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physiometer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8초

Effect of Chlorella Growth Factor on the Proliferation of Human Skin Keratinocyte

  • Yong-Ho Kim;Yoo-Kyeong Hwang;Yu-Yon Kim;Su-Mi Ko;Jung-Min Hwang;Yong-Woo Lee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29-234
    • /
    • 2002
  • Chlorella is rich in chlorella growth factor (CGF). A review of the literature has described that CGF improves the capability of a Th1-based immunity, anticancer, antioxidant antibacterial activity, growth promotion, wound healing and so on, but has not studied the effect for the metabolism and the proliferation of human skin keratinocyt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metabolism and the proliferation of human skin keratinocyte in vitro. CGF was extracted with an autoclaving method which is a modified hot-water extraction method from dried chlorella and conformed by means of absorbance 0.22 at 260 nm. We have measured the extracellular acidification rate (ECAR) of the CGF by Cytosensor$^{\circledR}$ Microphysiometer and evaluated responsiveness depending upon the dosage on the HaCaT cell. The ECAR for the concentrations of 0.15, 1.5, 15, 150 $\mu\textrm{g}$/ml of CGF increased as a 103.6, 128.2, 149.0 and 423.9%, respectively compared to control (0.0 $\mu\textrm{g}$/ml, 100% ECAR). The ECAR for ErbBl tyrosine kinase inhibited by 4-anilinoquinazolines, $C_{16}$H$_{14}$BrN$_3$O$_2$.HCl on tile HaCaT cells with the amounts of 10 $\mu\textrm{g}$/ml of the CCF compared with 100 $\mu\textrm{g}$/ml of rhEGF.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that CGF might increase human epidermal keratinocyte proliferation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the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and itself.

  • PDF

마늘 첨가 복합배지에서 배양된 영지 균사체의 면역 증진 효과 (Enhancement of Immune Activities of Ganoderma lucidum Mycelium Cultured with Garlic Enriched Medium)

  • 문형철;이현수;박진홍;김대호;이신영;성낙술;방진기;정해곤;이현용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4-30
    • /
    • 2004
  • 1 인간 면역 세포 중 하나인 T세포에 대한 각 시료의 생육 촉진 활성은 시료의 $1.0\;g/{\ell}$에서 기준물질로 사용한 ${\beta}-glucan$이 T 세포의 생육촉진 활성 측정에서 가장 좋은활성을 나타내었으며, GAM은 GM보다 높은 생육 촉진 활성을 보였다. 2. B 세포의 각 cell 당 $TNF-{\alpha}$의 분비량을 살펴보면 GAM, GM, GS는 배양 2일째 최대분비량을 나타내었고, 표준물질로 사용한 ${\beta}-glucan$은 배양 1일째부터 6일째까지 일정한 수치의 분비량을 나타내었다 IL-6의 경우는 모든 시료들이 비교적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3. 정상 폐 세포인 HEL299에 대한 세포 독성 실험에서는 표준물질로 사용한 ${\beta}-glucan$과 GAM이 시료 투여 최고 농도인 $1.0\;g/{\ell}$의 농도에서 30% 미만의 비교적 낮은 세포 독성을 나타내었으며, 반면에 GM과 GS는 30% 이상의 비교적 높은 세포 독성을 나타내었다. 4. 페암 세포인 A549에 대한 각 시료의 생육 억제 활성과 선택적 사멸도를 살펴보면, 암세포에 대한 생육 억제활성이 가장 좋게 나타낸 시료는 GM으로 90% 이상의 아주 높은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지만 선택적 사멸도에서는 정상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이 높아 비교적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GAM과 ${\beta}-glucan$은 GM에 비하여 비교적 낮은 생육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지만 세포 독성이 낮아 선택적 사멸도에서는 GM에 비하여 높은 선택적 사멸도를 나타내었다. 5. 인간 면역 세포 중 하나인 T 세포를 microphysiometer를 이용하여 동역학적 면역 활성 증진도를 살펴보면 표준물질로 사용한 ${\beta}-glucan$을 투여하고 20분부터 170여분까지 대사활성도가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GAM의 경우는 시료를 투여하고 240분이 지날 때까지 꾸준히 대사활성도가 증가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앞서 실험한 end point 만을 측정한 세포생육도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황기(黃芪)의 재배 년수에 따른 면역 및 항산화 활성 연구 (Studies on Immunomodulatory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Astragali membranacei Radix according to the Cultivated Years)

