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sphere

검색결과 221건 처리시간 0.03초

A rapid and quantitative fluorescent microsphere immunochromatographic strip test for detection of antibodies to 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virus

  • Wei, Yanqiu;Yang, Baozhi;Li, Yunlong;Duan, Yongcheng;Tian, Deyu;He, Baoxiang;Chen, Chuangfu;Liu, Wenjun;Yang, Limin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1권4호
    • /
    • pp.68.1-68.8
    • /
    • 2020
  • A fluorescent microsphere-based immunochromatographic strip test (FICT) was developed for the rapid, sensitive, and quantitative detection of 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virus (PRRSV) antibodies at the pen-side. The assay was based on the formation of a sandwich immune-complex (anti-pig IgG-PRRSV antibodies-NSP7/N), which was validated by a comparison with IDEXX-ELISA using 3325 clinical specimens. The diagnostic specificity, sensitivity, and accuracy of FICT were 97.28, 93.41, and 94.95%, respectively. FICT showed a good correlation with the virus neutralization assay. Overall, a promising pen-side diagnostic tool was developed for the rapid and quantitative detection of PRRSV antibodies within 15 min.

비산재로부터 유용성분을 회수하는 청정부유선별공정 (Clean Flotation Process to Recycle useful Materials from Fly Ash)

  • 한광수;김둘선;이동근
    • 청정기술
    • /
    • 제26권3호
    • /
    • pp.177-185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석탄화력발전소에서 전량 폐기되고 있는 석탄재의 재활용 방안으로 석탄회의 80%를 차지하고 있는 비산재로 부터 유용성분을 회수하고 이를 산업재로 활용하기 위한 청정부유선별 공정을 개발하였다. 비산재로부터 미연탄소(unburned carbon, UC) 를 회수하기 위해 비이온성 포수제인 등유 대신에 친환경 식물성 오일인 대두유를 사용하여 등유로부터 악취 발생을 예방하였고 부유선별 후 잔류물로부터 CM (ceramic microsphere)과 CA (cleaned ash)를 분리하기 위해 황산용액을 사용하지 않고 hydro-cyclone를 사용함으로써 산성폐수를 발생시키지 않고 미립의 CM를 회수할 수 있었다. 등유를 포수제로 사용하여 UC를 분리할 때 보다 대두유를 포수제로 사용하였을 때, 대두유의 높은 점성으로 인한 UC의 흡착성 증가와 대두유에 포함된 리놀레산에 의해 부유성 향상으로 UC의 회수율이 85.8%로 높게 나타났다. 회수된 UC에 포함된 연소가능성분(combustible component, CC)은 모두 탄소성분으로 대두유를 사용하였을 때 탄소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회수된 UC는 표면이 거칠면서 기공이 많아 분쇄가 쉬워 미립화로 산업용 소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Hydro-cyclone을 이용한 입도선별 청정분리공정에 의해 회수된 CM과 CA는 구형 형상으로 입자들이 서로 뭉치지 않고 뚜렷하게 분리되었으며 입자의 평균직경(D50)은 5 ㎛로 미세하여 공정변경에 의한 CM의 미립화를 구현할 수 있었다.

Subacute Toxicities of All-trans-Retinoic Acid Encapsulated in the Poly(D,L-Lactide) Microspheres

  • 최용두;박경순;김상윤;김선희;변영로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867-870
    • /
    • 2001
  • 아급성 독성 시험으로부터, 미립구내의 레티노익 산을 기준으로 한 투여량이 100mg/kg 일때는 4마리의 치사 개체가 보이는 등의 심각한 독성 효과가 유발되었으며, 25 및 50mg/kg인 경우에 독성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음을 관찰하였다. 50mg/kg의 투여량의 경우, 일부 동물에서 뼈골절 현상이 나타났지만, 이러한 독성효과는 항염증제를 같이 투여함으로써 극복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졌다. 따라서, 앞으로의 실험에서는 항염증제를 이용하여, 가능한 독성을 억제하연서, 보다 빠른 기간 내에 상태가 회복될 수 있도록 하는 연구를 행할 것이다.

  • PDF

스프레이 건조법을 이용한 PMMA/TiO2 다공성 입자 제조 및 특성 연구 (Preparation of Porous PMMA/TiO2 Microspheres by Spray Drying Process)

  • 백동현;이현석;강래형;김용진;이존환;최성욱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분무 건조 공정을 이용하여 다공성 PMMA 입자 내부에 $TiO_2$ 나노입자가 고르게 함침된 유/무기 복합분체를 제조하여, $TiO_2$의 은폐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다공성 구조체로 피지를 흡유하여 지속성을 증대시키는 메이크업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끓는점이 다른 두 가지 공용매(디클로로메탄 및 헥산올)의 비율과 고분자의 농도 조절을 통해 입자크기와 기공크기를 제어할 수 있었으며, $TiO_2$ 나노입자를 제조된 시료의 전체 무게 대비 74.6 wt%까지 함침 시킬 수 있었다. SEM 이미지 분석을 통하여 복합분체의 다공성 구조를 확인하였고, 절단면 이미지를 통하여 내부에 $TiO_2$ 나노입자가 균일하게 함침 되어 있는 것을 관찰하였다. EDX 매핑으로 Ti 원소가 복합분체의 내부에 전체적으로 분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Porosimetry 분석으로 기공사이즈 및 공극률을 측정하였으며, $TiO_2$ 나노입자를 함침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50% 이상의 공극률을 유지하여 흡유량이 매우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TiO_2$ 나노입자가 PMMA입자의 내부에 잘 분산되어 있어서 가시광선의 반사율을 증가시킴으로써 피부의 결점을 커버하는 성능이 개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Alginate/PLGA 미립구에 대한 인간디스크 세포 부착 효과 (Adhesion of Human Intervertebral Disk Cells on Aiginate/PLGA Microspheres)

