성전 난포에서는 2 Gy군이 대조군 보다 유의하게 낮은 정상난포의 비율을 보였다(64.0 vs. 87.7, p=0.027). 난포동 난포에서는 2 cGy군이 대조군과(53.4 vs. 39.8, p=0.020) 2 Gy군(vs. 33.9, p=0.053) 보다 정상난포의 비율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2 Gy군이 대조군 보다 낮은 정상난포 비율(33.9 vs. 39.8, p=0.522)을 보였다. 임상에서 암 치료에 사용되는 2 Gy의 단일조사 방사선 선량은 쥐의 난포 퇴축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Fuji VII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의 재광화 효과 (REMINERALIZATION EFFECT OF FUJI VII GLASS IONOMER CEMENT)

  • 김영진;이주현;서현우;박호원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653-660
    • /
    • 2006
  • Fuji VII은 제 1, 2대구치의 조기보호를 목적으로 소개되었으며 기존의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보다 많은 양의 불소를 유리하면서도 점도가 낮아 흐름성이 우수하고 부가적인 산부식 과정이 필요 없는 특징 때문에 치은판개가 일부 덮인 제 1, 2대구치의 교합면이나 일부만 노출된 대구치 협면구의 우식 예방과 재광화에 유용하다고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Fuji VII의 재광화 효과를 알아보고 기존의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 레진 강화형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 콤포머와 복합레진의 재광화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에 인공적으로 형성한 우식을 가진 42개의 치아에 Fuji VII, Fuji II, Fuji II LC improved F2000, $Filtek^{TM}$ Z250의 재료를 충전하고 편광현미경 상에서 충전 직후와 4주 후 탈회 면적을 측정하였으며 두 면적의 차이를 비교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재광화 정도는 Fuji VII, Fuji II, Fuji II LC improved, F2000, 대조군, $Filtek^{TM}$ Z250 순으로 크게 나타났으며, 글래스 아이오노머 계통의 Fuji VII, Fuji II, Fuji II LC improved에서 F2000, $Filtek^{TM}$ Z250,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재광화가 나타났다(p<0.05). 2. Fuji VII과 Fuji II Fuji II LC improved 간에는 유의한 재광화 정도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p>0.0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