  • 정철
    • 대한한방피부미용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53-90
    • /
    • 2005
  • Purpose: Contents of astragaloside I, II and IV, cytotoxicity, anticancer activity, immunomodulatory activity and antioxidant capacity were to be compared as a function of the cultivated years as one, three, five and seven years. Method: Major components of Astragali membranacei Radix were separated as astragaloside I, astragaloside II, astragaloside IV by HPLC analysis. Cytotoxicity and anticancer activities were measured by MTT and SRB assay. For immunomodulatory activity, the secretion of IL -6 and $TNF-{\alpha}$, NK cell activation and macrophage activation were observed as well as kinetics of responding to human T cells by a microphysiometer. In vitro antioxidant activities were measured by several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superoxide anion radican, DPPH, LDL and linoleic acid. For in vivo activity, the activation of SOD, GSH-px, catalase, ALDH and ADH was measured as well the relative weight of liver. Result : 1. For HPLC analysis, the contents of all of astragaloside I, astragaloside II, astragaloside IV were in order of three, five, one and seven years. 2. The cytotoxicity of normal human lung cell line, HEL299 showed lower than 18% in adding 0.25 mg/ml, and 28.9% in adding 1.0 mg/ml of water extract of seven year root. For methanol extracts, three year root showed highest cytotoxicity as 35.2 %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cultivated years. 3. For anticancer activities, methanol extracts of one and three year roots showed relatively high inhibition of human stomach cancer cells, AGS, breast cancer cells, MCF-7, lung cancer cells, A549 and liver cancer cell, Hep3B as well as high selectivities. 4. The water extract of seven year root could yield high secretion of IL-6 from both human Band T cells while the methanol extracts of three and five year roots secreted high amounts of IL-6 and $TNF-{\alpha}$ from both Band T cells. 5. As a result of in vitro antioxidant activities, both water and methanol extracts from five and seven year roots showed high activities for superoxide anion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hibiting linoleic acid peroxide and contents of total phenols. 6. For in vivo tests, Mn-SOD and GSH-px activities and weight of liver were better in adding seven year root. For ALDH activity one year root was better and for ADH activity five year root. Overall speaking, seven year root showed relatively better antioxidant activities. Conclusion:There was difference of the contents of astragaloside I, astragaloside II, astragaloside IV according to cultivation year. Methanol extract showed better activities of anticancer and immune activation rather than water extract Interestingly enough, for methanol extracts, overall activities were improved as the cultivation year increased. There might be further investigation required for the clinical uses of the results as several biological activities varied according to the cultivated year of Astragali membranacei Radix.

  • PDF

복분자 열매 추출물의 유용 생리활성 탐색 (Screening of biological activities of the extracts from Rubus coreanus Miq)