  • 이준희;장지욱;소정원;최진희;박종학;안식일;손영숙;민병현;강길선
    • 폴리머
    • /
    • 제33권1호
    • /
    • pp.7-12
    • /
    • 2009
  • PLGA미립구는 주사제형과 같은 형태로 조직공학적 응용에 이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립구 제조시 에밀젼 형성조건에 대한 영향과 미립구 표면에 세포를 부착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BSA를 함유하는 PLGA미립구는 수중유형(O/W)과 수중유중수형(W/O/W) 용매증발법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미립구의 초기방출효과제어와 PLGA분해의 과정에서 발생되는 지연시간을 개선시키기 위하며 알긴산나트륨을 수상에 용해시켜 사용하였다. 미립구에 부착된 세포의 형태를 전자주사현미경(SE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PLGA미립구에 배양된 인간디스크세포의 증식은 MTT분석을 이용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PLGA미립구 표면에 세포가 부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BSA가 함유된 알긴산/PLGA미립구를 이용하여 조직공학적 응용이 가능한 주사제형으로서의 가능성을 제안하였다.

알지네이트 코팅 Miamiensis avidus (Ciliophora: Scuticociliatida) 경구백신의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에 대한 효능평가 (Efficacy of alginate microsphere oral vaccine against Miamiensis avidus (Ciliophora: Scuticociliatida)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 신수미;정성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311-321
    • /
    • 2023
  • Miamensis avidus에 대한 alginate Microsphere (Alginate MS) 경구백신의 넙치에 대한 효능을 침지와 주사경로의 공격감염으로 확인하였다. Trial 1에서는 불활화 M. avidus (IMa)와 IMa를 alginate로 코팅한 IMa+Alginate MS 를 사료와 혼합하였으며 총 5일 동안 3.75 × 106 cells/fish의 농도로 먹였다. 경구백신 투여 5주 후 침지로 공격감염했을 때, IMa+Alginate MS 그룹의 상대생존율 (RPS)은 50% (50% 해수 침지감염)와 37.5% (100% 해수 침지감염)였다. IMa 단독투여 그룹은 낮은 생존율을 보였다. Trial 2에서는 항원을 2.38 × 106 cells/fish의 농도로 5일간 나누어 먹였다. 경구백신 투여 2주 후에는 복강주사로 효능을 평가하였고, IMa+Alginate MS 투여구의 상대생존율은 30.8%였으며 IMa 단독투여 그룹은 백신의 투여효과가 전혀 없었다. 경구백신 투여 종료 5주 후 50% 해수에서 침지감염으로 공격감염 한 경우 IMa+Alginate MS 투여구의 상대생존율은 42.9%, IMa 단독투여 그룹의 상대생존율은 14.3%를 기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Alginate로 M. avidus항원을 코팅함으로써 M. avidus항원을 단독으로 투여하는 것보다 넙치에 높은 방어력을 제공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기능성 마이크로스피어의 개발 - 안료를 포함한 디지털 프린트용 마이크로스피어의 제조 (Preparation of EVA microsphere including pigment for Textile Printing)

  • 김효정;김혜인;이신희;박수민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5-28
    • /
    • 2003
  •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과 함께 고기능성, 고감성의 제품이 요구되고 또한 소비패턴의 고급화, 다양화, 개성화와 함께 단시간의 유행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하여 섬유날염면에서도 다양한 색상과 디자인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rotary printing system에 의한 날염기술은 이러한 요구에 다양하고 신속한 대응을 할 수 없으므로 새로운 날염기술의 개발이 요구되었고 이에 xerography printing에 의한 직물날염이 주목받게 되었다. (중략)

  • PDF

기능성 마이크로스피어의 개발 $TiO_2 $및 Poly(ethylene-co-vinylacetate)를 함유한 마이크로스피어의 제조

  • 허성현;김혜인;최해욱;박수민
    • 한국염색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염색가공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89-92
    • /
    • 2003
  • SiO$_2$ 입자는 접착제, 충전제, 점성과 표면특성조절제 등 여러 산업에 응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을 가지는 입자를 제조하기 위해 SiO$_2$로써 기본적인 입자를 제조하고, 그 속에 소취특성을 가지는 TiO$_2$와 날염을 위한 EVA-microsphere를 포함시켜서 소취제로서, 그리고 날염 분체로서의 기능을 가진 입자들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중략)

  • PDF

시타라빈의 카르나우바왁스 Microsphere의 성질에 미치는 폴리소르베이트 40의 영향 (Effect of Polysorbate 40 on Properties of Cytarabine Carnauba Wax Microspheres)

  • 김길수;윤조희
    • 약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371-376
    • /
    • 1988
  • The effect of polysorbate 40, used as a surfactant during the process of manufacture, on the properties of cytarabine microspheres with carnaubu wax was studied. It was revealed that the mean particle size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concentration of polysorbate 40, and that the dissolution rate of the cytarabine from the microspheres decreased greatly more than the cytarabine powder only, but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concentration of polysorbate 40 as surfacta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