  • 이미경;이현수;최근표;오덕환;김종대;유창연;이현용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12
    • /
    • 2003
  • 복분자 열매의 추출물 모두 1.0mg/ml 이하의 농도로 투여 시는 정상세포 생존율을 85%이상으로 유지시켜 시료자체에 의한 독성은 나타나지 않으며, 각 추출물의 암세포에 대한 생육억제활성은 0.1 mg/ml의 낮은 농도에서도 비교적 $40{\sim}50%$의 높은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추출물들은 0.5mg/ml 이상의 농도에서 MCF7에 대하여 78%이상, A549에 대하여서는 81%이상의 생육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Hep3B에 대하여서는 70%이상의 높은 암세포 생육억제활성을 나타내었으며, AGS에 대하여 에탄올 추출물들이 약 79%정도의 암세포 생육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각 추출물의 selectivity에 있어서 각 추출물이 0.1mg/ml 에서 1.0mg/ml 농도에서 5이상의 수치를 나타내어 복분자 열매 추출물들이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사멸하는 기작을 지닌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시료들의 면역세포생육 증진 기능은 0.5mg/ml 농도에서 B세포의 생장을1.5배 이상 T세포의 경우 1.8배 이상의 생육증진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물 추출물들이 에탄올 추출물에 비하여 높은 면역세포의 생육 증진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고, cytokine의 생성측정 정도를 측정한 결과, IL-6는 물 추출물이 배양 6일째 0.5mg/ml의 농도에서 최고 70 pg/ml의 분비량을 나타내었으며, $(TNF-{\alpha})$도 물 추출물이 배양 6일째 최고 78.8pg/ml의 분비량을 나타내었다. Acridine orange와 ethidium bromide로 형광 염색하여 인간 면역T cell에 대한 세포 사멸형태를 측정한 결과 배양 3일째부터 20% 이상의 세포들이 자가 사멸 형태로 사멸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높은 암세포 생육억제 활성을 나타낸 복분자 추출물들을 Microphysiometer를 이용하여 암세포(Heb3B)와 정상세포(HEL299)에 대한 대사(산화)활성도의 영향을 3시간 동안 측정한 결과, 0.5mg/ml 농도의 에탄올 추출물을 투여 후 서서히 세포의 산화가 나타남을 확인하였고, 정상세포에 비하여 암세포에 있어서 세포의 산화속도가 급격히 증가되었다. 각종 성인병과 관련된 효소들인 ACE, ${\alpha}-glucosidase$, GST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고혈압을 유도하는 효소인 ACE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와 생체 내에서 혈당 상승의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alpha}-glucosidase$의 작용의 경우 약간의 효과가 있었으나 유의적이지 못하였으며, 간의 중요 해독기전 중의 하나인 GST(gultathion-S-transferase)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 1.0mg/ml의 농도에서 GST 활성을 1.6배 정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이러한 복분자를 기능성식품으로 개발 시 면역증진기능을 야기하는 기능성을 중심으로 면역증진활성을 지닌 제품을 중점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되어지며, 이를 통하여 복분자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이들에 대한 수요가 증가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해당화 뿌리 추출물의 면역 증진 효과 (Screening of immune enhancement activities of the extracts from Rosa rugosae Radix)

  • 이미경;이서호;최근표;유창연;이신영;이진하;이현용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3-18
    • /
    • 2003
  • 해당화 뿌리의 추출물 모두 0.5g/L 이하의 농도로 투여 시는 정상세포 생존율을 80%이상으로 유지시켜 시료자체에 의한 독성은 나타나지 않으며, 각 추출물의 암세포에 대한 생육억제활성은 0.1 mg/ml의 낮은 농도에서도 비교적 $40{\sim}60%$의 높은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추출물들은 0.5mg/ml 이상의 농도에서 MCF7에 대하여 66%이상, A549에 대하여서는 70%이상의 생육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Hep3B에 대하여서는 에탄을 추출물은 78%이상의 높은 암세포 생육억제활성을 나타내었으며, AGS에 대하여 물 추출물이 약 68%정도의 암세포 생육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각 추출물의 selectivity에 있어서 각 추출물이 0.1mg/ml에서 1.0mg/ml의 농도에서 4이상의 수치를 나타내어 해당화 뿌리 추출물들이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사멸하는 기작을 지닌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암세포와 정상세포의 시간에 따른 산화 정도를 Microphysi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시료 투여 후 점차적으로 산화도가 빠르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각 시료들의 면역세포생육 증진 기능은 0.5 mg/ml 이상의 농도에서 B세포의 생장을 $1.2{\sim}1.3$배 이상 증가시켰으며, T세포의 경우 $1.2{\sim}1.5$배 이상의 생장율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에탄올 추출물이 물 추출물들에 비하여 높은 면역세포의 생육증진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고, cytokine의 생성측정정도를 측정한 결과, IL-6는 에탄을 추출물이 배양 6일째 0.5mg/ml의 농도에서 최고 61.3 pg/ml의 분비량을 나타내었으며, $TNF-{\alpha}$도 에탄올 추출물이 배양 6일째 최고 61.9 pg/ml의 분비량을 나타내었다. acridine orange와 ethidium bromide로 형광염색하여 인간 면역 T cell에 대한세포 사멸형태를 측정한 결과 배양 4일째부터 15% 이상의 세포들이 자가 사멸 형태로 사멸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